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ally modified food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Assessment of allergenicity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GMOs)

  • Lee, Jung-Hyun;Yoon, Won-Ki;Han, Sang-Bae;Yun, Si-On;Park, Sun-Hong;Lee, Hyun-Ju;Yoon, Pyung-Seop;Moon, Jae-Sun;Kim, Hyung-Chin;Kim, Hwan-M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267.1-267.1
    • /
    • 2002
  •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the transgene products in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has been an important issue. As a part of the risk assessment of GMOs. we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stability and the immunogenicity of food allergens to determine their allergenicity. We have systematically evaluated the stability of food allerge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by using simple models of gastric (Stimulated gastric fluid) and intestinal (Stimulated intestinal fluid) digestion. (omitted)

  • PDF

영남 지역 대학생들의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위험 지각 특성 연구 (A Study on Risk Perception Characteristics for Food Risk Elements of University Students in Yeungnam Region)

  • 김효정;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0-45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risk perception characteristics for food risk elements using a psychometric paradigm from 298 university students in Yeungnam region, Korea,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risk concern about radioactive contaminated foods and the lowest level about GM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the risk perception characteristics for food risk elements, they perceived radioactive contaminated foods as a catastrophic, worried, new, and uncontrollable risk. In addition, they regarded food additives and foodborne illness as a chronic, controllable, old, and scientifically and individually known ris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for risk perception characteristics, dread and unknown were categorized. In the risk perception map, mad cow disease, heavy metal contaminated foods, and radioactive contaminated foods were considered as a dreaded and unknown risk, whereas pesticide residues and GM foods were perceived as a less dreaded and unknown risk. Additionally, food additives and foodborne illness were regarded as a less dreaded and known risk and endocrine disruptors and avian influenza as a dreaded and known risk. These results imply that risk 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should be considere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risk communication in food science.

유전자변형식품에 관한 세 가지 논의: 국제기준, 알권리, 대항 전문성 (Three Sides of Korean Genetically Modified Food Controversies: Global Standards, Right-to-know and Counter-experts)

  • 김효민;여재룡;유수형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31-66
    • /
    • 2011
  •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에 관련된 사회 운동은 그동안 주로 표시제를 통해 소비자가 알권리와 선택할 권리를 보장해주어야 할 정부의 책임을 사회운동의 전면에 강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실질적 동등성 개념에 기반을 두고 유전자 변형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현행의 규제 방식에 대항적 전문성을 통하여 맞서고 비판하는 활동은 사회적으로 크게 확산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인터뷰와 문헌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에 관련된 논의에 참가한 세 그룹-규제 과학자, 시민단체, 대항 전문가-의 활동이 각각 현행 유전자변형식품 규제의 방식과 어떤 연관을 맺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항 전문가들은 '국제기준 순응의 담론'의 생산자인 규제 과학자들과 충돌하면서 규제 형성의 과정에서 배제되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유전자변형식품을 둘러싼 논란의 지형을 이해하기 위하여, 대항적 전문지식을 가진 행위자들이 다른 집단과 폭넓은 연대를 형성하지 못했던 과정과 맥락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Soy and Maize

  • Park, Kyoung-Sik;Kim, Mi-Gyeong;Leem, Dong-Gil;Yoon, Tae-Hyung;No, Ki-Mi;Hong, Jin;Kwon, Eun-Mi;Moon, Ae-Rie;Jeong, Ja-Yo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8-280
    • /
    • 2010
  •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novel qualitative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GM) soy and maize within a single reaction. The specific primers designed to detect four respective GM events (A2704-12, MON88017, Bt11, and MON863) were included in the tetraplex PCR system. Each of PCR products for four GM events could be distinguished by agarose gel based on their different lengths. The specificity and reproducibility of this multiplex PCR were evaluated. This multiplex PCR consistently amplified only a fragmen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nserted gene in each of the four GM events and also amplified all four of the PCR products in the simulated GM mix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s multiplex PCR method could be an effective qualitative detection method for screening GM soy and maize in a single reaction.

