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tically modified (GM) food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18초

유전자변형 β-carotene 강화 쌀의 생체 이용과 영양기능성 탐색 (Assessment of the Bioavailability and Nutritive Fun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β-Carotene-biofortified Rice by Using Wistar Rats)

  • 이영택;이경원;성기승;김성수;이종석;이옥환;조현석;서석철;한찬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3-2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beta}$-carotene 강화쌀의 생체이용율과 영양기능성을 모종쌀과 비교하였다. 실험동물은 수컷 Wistar 흰쥐를 사용하였고, Harlan 2018S-diet를 기본 식이로 하였다. 실험 식이는 낙동쌀(모종쌀), ${\beta}$-carotene 강화쌀(GM쌀) 및 Harlan 2018S-diet(대조군)으로 하였고, 실험군당 11마리씩 배정하였다. 실험식이에 함유된 전분 함량은 모종쌀과 GM쌀로 각각 30% 대체하였고, 펠렛 식이로 재성형하여 4주 동안 급여하였다. 실험기간동안 GM쌀의 급여는 모종쌀과 비교시 흰쥐에게 식이섭취량이나 체중 증가와 같은 일반적인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간, 신장, 비장, 체지방 등의 6개 장기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GM쌀은 모종쌀 식이 섭취군과 비교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지질중 총콜레스테롤(TC) 함량은 GM쌀 식이군이 모종쌀 식이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분변지질(TC, TG) 농도 역시 GM쌀 식이군이 모종쌀 식이군에 비해 낮았다. 혈청생화학치와 혈구세포의 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두 실험군(모종쌀, GM쌀)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지질 농도는 GM쌀 식이군이 모종쌀 식이군 보다 낮았고, 공복혈당은 GM쌀 식이군이 모종쌀 식이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GM쌀은 모종쌀에 비해 생체이용 측면에서 성장률과 장기무게 및 체지방 등에서 차이가 없었고, 영양기능 측면에서는 배변량을 증가시키고, 간과 분변 및 혈중 지질농도를 낮추며, 공복혈당치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면역측정법을 이용한 두부 중의 유전자 재조합 대두단백질 분석 (Quantif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Soy Proteins in Fresh Soybean Curd by Antigen-coated Plate ELISA)

  • 정미현;배형기;김경미;장인숙;고은정;배동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28-83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재조합 되지 않은(non-GM) 대두와 유전자 재조합된(GM) 대두가 혼입되어 제조된 두부에서 효소 면역 측정법을 이용하여 non-GM 대두의 혼입량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두부의 SDS-PAGE 실행 결과 non-GM 두부에서만 나타나는 특이 단백질 non-GM 113kDa 밴드와 non-GM과 GM 두부에서 모두 나타나는 non-GM 24kDa 밴드를 선별하고 이들을 토끼에 면역하여 항체생성 여부를 ELISA한 결과 non-GM 113kDa과 non-GM 24kDa 단백질 모두 항체가 형성됨을 확인하였고 $10^{-1}-10^{-6}$의 단백질 희석배수에서 두부를 이들 항체에 대하여 ELISA함으로써 원료대두의 GM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중, 보다 감도가 높았던 non-GM 113kDa 단백질을 $10^{-7}-10^{-6}$의 배수로 희석하여 ELISA 흡광도와 non-GM 단백질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준곡선을 작성하였고, 임의로 non-GM 대두와 GM 대두를 혼합하여 제조한 두부의 ELISA 흡광도를 이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non-GM 원료와 GM 원료 작물의 혼입율을 측정한 결과,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Assessment of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and Soy-based Products

  • Kim, Jae-Hwan;Lieu, Hae-Youn;Kim, Tae-Woon;Kim, Dae-Ok;Shon, Dong-Hwa;Ahn, Kang-Mo;Lee, Sang-Il;Kim, Hae-Y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954-958
    • /
    • 2006
  • A comprehensive safety evaluation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tential allergenicity of newly introduced proteins in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We assessed the allergenicity of CP4 5-enolpyruvylshikimate-3-phosphate synthase (EPSPS) in GM soybeans. This assessment was performed by IgE immunoblotting with soy-allergic children's sera,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known allergens, and the digestibility of CP4 EPSPS. No differences in IgE-antigen binding by immunoblotting were found between GM soy samples and the corresponding non-GM samples. Based on the comparison of EPSPS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current allergen databases, no known allergen was found. In addition, CP4 EPSPS protein was rapidly digested by simulated gastric fluid (SGF).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M soybeans have no allergenicity in children and are as safe as conventional soybeans.

