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 on Improving of Creativity of Gifted Students using the Project-based Task  

Yang, Hee-Sun (ChonAn BongSeo Middle School)
Hong, Jin-Gu (Daecheon Middle School)
Shim, Kew-Che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18, no.1, 2008 , pp. 111-13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model for the gifted, and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m in middle schools. Subjects were 126 gifted students, who were the 7th or 8th graders and have been taught in gifted classes of the adjacent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of Boryeong Education Districts, Chungnam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Divisions of gifted Classes were logical reasoning, mathematics, foreign language, science. After the instruction of project-based task, gifted students had improved creativity. Especially,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was more effective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Most gifted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and attractive in it.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instruction using project-based task should be actively used for the gifted students.
Keywords
Gifted students; Middle school; Gifted class; Creativity; Project based tas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종순 (2001).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의 문제 해결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11(2). 1-21
2 명서중학교 (2004). 자기 주도적 학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영재성 신장 방안, 경상남도교육청 지정 영재 교육 연구학교 운영보고서
3 손충기, 김명철(2007). 초. 중학생 창의성 영재 선발 검사에 나타난 창의성 요인별 특성 연구. 영재교육연구. 11(2). 307-337   과학기술학회마을
4 서혜애 (2004). 과학적 창의성과 과학영재교육의 방향. 영재교육연구. 14(1). 65-89
5 임희준 (1999).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137-145
6 주례여자고등학교 (2002). 일반계 고등학교의 영재학급 운영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영재교육 연구학교 운영 보고서
7 Guildford, J. P. (1967). The nature of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8 Renzulli, J. S. (1977). The enrichment trial model: A guide for developing defensible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Creative Learning Press, USA
9 Trefz, R. (1996). Maximizing your classroom time for authentic science: Differentiating science curriculum for the gifted. ED 400 188. Paper presented at the Global Summit o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an Francisco, CA
10 Qin, Z., Johnson, D. W. & Johnson, R. T. (1995). Cooperative versus competitive efforts and problem solv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2). 129-143   DOI   ScienceOn
11 심규철, 김현섭, 김여상, 최선영 (2004). 생물 분야 과학영재들의 학습 양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267-275
12 박성익, 조석희, 김흥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13 한종하 (1987). 과학영재교육론. 서울: 학연사
14 한국교육개발원 (1996). 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한구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5 심규철, 소금현, 육근철 (2007). 프로젝트 기반의 과제 수향을 통한 초등학생의 창의력 신장 방안 모색.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1). 61-69
16 박지연 (2006). 인반아동. 수학영재. 그리고 과학영재의 창의성 비교.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7 김대현, 왕경순, 이경화, 이은화 (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서울: 학지사
18 전경원 (1998). 교사를 위한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서울: 창지사
19 Davis, S. M., Meyer, C., & Davis, S. (1999). Blur. New York: Warner Books
20 조한국, 한기순, 박인호 (2001). 프로젝트형 탐구학습을 통한 영재들의 과학하기. 영재교육연구. 11(3). 23-44
21 용동중학교 (2003). 방과후 영재학급 운영을 통한 중학교 영재교육 실시 방안. 경기도교육청 지정 영재교육 시범학교 운영 보고서
22 육근철, 이군현, 박정옥, 김명환, 하종덕 (1998).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경연대회 평가 연구. 영재교육연구. 8(2). 31-67
23 전북과하가고등학교 (2005). 과학영재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통합교과적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적용. 전라북도 교육청 지정 과학영재교육 연구 학교 운영보고서
24 최송림 (1998). 프로젝트 접근법이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5 심규철, 소금현, 장남기, 김현섭 (2001).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 1. 영재와 일반 학생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22-134
26 충남과학고등학교 (2005). 사사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과학영재의 창의력 신장. 충청남도교육청 지정 영재교육 시범학교 운영보고서
27 Feldhusen, J. F. & Treffinger, D. (1980).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Dubuque. LA: Kendall/Hunt Publishing
28 조석희, 오영주 (1997). 영재 교육 정책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9 신세호 (1988). 영재교육. 서울: 박영사
30 임선하 (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 교보문구
31 김흥원, 김명숙, 송상헌 (1996). 수학영재 판별도구 개발연구(I). 연구보고 CR96-26. 한국교육개발원
32 Torrance, E. P. (1992). A national climate for creativity and invention. Gifted Children Today, 15. 10-14
33 Webb, N. M. (1982). 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in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3). 421-445   DOI   ScienceOn
34 갬재은 (1993). 창의적인 인물들: 성격. 심리. 발달. 서울: 창지사
35 Salvin, R. 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6 신방학중학교 (2002). 자기주도적 학습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영재 학급 운영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지정 영재교육 연구학교 운영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