PCR을 이용한 국내에서 안전성이 확인된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의 분석 방법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Safety-approved in Korea Using PCR)

  • 허문석;김재환;박선희;우건조;김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33-1038
    • /
    • 2003
  • 본 연구는 유전자재조합 기술에 의해 개발된 유전자재조합 옥수수(GMM)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PCR을 이용한 검출방법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안전성이 허가된 event MON810, GA2l, NK603, TC1507의 GMM에 삽입된 유전자와 표준대조 유전자인 zein의 유전자를 근거로 제작된 primer와 CTAB 방법으로 추출된 옥수수의 DNA를 template로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GMM의 검출을 위한, 제작된 primer들은 GMM와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증폭된 PCR 산물을 생성하였다. 국내시장에 유통 중인 식용과 사료용의 원료옥수수에서 모니터링 하여 이러한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의 일부가 국내에 유통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전자변형 콩과 자연 콩의 알레르기 유발원 비교 (Comparison of Allergens in Genetically Modified Soybean with Conventional Soybean)

  • 박재현;정승태;김재희;김지영;노건웅
    • 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93-301
    • /
    • 2001
  •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using recombinant DNA technique has been exponentially increased, however there are still arguments for the safety of GM food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allergens of GM soybean(Roundup Ready$^{TM}$) with conventional soybeans. Each soybean extracts were prepared as crude extracts, heated extracts, and as heated and simulated gastric quid (SGF)-digested samples to characterize the stability of allergens to physicochemical treatment. Positive sera from 20 soybean-sensitive patients and control sera from 5 normal subjects were used to identify the endogenous allergens in soybeans. Specific-IgE binding activities to each soybean preparations were evaluated by ELISA and immunoblot technique. In ELISA result, IgE binding activities of positive sera to soy crude extracts generally showed two fold higher mean value than those of control sera,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M soybean and natural soybean varieties. Extracted proteins form each of the soybean preparations were separated with SDS-PAGE. The band pattern of GM soybean was very similar to those of natural soybean varieties. Immunoblots for the different soybeans revealed no differences in IgE-binding protein patterns, moreover, disclosed five prominent IgE-binding bands (75, 70, 50, 44 and 34 kDa) in crude extracts, four (75, 70, 44 and 34 kDa) in heated preparations, one (50 kDa) in heated and SGF-digested preparations. These IgE binding bands were consistent with previously reported results on the soybea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M soybean (Roundup Ready$^{TM}$) is no different from natural soybean in terms of its allergen.gen.

  • PDF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관련 식품위생공무원의 인지도 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Food Sanitation Officers Toward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 오경남;이순호;이우영;박혜경;박선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2-35
    • /
    • 2005
  • 유전자재조합식품과 관련된 담당 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의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들을 근무년수별, 소속별, 업무별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지의 각 문항에 대한 결과는 위 분류별로 통계분석하여 빈도수 및 응답률로 나타내었다. 조사 결과,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해 들어본 경험은 $9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전자재조차식품의 혜택은 식량난 해결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의 표시에 대해서는 '$90\%$ 이상이 표시해야 한다' 또는 '가급적 표시해야 한다'로 응답하여 식품위생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은 유전자재조합 표시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었으며 학력 수준 및 전문 수준이 높을수록 구입하여 먹을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은 근무년수별, 소속별, 업무별 구분에 상관없이 기본적인 지식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cdot$도공무원 및 국립검역소 그룹은 다른 전문가 그룹에 비해서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안전성 인식은 대체로 안전하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20년 이상 근무자와 일반 행정 업무자는 다른 그룹에 비해서 안전하지 않거나 불안하다는 견해를 더 많이 나타냈다. 식품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식품취급 부주의 및 취급 불량으로 응답하였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협요인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매우 적었다($4.4\%$). 결론적으로 유전자재조합식품 관련 공무원 및 기타 전문가들은 일반시민들에 비해서 섭취나 안전성에 보다 긍정적인 견해를 나타냈지만 생물학 지식에 대해서는 그룹별 차이가 있었으며 유전자재조합식품에 대한 민원업무 처리에 어려운 점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아 관련 전문가들에게도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가 가능하다는 사전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낮은 pH인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시 산발효조를 거치지 않고도 혐기성 처리가 가능하였으며,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유기물 및 고형물의 처리효율은 매우 양호했고 또한 인의 제거율도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국 음식물쓰레기(11,398ton/d)를 대상으로 에너지를 산출하면 Braun에너지 환산계수 $5.97kwh/m3(60\%\;CH_{4})$를 적용할 때 우리나라의 1일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총량은 6,727MWh로 환산될 수 있으며 이는 유기물(COD)당 발생되는 메탄 가스량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고농도의 유기물이 함유된 음식물쓰레기는 Hybrid Anaerobic Reactor (HAR)를 이용하여 HRT 30일 정도에서 충분히 직접 혐기성처리가 가능하며, 이때 발생된 $CH_{4}$를 회수하여 이용하면 대체에너지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207), $99.2\%$(238/240), $98.5\%$(133/135) 및 $100\%$ (313)였다. 각각 두 개의 요골동맥과 우내흉동맥에서 부분협착이나 경쟁혈류가 관찰되었다. 결론: 동맥 도관만을 이용한 Off pump CABG를 시행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영구적인 신경학적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았고 좋은 혈관 개존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동맥 도관을 이용한 Off pump CABG는 관상동맥의 협착의 정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시행 시 좋은 임상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였다. 그러나 심근 기능이나 좌심실의 리모델링 경과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결과 실제 실험 값들은 예측된 값들과 유사한 수준의 결과를 보였다

