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otoxicity test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5초

마황윤폐탕(麻黃潤肺湯) 추출물의 수컷 SD Rats에서 경구 단회투여 독성 평가 (Single Dose Toxicity Test of Mahwangyounpae-tang Extract in Male SD Rats)

  • 조동희;박미연;최해윤;김종대;전귀옥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2-113
    • /
    • 2006
  • Objectives & Methods : To obtain the 50% lethal dose(LD50), approximated lethal dose(ALD) and approximated target organs of 'Mahwangyounpae-tang' for further study into such things as repeated dose toxicity, genotoxicity and reproductive toxicity, single dose toxicity was tested in male SD rats according to KFDA Guideline 1999-61[KFDA, 1999] at dosag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and 125 mg/kg/$10m{\ell}$. In this study, mortalities,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body weight gains, gross findings and weight of principal organs were detected during and/or after 14 days of single dosing. Results & Conclusions : After 2 or 3 days of dosing, 1 or 2 animals in 2,000 mg/kg-dosing groups died. Excitation and leaping response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clinical signs. These abnormal sign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nd survivors recovered to normal within 3 or 4 days after dosing.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some periods of observation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from 1 days after dosing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diminished body weight gains were observed in observation periods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Hypertrophy and hemorrhage of heart and decoloration of kidney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gross findings. These abnormal finding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 significant increase of absolute and relative heart and kidney weight were demonstrated in 2,000 mg/kg-dosing groups. The value for LD50 found in this study was 2,218.57 mg/kg. ALD in this study was 2,000 mg/kg, and the target organs are considered to be the heart and the kidney.

  • PDF

마황윤폐탕(麻黃潤肺湯) 추출물의 수컷 ICR 마우스에서 경구 단회투여 독성 평가 (Single Dose Toxicity Test of 'Mahwangyounpae-tang' Extract in Male ICR Mouse)

  • 정우식;조동희;서영호;박미연;최해윤;김종대;전귀옥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42-448
    • /
    • 2006
  • To obtain the 50% lethal dose (LD50), approximated lethal dose (ALD) and approximated target organs of 'Mahwangyounpae-tang' for further study like repeat dose toxicity, genotoxicity and reproductive toxicity, single dose toxicity was tested in male ICR mouse according to KFDA Guideline 1999-61 [KFDA, 1999] at a dosage level of 2,000, 1,000, 500, 250 and $125\;mg/kg/10m{\ell}$. In this study, mortalities,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body weight gains, gross findings and weight of principal organs were detected during and/or after 14 days of single dosing. After 2 or 3 days of dosing, 1 or 2 animals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were died. Excitation and leaping response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clinical signs. These abnormal sign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nd they were recovered to normal within 4 days after dosing in case of survivors. A significant decrease of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some periods of observation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from 1 days after dosing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of body weight gains were observed in observation periods in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 compared to those of vehicle control group. Hypertrophy of heart and decoloration of kidney were observed as test article-treatment related gross findings. These abnormal findings were restricted to 2,000 and 1,000 mg/kg-dosing groups. A significant increase of absolute and relative heart and kidney weight were demonstrated in 2,000 mg/kg-dosing groups. LD50 in this study was detected as 2,242.42 mg/kg. ALD in this study was detected as 1,000 mg/kg and the target organ was considered as the heart and kidney.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Korean Mistletoe Extract)

