• Title/Summary/Keyword: grader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6초

일학습병행제 학위연계형 학습근로자의 조직유효성 인식분석과 만족/불만족요인 실태조사 (An Analysi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Survey on the Factors of Satisfaction/Dissatisfaction of Learning Workers' Perception in Degree Apprenticeship)

  • 명재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31-337
    • /
    • 2020
  • 본 논문은 학위연계형 일학습병행제도의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소속 기업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이직의사, 직무성과는 학습근로자가 비교대상인 일반 회사원(근로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근로자의 학년이 오르고 성적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고 좋은 성적인 학습근로자의 직무소진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1학년에 비해 2, 3, 4학년이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학습근로자의 만족요인과 불만족요인의 조사 결과 대학의 OFF-JT교육보다 현장의 OJT 관리가 강화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는 기업이 학습근로자의 역량개발 뿐 아니라 교육지원, 인사관리, OJT 운영 등의 영역에서 지금보다 수준 높은 관리가 필요하며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학위연계형의 발전을 위해서 학습시간 및 참여기업의 학습자관리에 대해 보완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아들러 심리학에 기초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dlerian Community Feeling Program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유리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696-70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을 바탕으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I초등학교 5학년 38명이며,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학교생활 만족도 척도와 우울 척도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하였다. 프로그램은 관계 형성, 자기 수용, 타인 존중, 상호 협력과 공헌을 중심으로 총 9회기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그 결과,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은 전체 학교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요인 중 수업, 교사와의 관계,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는 유의하였으나 학교생활, 교우관계, 학교행사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또한, 전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하위요인 중 부정적 기분/신체·생리적 증상에는 유의하였으나 부정적 자기상/비효율성, 대인관계 문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아들러 심리학에 기초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은 전체적인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과 우울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유치원 및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AI 기반 교수학습활동 탐색 (Exploring AI-bas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oftware Education in Kindergarteners to the Second Graders)

  • 김소희;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413-421
    • /
    • 2020
  • AI(Artificial intelligence)는 4차 산업혁명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무인카메라, 무인택배함 등 AI를 활용한 무인 자동시스템은 우리 삶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다. 따라서 미래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AI 교육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 국내 교육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과 같은 어린 학생들을 위한 AI 교육 사례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 연구된 유치원 및 초등학교 1-2학년 SW 교육과정을 토대로 AI 기반 교수학습 활동 사례와 주제별로 AI 기반 컴퓨팅 사고력을 제시하였다. 다만, 본 교수학습 활동이 공교육에 적용되려면 충분한 수업 시간을 확보하고, 교육 환경을 개선하고, 수업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농촌 초등학교에서 디지털격차 해소를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quitable Access to Quality Technology Uses in a Low-Resourced Rural Elementary School)