Establishment of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for Genetically Modified Maize Using a Reference Plasmid and Novel Primers

  • Moon, Gi-Seong;Shin, Weon-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274-279
    • /
    • 2012
  •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enetically modified (GM) maize in processed foods, primer sets and probes based on the 35S promoter (p35S), nopaline synthase terminator (tNOS), p35S-hsp70 intron, and zSSIIb gene encoding starch synthase II for intrinsic control were design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ts (80~101 bp) were specifically amplified and the primer sets targeting the smaller regions (80 or 81 bp) were more sensitive than those targeting the larger regions (94 or 101 bp). Particularly, the primer set 35F1-R1 for p35S targeting 81 bp of sequence was even more sensitive than that targeting 101 bp of sequence by a 3-log scale. The target DNA fragments were also specifically amplified from all GM labeled food samples except for one item we tested when 35F1-R1 primer set was applied. A reference plasmid pGMmaize (3 kb) including the smaller PCR products for p35S, tNOS, p35S-hsp70 intron, and the zSSIIb gene was constructed for real-time PCR (RT-PCR). The linearity of standard curves was confirmed by using diluents ranging from $2{\times}10^1{\sim}10^5$ copies of pGMmaize and the $R^2$ values ranged from 0.999~1.000. In the RT-PCR, the detection limit using the novel primer/probe sets was 5 pg of genomic DNA from MON810 line indicating that the primer sets targeting the smaller regions (80 or 81 bp) could be used for highly sensitive detection of foreign DNA fragments from GM maize in processed foods.

대두 및 옥수수 가공식품에서 유전자재조합체(GMO)의 정성 PCR분석을 위한 핵산 추출방법별 비교 (Comparative Evaluation on Qualitative PCR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r Nucleic Acids on Soybean and Corn Processed Foods)

  • 김영찬;이철수;황순욱;김성조;이영옥;윤성원;서정화;남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3
    • /
    • 2003
  • PCR법은 특정 유전자를 증폭하는 기술로 작물 및 식품에서 유전자 변형체 함유 여부를 가리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핵산의 추출법에 따라 PCR의 감도가 크게 달라지므로 정확한 추출법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재 컬럼형 상용화 키트와 기존의 용매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콩과 옥수수가공식품에 대한 각 유전자 부위의 검출감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핵산의 추출효율과 도입유전자의 증폭효율면 모두 상용화 키트인 Wizar$d^{TM}$, DNeasy$^{TM}$ 추출법이 우수하였다. DNeasy법은 대부분의 식품에서 우수한 추출효율을 보였으나, 옥수수가공식품에서 수율이 감소하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Wizard법은 모든 가공식품에서 고른 추출효율을 보였으며, PCR반응에 의한 증폭산물도 잘 보존되어 가공식품의 GMO 검출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TAB법은 콩가공식품에서 약간 효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경우 효율이 낮았으며, 식품의 종류에 따라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phenol/chloroform법은 대부분의 식품에서 핵산의 분리가 어려운 방법으로 나타나 GMO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전공 여부에 따른 대학생의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식, 지식 및 구매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ajors)

  • 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86
    • /
    • 2016
  • This study was analyz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f food safety education way on the recognition,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GMO foods. Data was collected from 270 University students in the Gyeong-gi region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the knowledge and purchase attitude of GMO foods showed 0.742 and 0.832 in Cronbach alpha coefficient, 0.791 and 0.831 in KM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and intake possibility and purchase will, safety and absorption to a GMO foods between the specialty person and non-specialist (p<0.05). By the kind of GMO foods it appeared highly by the order corn (70.0%), tomato (67.5%), beans (63.3%) and potato (51.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knowledge of GMO foods (p<0.05),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estion 'There were no genes in ordinary beans' by a presence of a specialty (p>0.05). After the purchase attitude difference to the GMO foods was analyzed by a presence of a specialty, I appeared most highly in the question to which I say 'I think a GMO foods is ethical.' by a negative question and 'I think a GMO foods is mass-produced, and it's possible to make a food problem decrease.' by an affirmative question. Therefore, the purchase attitude of GMO foo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major (p<0.05).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provision of detailed and continuous education must be accomplished by raising the recognition of GMO foods and its acceptance level, allowing a proper understanding of GMO foods to be conveyed and assisting subjects from receiving the information they desire effectively by various education medi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