  • 김인보;정주성;윤택준;김종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83-3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겨우살이 열수 추출물인 미슬로 C의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유전 독성 및 실험동물을 이용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슬로 C의 미생물 돌연변이 실험을 S.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와 E.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를 이용하여 대사 활성계 적용 및 비적용 하에서 복귀돌연변이 시험을 실시한 바, $5,000{\mu}g/plate$의 처리 농도까지 복귀돌연변이 집락은 나타나지 않았다. ICR 마우스에게 500, 1,000 및 2,000 mg/kg를 경구 투여하고, 골수세포를 수집하여 소핵을 측정한 결과, 정상마우스의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한 소핵은 관찰되지 않았기에 미슬로 C는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품의약안전청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기준에 따라 암 수 SD 계열의 랫드에 시험물질을 0, 500, 1,000 및 2,000 mg/kg/day의 용량으로 1회 경구 투여한 후, 14일간의 체중 변화 및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체중 변화는 없었으며, $LD_{50}$은 2,000 mg/kg 이상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0, 250, 500 및 1,000 mg/kg/day의 용량으로 13주간 반복 투여하면서 실험동물의 일반증상, 체중변화, 혈액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 부검소견, 조직학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기간 중 암 수 모든 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일반적인 증상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시험물질의 반복 투여로 인한 사망 마우스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미슬로 C를 13주간의 랫드에 대한 13주 반복 경구 투여 결과, 무독성량은 최소한 1,000 mg/kg 이하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 농도에서 독성을 유발하는 표적장기는 관찰되지 않았다.

레토르트 및 감마선 조사에 의한 화닭 덮밥 소스의 미생물 제어 효과 비교 (Antimicrobial Effects of Retort and Gamma Irradiation on Bacterial Populations in Spicy Chicken Sauce)

  • 김영식;김현주;윤요한;신명곤;김천제;신미혜;이주운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41-147
    • /
    • 2010
  • 극한 환경에서 취식이 가능하도록 안전성 및 기호성이 확보된 덮밥 소스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화닭 덮밥소스의 위생화를 위해 감마선 조사 기술을 적용하고 레토르트 살균과의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화닭 덮밥 소스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결과 레토르트 비처리군은 총세균수가 4.5 log CFU/g 검출되었고 레토르트 처리군은 2.1 log CFU/g의 총 세균이 검출되었다. 반면 3 kGy의 감마선 처리군 에서는 검출한계 이하의 세균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Bacillus spp.로 확인되었으며, B. cereus 및 B. subtilis에 대한 방사선 감수성 측정 결과 각각 0.39 및 0.28 kGy로 확인되었다. SOS chromotest를 이용한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결과 감마선 조사에 의한 돌연변이원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화닭 덮밥 소스의 효과적인 위생화를 위하여 3 kGy의 감마선 조사처리가 레토르트 처리보다 효과적으로 미생물을 사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우스를 이용한 공액리놀레산 함유 디글리세라이드 조성물에 대한 소핵시험 (The Micronucleus Test of the Diglyceride Prepara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by Using Mice)

  • 홍순기;정신교;현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53-857
    • /
    • 2008
  • 시험물질 공액리놀렌산이 함유된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의 마우스에 대한 소핵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물질 500, 1,000, 2,000 mg/kg의 용량과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인 Mitomycin C 2 mg/kg 투여군을 설정한 후, 음성대조군과 시험물질군은 경구투여 하였고, 양성대조군은 복강투여 하여 최종 투여 후 24시간 후에 대퇴골로부터 골수세포를 채취, 도말하였다. 골수검체는 5% Giemsa액으로 염색하며 소핵유발빈도를 검경하였다. 시험결과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모든 시험물질군의 다염성적혈구(Polychromatic erythrocyte, PCE) 중 소핵다염성적혈구(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 MNPCE)의 출현율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양성대조군의 다염성적혈구 중 소핵다염성적혈구의 출현율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증가가 인정되었다. PCE/(PCE+NCE)의 비는 시험물질군과 음성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의 소핵유발빈도는 historical control date의 정상범위에 있었기 때문에 본시험은 적절한 조건하에서 실시되었음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 조건하에서 시험물질인 공액리놀렌산이 함유된 디글리세라이드 조성물은 마우스 골수세포의소핵유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ison of In Vitro Cell Transformation Assay Using Murine Fibroblasts and Human Keratinocytes