  • 한승연;한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24-23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지역의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한 초등학교 1인 학급 환경에서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이 학습의 향상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수업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인과 교사 1인이었으며 교사 및 학생 인터뷰와 교실 수업 관찰, 학생 일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원과 테크놀로지가 부족할 뿐 아니라 1인 학급 상황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기존 도구의 창의적 활용과 다양한 온라인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는 적응적 학습의 제공, 다른 지역 학생과의 협력학습, 교육과정의 재설계 등 학습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통해 디지털격차를 극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원과 예산 부족, 학생 수 경감에 따른 농촌 지역 학교의 위기에서 새로운 대안과 효과적 학습경험 제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초등학생 대상 가상현실 활용방안 탐색 (Exploring how to use virtual rea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심재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205-212
    • /
    • 2021
  •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기술에 대한 초등학생의 흥미, 사용성, 학습매체의 가능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콘텐츠 제작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외 연구 분석을 통해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초등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초등학생에게 적용 가능한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한 후, 흥미, 사용성, 유용성, 수업과 학습에 활용 가능성을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매우 높았으며, 학습 매체로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최근 중요성이 강조되는 인공지능 교육과 데이터과학 교육에서 추상적인 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뮬레이션을 가상현실을 활용하여 충분히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요리 활동 교육이 아동의 편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수영;김희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6-5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 the effective cooking activit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s well as the food intake and menu accept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oking activity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nsisted of 128 students of $3^{rd}$ & $5^{th}$ grader each. Both cooking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took the same 1-hour nutritional theory based class for 10 sessions. Only Cooking activity (CA) group took additional 10 sessions of 1-hour cooking class. Programs for cooking activity were developed and 10 cooking activity sessions were taken place for 4 months. The questionnair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cooking activities over the intake of food group, unbalanced dietary behavior, eating attitudes, menu acceptance before and after the completion of all the cooking activities. Cooking activities affect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and the intake of food groups. Fish, cereals, milk products, fruits, potatoes, vegetables were more eaten by CA group than control group. Eating attitudes and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CA group a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than control group.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cooking activiti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unbalanced dietary food habits over vegetables, cereals, fish, milk product and fruits as well as the unbalanced dietary behaviors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운영사례 연구: 정보통신공학 중심으로 (Case Study o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Capstone Design: Focusing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정복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5-51
    • /
    • 2023
  • 국내 대부분 대학에서는 졸업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종합설계'와 같은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캡스톤디자인의 산출물인 졸업작품은 대학 전공 교육과정의 최고 결정체인 동시에, 앞으로 취업할 4학년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가늠하는 척도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산업체 요구사항을 적절히 반영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과 산학협력을 위한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성결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에서 운영되는 캡스톤디자인 교과과정과 이를 지원하는 산학협력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소개한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에서 대면 수업으로 전환한 현시점에서, 최근 3년간 '종합설계' 교과목의 평가 결과를 분석해 보고, 추후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이 연구는 산학협력을 통해 사회적 요구를 캡스톤디자인 운영에 반영하려는 ICT관련 학과에 참고할 만한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치위생과 학생의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Dental Hygienics Students' $2{\times}2$ Achievement Target Orientation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 정기옥;최규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5-382
    • /
    • 2012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자기조절학습을 하기 위한 성취목표지향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적응적인 성취목표지향을 유도하기 위한 수업 환경을 제안하고자 대구 충북지역의 소재하는 치위생과 재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 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 및 영향력을 일원다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전체 여대생들의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 가운데 숙달접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수행접근, 숙달회피, 수행회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동기조절의 경우 1학년의 내재적 가치가 2학년과 3학년의 내재적 가치에 비하여 높았고, 행동조절에 있어서 3학년의 시간과 공부조절, 조력추구는 1학년과 2학년의 시간과 공부조절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은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변인 가운데 숙달접근은 내재적 가치와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는 외현적 목표지향과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 가운데 내재적 가치, 외현적 목표지향, 공부환경조절의 경우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의 모든 하위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은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 가운데 숙달접근과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가 동기조절의 하위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과 숙달접근이 인지조절의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과 숙달접근이 행동조절의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 학습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목표의 방향을 수정하고 적절한 자기조절학습의 사용을 통해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적 요인을 분석대상으로 삼지 않았기 때문에 보다 직접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없었지만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은 서로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이 달라질 수 있으며 두 요인을 잘 고려하면 학습자들의 성취동기를 유발하고 효과적인 학습과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후속연구로 구체적인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탐색하여 성취목표 지향성의 하위변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구체적인 관련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초등학교 안전교육 내용분석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alysis of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Needs of Students)

