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3.696

The Effects of Adlerian Community Feeling Program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Yu, Li-Hyang (서울신남초등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lerian Community Feeling Program 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s were 38 students who were the fifth grader students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and depression scale.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9 sessions, focusing on building the relationship, self-acceptance, respect for others, cooperation and contribution. The employed statistical analysis was ANC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significant improvement i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ts sub-factor, general classe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 school. Second,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had an influence on significant effect in depression and its sub-factor, negative mood/physical symptom. Thus, the Community Feeling Program based on Adlerian Psychology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overall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reducing depression.
Keywords
Adler; Community Feeling; School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하성, "청소년 사회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방향," 한국청소년보호지도연구, 제12권, pp.61-73, 2008.
2 한주희, 인간관계집단삼담이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3 통계청, 교육통계편람, 통계청, 2018.
4 한국방정환재단, 2016 제8차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 결과 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2016.
5 이혜미, 하요상, "초등학생의 신체상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19-33, 2014.
6 박우람, 홍상황, "아동의 거부민감성, 우울 및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의 조절효과," 초등상담연구, 제15호, 제3권, pp.233-256, 2016.
7 J. L. Luby, M. S. Gaffrey, R. Tillman, L. M. April, and A. C. Belden, "Trajectories of preschool Disorders to full DSM depression at school age and early adolescence: Continuity of preschool depression," American J. of Psychiatry, Vol.171, No.7, pp.768-776, 2014.   DOI
8 R. W. Lundin, Alfred Adler's basic concepts and implications, Accelerated Development Inc, 1989.
9 A. Milliren and F. Clemmer, Introduction to Adlerian psychology: Basic principles and methodology. In S. Slavik, and J. Carlson (Eds.), Readings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dividual Psychology(pp.17-43), Accelerated Development Inc, 2006.
10 유리향, 선영운, 오익수, 교사를 위한 아들러 심리학, 학지사, 2018.
11 정현동, 아들러 이론에 근거한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의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2 J. Yang, A. Milliren, and M. Blagen, The psychology of courage: An Adlerian handbook for healthy social living, Routledge, 2010.
13 T. J. Sweeney, Adleri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 practitioner's approach (5th ed.), Routledge, 2009.
14 오익수, "공동체 의식함양을 통한 인성교육," 초등상담연구, 제2016 특집호, pp.505-520, 2016.
15 강지영,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6 김미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 상담학연구, 제7권, 제4호, pp.1093-1106, 2006.
17 유리향, "아들러 심리학의 Crucial Cs 핵심역량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대인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제18권, 제4호, pp.401-418, 2019.
18 H. L. Ansbacher, "The concept of social interest," J. of Individual Psychology, Vol.47, No.1, pp.28-47, 1991.
19 곽현경, 공동체 의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소속감과 학급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0 윤재원, 강영신, "Adler 상담이론을 바탕으로 한 청소년 사회적관심향상 집단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제28권, 제1호, pp.99-125, 2017.
21 이선영, 공동체 의식 함양 어울림 프로그램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2 김진용, 자아개념과 학교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23 손순자,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적응행동과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24 하성희, 학급응집력 강화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5 조수철, 이영식, "한국형 소아우울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29호, 제4권, pp.943-956, 1990.
26 A. Adler, Superiority and social interest. In H. Ansbacher & R. Ansbacher (Ed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4.
27 A. T. Beck,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67.
28 M. Kovacs, "Rating Scale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 Aged Children," Acta Paedopsychiatrica, Vol.46, pp.305-315, 1981.
29 강소연, 정서조절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감소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0 K. Alina, "The community feeling versus anxiety, self-seteem and well-being," Polish Psychological Bulletin, Vol.48, No.2, pp.167-174, 2017.   DOI
31 J. A. Tindall and D. R. Black, Peer Programs: An In-Depth Look at Peer Program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Administration (2nd ed.), Accelerated Development Inc, 2008.
32 한대동, 오경희, "초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수업실천과 공동체의식이 학교폭력 자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사회학연구, 제23호, 제4권, pp.207-235, 2013.
33 L. Adrienne, K. DeSantis, H. Soctt, M. S. Shannon, and F. V. Robert, "An Ecological View of School Satisfaction in Adolescence: Linkag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Behavior Problems," Quality of Life, Vol.1, pp.279-295, 2006.
34 김미헌,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고등학생의 우울감소 및 희망고취를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5 신은정, 격려집단상담프로그램이 베이비붐세대 남성의 자존감, 우울, 자살사고 및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6 A. N. Herringotn, K. B. Matheny, W. L. Curlette, C. J. McCarthy, and J. Penick, "Lifestyles, coping resources, and negative life events as predictors of emotional distress in university women," J. of Individual Psychology, Vol.61, No.4, pp.343-364, 2005.
37 H. Hammond, Self-Compassion, Social Interest, and Depression, The Faculty of the Adler Graduate School, The Degree of Master of Arts in Adleri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