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ifted

검색결과 2,014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Usefulness of Convergent Education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IT

  • Jun, Wooch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8권2호
    • /
    • pp.43-48
    • /
    • 2016
  • In the pres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an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CT) is very important for every citizen. Also, for national power of a nation, IT-related industries need to be supported since those industries can be reconstruc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unlike other industries. In this sense,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in IT become a serious national issue. Since 2013, gifted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as a form of convergent education by government policy. However,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n convergent education for gif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usefulness of convergent curriculum for gifted education in IT. For this purpose, gifted children in IT in a gifted education center are analyzed. By comparing the entrance ranking and graduation ranking, it is concluded that the current convergent gifted curriculum may not be efficient.

우리나라 수학영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Gifted Education in Mathematics in Korea)

  • 노영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83-409
    • /
    • 2005
  • 우리나라의 수학영재교육은 그 역사가 짧아 아직 제도적으로 체계화 되지못해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여러 형태의 영재교육기관이 설립되어 수학영재교육을 맡아 왔는데 그 중에서도 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점차 인정을 받아 자리를 잡아가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은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영재교육 발전을 위하여 전국 23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수학반 운영실태와 교육과정,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 PDF

초등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Gifted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 전우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7-368
    • /
    • 2010
  • 현대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며 한 나라를 이끌어 갈수 있는 원동력은 지식기반의 산업의 육성에 달려 있다. 또한, 개인의 경쟁력 측면에서도 정보화 능력 및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지식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정보영재의 발굴과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 현재 정보영재교육은 사교육과 공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초등학교 정보영재교육과정의 현황을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안한다.

과흥분성 조절 전략을 적용한 초등 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 영재의 과제 집착력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ategies to Encourage Modulation of Overexcitability on the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 문지영;배진호;소금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3호
    • /
    • pp.536-54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as a strategy for modulating gifted children's overexcitabiliti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h program on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modulated gifted children's overexcitabilitie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ask commitment. Looking at sub domain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at self-regulation. Secon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modulated gifted children's overexcitabilitie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ersonality. Looking at sub domains,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at the self-conviction and humors. Third,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classes showed affirmative responses that the new teaching method was interesting and helpful. Looking at the above results,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which modulated gifted children's overexcitabilities can be considered as effective for improving task commit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대학 영재원 영재선발시험의 단계별 연관성에 관한 연구 : 창의성의 일반 영역적 관점과 특수 영역적 관점에서 (Analysing a Selective Examin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 on the basis of domain-general and specific viewpoint of creativity in a college gifted center)

  • 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9-266
    • /
    • 2015
  •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selective examin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from a domain-general and special standpoint. For this, we analyzed gifted and talented test results carried out by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the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This test consisted of three sections which are giftedness in the first round, academic aptitude in the second round and interview in the last round. I conducted the analysis of variance of the giftedness test result to the gifted and talented group in each subject from the domain-general point of view. As a result, the each group was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gifted and talented in each subject has giftedness from the domain-general viewpoint. Secondly, I implemented the analysis of correlation among three test such as giftedness, academic aptitude and interview conducted during the selective proces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The result was that they had a low or no correlations between them and were not significant. This demonstrated that each test checked a different area. That is, we came to realize that the first, second and third test evaluates a different area and in particular, with the result that the first and second test had a low or no correlations between both of them we realized that they evaluated a different area from a domain-special stand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in terms of how the selective test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s conducted from a domain-general and special standpoint as a recent study viewpoint about the gifted and talented along with creativity. It is too limited to generalize this result because this test was sampled by one region but, this study indicates that we should take a domain-general and special standpoint into account when it comes to selec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Explor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박경희;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77-98
    • /
    • 2007
  • 교사 전문성의 수준은 곧 교육의 질을 좌우하며, 영재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곧 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 모색의 기반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여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지식기반, 능력기반, 상황기반 전문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 교사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학교급별 및 교과별 교사 인식의 차이를 다변량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교사들이 초등 교사에 비해 전공 교과 전문지식 획득과 첨단지식 및 정보 습득 측면에서 또한, 과학 교사들이 수학 교사에 비해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과 영재교육 평가방법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지역 초등과학영재학급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An Analysis on the Curriculum for the Class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Incheon)