  • 김탁희;이명선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5-63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ive basic materials for selection and improvement of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which is substantially helpful to elementary students, by analysis of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 some subjects and assessment of the needs of elementary students for safety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analyze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in five subjects for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ed the survey of 883 students in som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rom April 7 to 22,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garding safety-related education in some subjects, Physical Education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14.09%), and that was followed by Practical Subject (9.55%) and Moral Education (9.34%). However, the proportions in Social Study and Natural Science were very low, 1.85% and 1.31% each. In total lines of these five subjects, the numbers of line regarding safety education was contained by 5.78%. 2. Analyzing the proportion of domains of safety education in five textbooks,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29.5%), and that was followed by the Home Safety (24.0%), the Safety in School (17.1%), and the Play and Leisure Safety (14.0%). The Coping with Accidents and First Aid, the Safety from Fire and Explosion, and the Traffic Safety occupied relatively low portion, 6.9%, 5.7%, and 2.8% each. 3.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roportion of the safety education domain in each subject,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occupied the highest portion (23.6%) in Moral Education, the Home Safety (12.7%) in Practical Subject, and the Play and Leisure Safety (10.9%) in Physical Education. 4.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urvey experienced the Home Accidents (71.1%). And also, they experienced the Play and Leisure Accidents (57.9%), the Accidents in School (49.7%), the Traffic Accidents (45.3%), and the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24.7%) in order. 5. In the average proportion of the needs of participants for safety education in each domain, the Coping with Accidents and First Aid has the highest point (4.05). And, that was followed by the Home safety (3.79), the Safety from Fire and Explosion (3.73),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3.65), the Play and Leisure Safety (3.50), the Safety in School (3.37), and the Traffic Safety (3.35). The average proportion of the needs for safety education of total domains was 3.66. 6. In the needs for safety education regarding the feature of participants, it showed higher scores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ones (p〈0.001), in lower grader than higher grader (p〈0.05), and in the students born to wealth than those born poor (p〈0.05). Also, the children wh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showed higher scores of the needs for safety education (p〈0.001). And it also showed the same results of high score to the children whose parents did the safety education (p〈0.00l) and to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have the higher degree of practicing safety (p〈0.001), and thes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7. In the extent of preference for methods of safety education, it showed high score to the Field Learning, followed by the Audio- Visual Education, the Discussion, and the Instruction of teacher. In the extent of preference for subjects regarding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by each domain, it showed high score to the subject of Safety for 4 domains - the Meaning of Safety and Basic Principles, the Traffic Safety, the Safety from Fire and Explosion, and the Coping with Accidents and First Aid. And also, they preferred Moral Education for 2 domains - the Home safety and the Safety in School, and Physical Education for a domain of the Play and Leisure Safety. 8. While 27 of 36 detail items was contained the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the proportion of needs of participants for safety education showed more than average 3.00 score in 34 of 36 detail items. However, none of 9 detail items was included in five textbooks. Also, 2 detail items - the Coping with Disasters and the Safety from Poisoning - were included together 2 parts; One part had the higher ranked 7 items acquired by analysis of the needs, and the other had the higher ranked 7 items acquired by analysis of the contents. But, except those 2 items, none of items were matched with each part.

  • PDF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Validation of Korean Diagnostic Scale of Multiple Intelligence)

  • 문용린;유경재
    • 교육심리연구
    • /
    • 제23권3호
    • /
    • pp.645-663
    • /
    • 2009
  • 이 연구는 기존의 다중지능 검사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H. Gardner의 다중지능에 관한 심리측정 원리들을 반영하여 개발한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연구이다. 검사는 유아용, 초등학교 저학년용, 초등학교 고학년용,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총 5종의 검사로 구성되었고, 검사의 형식은 검사시행 시점까지의 성취를 재는 선택형 문항, 능력을 재는 진위문항, 능력과 흥미를 재는 자기보고식 리커르트 척도 문항의 3가지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H. Gardner의 심리측정에 대한 제언에 따라, 지능의 핵심요소에 대한 재검토, 지능들 간의 중복성 및 위계성 여부에 대한 검토, 지능 간 편파적이지 않은 문항 구성, 검사형식의 다양화 등을 지향했고, 특히 본 검사에서는 능력과 흥미와 성취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고자 했다. 1, 2차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최종 표준화검사를 제작했고, 총 5585명의 연구대상을 연령별, 성별, 지역별로 구분하여 표집하고, 이를 통해 규준점수를 추출하여, 연령별 상대적 비교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검사의 타당화를 위하여, 수검행동 관찰, 평균, 표준편차, 정답률, 신뢰도, 하위지능검사들 간의 상관, 지능별 진로선택의 평균순위에 대한 Kruskal-Wallis 검증 등의 분석을 하였다. 하위지능 간 상관분석 결과, 본 검사는 지능 간 독립성 가정을 지지했고, 지능별 진로선택에 관한 비모수 통계검증 결과, 다중지능이 진로선택의 계열과 대체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언어와 논리수학 능력에 유리하던 종래의 검사들과 달리, 지능별로 문항이 공평하도록 노력했고, 객관화할 수 있는 능력문항과 규준점수를 개발한 것, 능력과 흥미와 성취 점수들 간의 비교를 통한 교육적 처방 및 상담을 위한 방편을 마련한 것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검사시행의 현실적인 제약으로 문항수가 적게 개발되어, 요인분석이나 서로 다른 형식의 검사간의 상관분석 등을 하지 못한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문항 수를 늘려 전체 검사를 두 차례로 나누어 시행하는 연구를 하면 요인분석 및 기타 여러 타당화 증거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