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de factors

검색결과 2,569건 처리시간 0.034초

초등학교 급식의 영양관리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Strategies to Improve Nutritional Management in Primary School Lunch Program)

  • 임경숙;이태영;김초일;최경숙;이정희;권순주;김미옥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0권2호
    • /
    • pp.235-245
    • /
    • 2004
  • The Korea School Lunch Program mandates that school meals should safeguard the health and well-being of our children. School meals provide a nutritious diet that contains at least ⅓ of the daily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of necessary nutrients at reasonable pric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primary school meal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school meal nutritional guidelines. Three hundred and thirty six dietitians who worked at primary schools were recruited using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A survey was done by e-mail with a set of questionnaires about nutritional meal management. During school lunch planning, dietitians referred nutrition standards with priority, followed by students' food preferences and food hygiene. They considered energy as a most important nutrient during primary school lunch planning, followed by protein and calcium. Protein is usually over-served, whereas iron, vitamin A and calcium are usually under-served during primary school meal planning. For first and second grade primary students, grains, meat and vegetable side dishes seemed to be large compared to their eating capacity. Over 92% of school dietitians agreed the needs of food group standards for primary school lunch program. For making a checklist of the school lunch program, energy, protein and calcium were highly recommended, and meat.fish.egg group, vegetable.fruit group and dairy group were also highly recommended by school dietitians. Cooking method was also highly recommended. School dietitians proposed that remodeling of school kitchens and new cooking machin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school lunch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od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for health-oriented nutritional management of primary school lunch programs. Nutritional checklists could include nutrient-rich foods and food groups, and items about cooking methods.

  • PDF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및 문화변용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Acculturation Stress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y)

  • 전병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29-38
    • /
    • 2012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청소년 185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변용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고 이것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사회적 자본수준을 측정한 결과 그 평균이 2.24(SD=.32)로 나타나 보통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그들의 문화변용스트레스는 2.54(SD=.58)로 나타나 보통수준보다 조금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학교적응 수준은 2.26(SD=.39)로 조사되어 보통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 학업수준, 경제수준, 동거부모 형태, 모 한국어 능력 등에 따라 학교적응은 집단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beta}$=.225), 모 한국어 능력(${\beta}$=.195), 문화변용스트레스(${\beta}$=-.175), 사회적 자본의 대인신뢰(${\beta}$=.171) 및 규범(${\beta}$=.161), 동거부모 형태(${\beta}$=.156), 학업수준(${\beta}$=.151), 경제수준(${\beta}$=.145) 등의 순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정보통신의 적극적으로 활용으로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교류를 유도하고 대인간의 신뢰구축 및 네트워크 형성을 도모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용하여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하는 등의 방안을 제언하였다.

트윈세대의 정보 신뢰성 판단에 관한 연구 (Credibility Judgement of Information by Tweens)