  • Ahn, Jun-Ho;Park, Sue-Nie;Yum, Yung-Na;Kim, Ji-Young;Lee, Michae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7-44
    • /
    • 2008
  • The in vitro cell transformation assays (CTA) were performed using BALB/3T3 murine fibroblasts and HaCaT human keratinocytes in order to evaluate concordance between both in vitro CTAs and carcinogenicity with compounds differing in their genotoxic and carcinogenic potential. Six test articles were evaluated, two each from three classes of compounds: genotoxic carcinogens (2-amino-5-nitrophenol and 4-nitroquinoline-N-oxide), genotoxic noncarcinogens (8-hydroxyquinoline and benzyl alcohol), and nongenotoxic carcinogens (methyl carbamate and N-nitrosodiphenylamine). Any foci of size $\geq$2 mm regardless of invasiveness and piling was scored as positive in CTA with BALB/3T3. As expected, four carcinogens regardless of their genotoxicity had positive outcomes in two-stage CTA using BALB/3T3 cells. However, of the two genotoxic noncarcinogens, benzyl alcohol was positive CTA finding. We concluded that, of the 6 chemicals tested, the sensitivity for BALB/3T3 system was reasonably high, being 100%. The respective specificity for BALB/3T3 assay was 50%. We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 BALB/3T3 assay and results from HaCaT assay in order to develop a reliable human cell transformation assay. However, evaluation of staining at later time points beyond the confluency stage did not yield further assessable data because most of HaCaT cells were detached after $2{\sim}3$ days of confluency. Thus, after test article treatment, HaCaT cells were split before massive cell death began. In this modified protocol for this HaCaT system, growing attached colonies were counted instead of transformed foci 3 weeks since last subculture. Compared to BALB/3T3 assay, HaCaT assay showed moderate low sensitivity and high specificity. Despite these differences in specificity and sensitivity, both cell systems did exhibit same good concordance between in vitro CTA and rodent carcinogenicity findings (overall 83% concordant results). At present the major weakness of these in vitro CTA is lack of validation for regulatory acceptance and use. Thus, more controlled studies will be needed in order to be better able to assess and quantitatively estimate in vitro CTA data.

세균을 이용한 정제봉독의 복귀돌연변이시험 (Mutagenicity Study of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by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 한상미;홍인표;우순옥;김세건;장혜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8-233
    • /
    • 2017
  • 서양종 꿀벌의 일벌의 독을 채취하여 정제한 정제봉독에 대한 세균에서의 돌연변이 유발성 검색을 위하여 S.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TA100, TA1535, TA98, 그리고 TA1537의 균주와 대장균 E.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해 복귀돌연변이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제봉독은 부형제로 사용한 멸균생리식염수에 용해되었으며 모든 농도군의 조제물에서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제봉독 조제물을 top agar와 혼합할 때 모든 농도군에서 혼탁이나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대사활성계 적용 TA100, TA1535, TA98 균주에 대해 0, 1.5, 5, 15, 50, 150 및 500 µg/plate의 범위를 설정하고 미 적용시엔 0, 0.15, 0.5, 1.5, 5, 15 및 $500{\mu}g/plate$의 범위로 설정하였다. TA1537과 WP2 uvrA균주에 대한 농도 범위은 대사활성계 적용시엔 0, 5, 15, 50, 150, 500 및 1,500를 미 적용시엔 0, 1.5, 5, 15, 50, 150 및 500 µg/plate 범위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험균주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여부에 상관없이 정제봉독 처리군의 평균 집락 수는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양성판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정제봉독은 본 시험조건 하에 사용한 시험 균주에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X-선 조사식품 4종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Evaluation of X-ray Irradiated Four Foods)

  • 정다운;황옥화;송범석;변명우;강일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588-1593
    • /
    • 2014
  • 본 연구는 방사선 조사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용성을 증대하고, 감마선조사의 대체기술로 X-선 조사의 상용화를 확대할 목적으로 30 kGy X-선 조사식품 4종(닭고기, 전란분말, 건파, 후추)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를 실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및 TA1537에 대한 X-선 조사식품 4종의 복귀변이 집락 수를 조사한 결과, 대사 활성계 도입 및 부재 시 모두 시험 적용 농도인 $40{\sim}5,000{\mu}g/plate$의 범위에서 복귀변이 집락 수의 농도 의존적인 증가 혹은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포유류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에서도 X-선 조사식품 4종은 $625{\sim}5,000{\mu}g/mL$의 시험 적용 농도에서 염색체 이상 유발능이 5% 미만이어서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치류 망상적혈구를 이용하여 X-선 조사식품 4종의 소핵 형성 시험을 수행한 결과 시험 적용 농도인 250~2,000 mg/kg의 범위에서 소핵을 가진 망상적혈구의 출현율이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위해 분석 결과 30 kGy X-선 조사식품 4종(닭고기, 전란분말, 건파, 후추)은 본 시험조건에서 유전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광독성 평가와 동물대체시험법 (Evaluation of Phototoxicity for Cosmetics and Alternative Method)