  • 김은주;최선영;강호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3호
    • /
    • pp.192-19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curriculum for educating and operating the class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We developed the framework for curriculum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velopment for gifted education. The developed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curricula of four class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Incheon. And the needs of gifted students were surveyed in the classes of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urrent curriculums of two classes described the goal of th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but the content and theme of the curricula of three classes were not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2.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the science gifted class were mainly a lecture and an experimental activity. and there was little the process of individual instruction. 3. There was not mostly the products as the results of learning because of little performed by a project teaming, an announcement and an exhibition in gifted class. 4. Most of the students of the science gifted class were estimated by the paper tests and observation of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gifted class, not by the products and presentation etc. 5. They mostly preferred the theme of everyday life in addition to the textbook, and the instructional type of enrichment teaming and acceleration learning over the grade of themselves. 6. They mainly expect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gifted class is operated during the semester.

  • PDF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통한 영재들의 창의성 신장에 대한 연구 (Study on Improving of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using the Project-based Task)

  • 양희선;홍진구;심규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1-137
    • /
    • 2008
  • 본 연구는 중학교 영재학급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재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이의 적용을 통해 창의성 신장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남교육청 지정 보령영재교육원 영재학급 학생 129명이다. 영재학급 학생들은 7학년과 8학년 학생으로 논리사고 분야, 과학분야, 수리분야, 외국어 분야로 구분하여 교육하였다. 영재교육 자료는 프로젝트 수행 활동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프로젝트 수행 활동 수업은 영재들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학분야의 경우 정교성, 유창성, 독창성 등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영재들과 교사들 모두 체험중심의 프로젝트 수행 활동 수업에 대해 큰 만족감과 흥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의 수행 중심의 프로그램은 영재교육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것이다.

무지개를 활용한 과학영재활동에 나타난 과학영재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in the Science Gifted Activity using Rainbow)

  • 김희경;이봉우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39-56
    • /
    • 2011
  • 본 연구는 무지개를 활용한 과학영재활동에서 과학영재들이 나타내는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지방 소재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과학영재의 다양한 광학 관련 개념과 사고 유형이 나타났다. 과학영재들은 무지개 모양 그대로 빛이 그 곳에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하기도 하며, 물방울에서 빛의 분산이 프리즘에서처럼 단순한 과정일 것이라고도 생각하였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이 활동을 통해 다양한 이론을 구성하고 다양한 과학적 상상 유형을 표현하였다. 과학영재들은 자신의 이해를 바탕으로 무지개의 모양과 색에 대한 다양한 이론을 구성해 제시했다. 새로운 무지개를 제시하는 과제에서도 기존 무지개의 모양이나 색 등이 가지는 원래 현상의 특징을 변화시키거나 생성 조건을 변화시키는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해 다양한 무지개를 제안하였다. 덧붙여 무지개를 활용한 통합적 과학활동과 후속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예술영재의 개인 및 환경적 특성 탐색 : 음악, 미술, 무용영재를 중심으로 (A Study of Person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of Gifted Students in Arts)

  • 이현주;이미나;이화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47-570
    • /
    • 2010
  • 본 연구는 예술영역(음악, 미술, 무용)에서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은 예술영재들의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인적 특성 및 환경적 특성의 탐색을 위해 59명의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학생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별 특성과 관련해서는 예술영재의 재능 특성과 예술적 재능이 발현되는 과정 및 예술적 성장 요인에 있어서 분야별 차이가 나타났다. 환경적 특성을 살펴보면, 부모들은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예술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에 있어서는 공교육 차원보다는 사교육차원의 교육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과 무용분야의 교육비용이 미술분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술영역에서의 탁월한 능력을 보이는 예술영재에 대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차후 우리나라 예술영재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