  • 정진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03-324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와 컴퓨터 등 디지털 미디어를 능동적으로 이용하는 아동기 후반과 청소년 초기에 낀 세대라고 일컬어지는 트윈들이 다양한 정보를 선별·수용하는 판단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이들의 인터넷정보 조사와 이용에 대한 인식, 정보 신뢰성 판단에 대해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법을 이용하여 서울시내 초등학교 2개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336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코딩된 데이터는 SPSS 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빈도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트윈들은 스마트 기기와 컴퓨터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톡, 네이버 지식인의 순서로 많이 이용한다고 응답했으며 인터넷 정보조사가 쉽고 재미있다고 인식하였다. 정보 신뢰성 문항들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인터넷 서비스제공자 신뢰성, 정보원과 정보 신뢰성, 신뢰성 상담으로 개념적 틀이 구분되어 제시되었으며 이 중에서 정보원과 정보 신뢰성 판단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정보 저자 신뢰성에 대한 확인방법 인지, 최신정보의 확인 필요성에서는 응답의 편차가 컸다. 현재 국가교육과정에 정보활용교육이 포함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들이 경험법을 통해 터득한 신뢰성 판단 전략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더 심도있는 트윈들의 정보 신뢰성 판단을 위한 후속 연구와 학교와 도서관 현장의 교육적 실천을 기대한다.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성희롱 인식 수준 및 관련 요인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52-362
    • /
    • 2015
  •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성희롱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4개 광역권 소재 치위생(학)과 재학생 7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10월 23일부터 11월 7일까지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희롱의 개념에 대한 인식점수는 5점 만점 중 4.33점으로 높았으나, 성희롱의 원인에 대한 인식점수는 3.42점으로 비교적 낮았다. 성희롱 유형에 대한 인식점수 중 신체적 유형의 경우 4.42점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성희롱 가해자에 대한 인식점수는 2.81점으로 전체 성희롱 인식 항목 중 가장 낮았다. 성희롱 인식 수준은 성별(p=0.037), 연령(p<0.001), 학년(p<0.001), 종교(p=0.004)), 성희롱 경험(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치위생(학)과 재학생들의 성희롱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정도는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성희롱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법은 소극적이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성희롱에 관한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성희롱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성희롱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업만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self-elasticity of student in dental hygienic influences study satisfaction and life adaptation of college)

  • 윤현경;최미숙;이종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335-34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을 알아보고, 자아탄력성이 학업만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아탄력성 향상과 학업만족,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구 경북지역의 2개 대학교 치위생과 1, 2, 3학년 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2013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설문 조사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자아탄력성은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감정통제, 자신감으로 구분되었고, 학업만족은 교과만족, 관계만족, 인식만족으로 구분되었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업만족은 높았고, 자아탄력성과 학업만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은 높았다(p<0.001). 이에 대학생활 적응을 보다 증진할 수 있도록 대인관계 개선과 목표설정, 분노조절, 동기부여 등의 자아탄력성 조절능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학년과 학제에 맞는 지속적이고, 단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한 운영과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김남석;고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11-21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자료는 2019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3,4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3.55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3.52점, 진로정체감은 2.64점이었다. 진로정체감과 셀프리더십(r=.40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5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6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1.3%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고온 및 하중에 따른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잔존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ual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with High Temperature and Load)

  • 김영선;이태규;남정수;박규연;김규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21-330
    • /
    • 2011
  • 최근, 고강도 콘크리트의 잔존 역학적 특성에 관한 섬유의 혼입과 고온의 영향은 실험적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온에 노출된 물시멘트비 55%, 42% 및 35%에 따른 콘크리트의 잔존 역학적 특성을 0.05~0.20 vol.%의 범위로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평가하였고, 고려된 요인은 섬유 혼입량, 콘크리트 강도 및 재하 하중량이다. 폭렬 발생 시간, 열팽창 변형, 길이 변화 및 중량 감소의 측정과 압축강도, 탄성계수 및 에너지 흡수 능력의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로서는 고온에 노출된 50 MPa급 콘크리트의 폭렬을 방지하기 위해서 0.05 vol.% 이상의 PP섬유가 필요했다. 또한, PP섬유의 단면적은 고온에 노출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폭렬 경향과 잔존 역학적 특성에 관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부 하중은 콘크리트의 잔존 역학적 특성 뿐만 아니라 폭렬의 위험 및 취성적 경향을 증가시켰다.