  • 이종권;신지순;김진호;엄준호;김형수;박귀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45-251
    • /
    • 2005
  • 화장품은 의약품과 달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거의 평생에 걸쳐 사용하는 제품이므로 피부 및 인체의 안전성 확보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화장품의 안전성 평가는 화장품법에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이 고시하도록 되어있어 현재 식약청고시 '기능성화장품등의 심사에 관한 규정'에서 정하고 있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독성은 피부노화, 피부홍반, 피부손상, 피부암 유발 면역계장애 등이 있으며,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는 자외선을 사람에게 암을 유발하는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자외선 노출에 의하여 설치류에 대한 피부암 유발보고는 많이 있고,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암화 과정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화장품이 광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는 시험은 광독성시험으로, 국내에서 광독성에 대한 규정은 자외선에서 흡수가 없음을 증명하는 흡광도 시험자료를 제출하는 경우는 면제이고 그 외의 경우는 상기 고시에 의한 광독성 시험과 광감작성 시험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시험은 일반적으로 기니픽 또는 토끼를 포함한 적절한 동물로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화장품 안전성 평가에 있어서 동물대체시험법의 요구는 3R (replacement, refinement, reduction) 운동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이제는 전세계로 확대되어 있으며, 화장품 안전성심사에 있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화장품의 광독성 평가에 대한 대체시험법으로 3T3 NRU(neutral red uptake) 광독성시험이 2004년 4월 OECD 독성시험 기준으로 채택되었다. In vitro 광독성 시험법은 마우스 유래의 섬유아세포인 3T3 cell을 이용하여 광조사한 것과 광조사하지 않은 세포와의 세포독성을 NRU 시험을 이용하여 그 정도를 비교하여 그 차이(PIF, photoirritation factor)가 5배 이상이 되면 광독성 물질로 분류하는 평가방법이다.

전리방사선 및 자외선의 미생물 돌연변이와 DNA 손상에 대한 영향 (Effects of ionizing and ultraviolet radiation on microbial mutation and DNA damage)

  • 남지현;신지혜;이정윤;이동훈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0-28
    • /
    • 2017
  • 감마선, 전자빔 등과 같은 전리방사선과 자외선을 이용하는 물리적 멸균방법은 살균 효과와 경제성이 우수하므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미생물의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리방사선 및 자외선의 유전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Salmonella enterica와 Escherichia coli 균주에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을 조사한 후에 생존율, 돌연변이율, DNA 손상 효과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의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험 균주의 생존율이 모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90% 이상이 사멸되는 조사선량은 각각 $0.40{\sim}25.06mJ/cm^3$, 0.11~0.22 kGy, 0.14~0.53 kGy 이었다. SOS/umu-test에서는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에 노출된 모든 시료에서 DNA 손상을 유발하는 유전독성이 확인되었다. Ames test에서는 자외선과 감마선에 노출된 후에 복귀 돌연변이율이 각각 $3.82{\times}10^{-4}$, $9.84{\times}10^{-6}$까지 증가하였다. S. enterica TA100의 사멸율이 99.99% 이상 되는 선량의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에서의 복귀 돌연변이율은 각각 자연돌연변이율 대비 347배, 220배, 0.6배 증가하였다. E. coli CSH100 균주를 자외선, 감마선, 전자빔에 노출시킨뒤에 조사한 리팜피신내성 돌연변이율은 각각 $2.46{\times}10^{-6}$, $1.66{\times}10^{-6}$, $4.12{\times}10^{-7}$ 이었다. 따라서 사멸효과의 관점에서는 감마선 처리가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으며, 전자빔은 DNA 손상과 세균돌연변이를 적게 유발하며 사멸효과를 얻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