과학 글쓰기를 통한 고등학생의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사고의 분석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Earth Systems through their Science Writing)

  • 이현동;김태수;이효녕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1-10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글쓰기를 통해 고등학생의 지구 시스템에 대한 이해와 시스템 사고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글쓰기 활동에 활용한 자료는 지구과학 I 교과 내용 중 지구환경 변화에 관련된 3가지 주제(지구 온난화, 화산분출, 사막화)이며 이와 관련된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투입하였으며 작성한 과학 글쓰기 내용을 바탕으로 DAET-C 체크리스트와 지구 시스템에 관련된 개념을 구성요소로 하여 인과지도를 작성한 후, 이를 근거로 하여 시스템 사고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학생들은 지구 시스템의 구성, 지구 시스템의 상호작용, 지구과학적 소양, 시스템 순으로 지구 시스템을 이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내용을 바탕으로 각각의 주제별로 인과지도를 작성한 결과 피드백 순환 고리가 나타난 학생은 연구에 참여한 8명 중 지구 온난화 관련 주제에서는 4명, 화산 분출 관련 주제에서는 1명, 사막화 관련 주제에서는 4명의 학생이 지구 시스템에서 하위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지구환경 변화가 지구계 하위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과정 속에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고를 하고 있었으나, 지구 시스템의 순환에 대한 과정에서 시스템 사고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활동을 활용하여 지구 시스템 교육과 시스템 사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치기공과 학셍들의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atisfaction Degree on Clinical Practice for Dental Technology Student)

  • 황경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111
    • /
    • 1997
  • An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fluenced factors of satisfaction degree on the clinical practice for the dental technology student and it can be provided the basic necessary data for the educational planning of the curriculum for the clinical practice. The target of study are selected form 7 junior health college students and colleges are located in around seoul form 14 junior health college throughout the nation. The questionnaries were distributed between 24th Feb to 30th July in 1997 to the 100 dental technicians who finished clinical practice and entered profession in 1997.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PC, Technical Statistic, One-Way ANOVA, Ttest, Person Correnlation Coefficient, Chrobach Alpha Coefficient and the result of the study is follow. 1) The satisfaction degree were classificated as 7 aspect and overall average score was 3.042. During that period satisfaction of personal relation aspect(M=3.737) shows highest level. Satsfiaction of clinical parctice(M=3.571) shows as second, Satisfiaction of environment(M=3.028), Satisfaction of guidance(M=2.915), satisfaction of subject are ordered of their scores. According to above study satisfaction's degree of subject show lowest level.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study. general character of student and satisfiaction degree has not much relation with sex, location of college, religion, period for enrolling college, teaching method of clinical practice. But the result show similar relation with following items. Satisfaction if subjec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P=0.000), place of clinical practi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P=0.002), Academic record of colleg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P=0.000). 3) The relation of satisfaction(Subject, method of teaching, environment, period, rating, personal relation) of clinical practice and age of investigation's target Older student show higher satisfaction(P=0.040). Also method of teaching, environments, period, rating, personal relation has similarities with satisfaction. Therefore student who has higher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ey also have higher rate for subject, environment, period, personal relation. 4) The result fo investigation, most interesting subject was crown & bridge and most difficult factor was too many simple-works to the student. One of ideal factor was discussing with counselor before they choose place for clinical practice. Third grade and first semester is most efficient time for clinical practice and 8 week is proper period for clinical practice. Clinical practice is absilutory mecessary and we find out most student rated positively. However we need more specific study about satisfcation of each subject. Because it shows lowest level and we need more pay attention for planning of clinical practice.

  • PDF

초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과 직업포부의 관계 (Relationship of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Parental Educational Level and Occupational Aspir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열매
    • 초등상담연구
    • /
    • 제10권1호
    • /
    • pp.95-108
    • /
    • 2011
  •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직업포부를 형성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 이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초등학생의 개인적 특성 변인 중에서도 인지적 측면인 학업성취와 정의적 측면인 자아존중감, 환경적 측면인 부모의 학력을 변인으로 정하여 직업포부 수준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직업포부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는 직업포부 수준과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과 직업포부 수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업성취와 자아존중감을 예측변인으로 했을 때 4학년의 경우에는 직업포부 수준의 9%, 6학년은 12%를 설명하였고, 부모의 학력에 따른 초등학생의 직업포부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초등학생 4, 6학년이 직업의 특성뿐만 아니라 학업성취, 즉 자신의 능력을 함께 고려하여 직업포부를 결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