형질전환 가뭄저항성 벼 현미의 주요 영양성분 분석 (Nutritional Composition of Drought-Tolerant Transgenic Rice)

  • 이영택;이향미;안병옥;조현석;서석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30-735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내건성을 갖도록 형질전환된 가뭄저항성 벼(GM 벼)와 그 모종 벼인 일미벼(non-GM 벼)로부터 쌀(현미)의 일반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무기질, 비타민 함량을 분석하여 가뭄저항성 벼에서 주요 영양성분의 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벼는 군위와 수원 두 지역에서 재배되었다. 가뭄저항성 쌀은 모종 쌀과 일반성분 함량이 유사하였으며 두 재배지역간 성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지방산 조성은 non-GM 쌀과 전체적인 지방산 조성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GM 쌀의 아미노산 함량은 non-GM 쌀과 차이가 없었으나 non-GM 쌀 모종의 경우 두 재배지역간에 아미노산 함량에 다소간의 차이가 있어 같은 품종이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차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저항성 쌀이 non-GM 쌀에 비해 무기질 함량이 약간 높은 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비타민 $B_1$과 비타민 E 함량에도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재조합식품과 소비자보호 (Genetically Modified Foods and Consumer Protection)

  • 유두련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4호
    • /
    • pp.89-102
    • /
    • 2002
  • Genetically modified foods may be defined as the foods deemed as safe by current technology among the many kinds of agricultural and stockbreeding products that are now under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contemporary gene-modification techniques. This study examines hotly debated arguments, both for and against genetically modified- foods, in various countrie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consumers'rights and responsibilities. Countries that are developing and export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 have maintained that GMO can help produce more crops while reducing labor and other production-related costs, and that the genetically modified foods signify ″the second green revolution,″ which will solve future food and environmental problems by strengthening specific nutritive substances and extending shelf-life. But consumer groups,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nd food-importing countries are more cautious about importing and consuming those foods because the potential dangers of GMO to human bodies and the environment have not been tested thoroughly yet. South Korea, following suit with others such as EU, Japan, Australia, and New Zealand, introduced a law on 'Labeling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which went in effect in March, 2001, on the basis of customers'rights to make informed choices. The law take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into consideration, rather than stopping at insuring ″substantial equivalence″ in developing and consuming GM foods. The actual impact of the law will depend on the level of citizens'Participation more than on the government's willingness to carry out the law. So far the level of Korean consumers'consciousness about genetically modified foods is very low. Therefore, it is hard to expect consumers to exercise their ″rights not to buy″ foods that are potentially unsafe. The Korean government must devise an effective plan to inform and educate the people about the labeling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지도 및 수용도에 대한 연차별 비교 (Consumer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netically-modified Foods in Korea;2000-2001)

  • 김명희;김재욱;채경연;박세원;김연순;경규항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7-165
    • /
    • 2002
  •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안전성과 표시에 관한 일반국민의 의식을 2000년과 2001년 5웜과 9월 사이에 각각 750명과 9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균 67.7%의 응답자가 유전자재조합식품에 관한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줄 수 있는 최대의 이점은 식량난해결이라는 의견을 나타냈다. 유전자재조합식품에는 90%이상의 응답자가 표시하기를 바랐으며 현재 구입하여 먹겠다는 사람은 18%이었고 기다려보겠다는 관망형이 49%를 넘어서 표시를 희망하면서도 결정을 유보하는 사람의 비율이 많았다. 유전자재조합기술로 개발된 제초제 내성 콩을 먹겠다는 사람보다 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비타민 함량이 높은 콩을 먹겠다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보아 제품의 특성을 중시하지 유전자재조합 여부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가 먹는 생물 유래의 식품에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바르게 알고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40% 정도였다. 유전자재조합식품이 위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극히 적어서 응답자의 4%정도로 유지하였다.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인 스타링크의 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66%나 되었던 반면 2001년 7월부터 실시된 유전자재조합 표시제의 시행에 대해 알고있는 소비자는 22%에 지나지 않았다.

RT-PCR을 이용한 유전자변형파파야(55-1)검사법 확립 및 파파야가공식품의 적용 연구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a qual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for detecting genetically modified papaya line 55-1 in papaya products)

  • 권유진;정소영;조경철;박지은;구은주;서동혁;김유진;황지현;박성수;최선옥;임철주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117-124
    • /
    • 2015
  • Genetically modified (GM) papaya line 55-1, which is resistant to PRSV infection, has been marketed globally. Prompt and sensitive protocols for specific detections are essential for the traceability of this line. Here, an event- and construct-specific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method was established to detect 55-1. Qualitative detection was possible for fresh papaya fruit up to dilutions of 0.005% and 0.01% for the homozygous SunUp and heterozygous Rainbow cultivars, respectively, in non-GM papaya. The method was applied in the qualitative detection of 55-1 in eight types of commercially processed papaya products. Additionally, papaya products were monitored to distinguish GM papaya using the P35S and T-nos RT-PCR detection methods. As expected, detection capacity was improved via modified sample preparation and the established RT-PCR detection method. Taking these results together, it can be suggested that a suitable method for the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DNA from processed papaya products was established for the detection of GM papaya.

Appearance/Instance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at Grain Receiving Harbors and Along Transportation Routes in Korea

  • Han, Sung Min;Kim, Do Young;Uddin, Md. Romij;Hwang, Ki Seon;Lee, Bumkyu;Kim, Chang-Gi;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21-224
    • /
    • 2014
  •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are not permitted to be cultivated in Korea, but can only be imported as food or feed purposes. The import of GM crops has sharp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us raising concerns with regard to the unintentional escape of these crops during transport and manufacturing as well as the subsequent contamination of local, non-GM plants. Hence, monitoring of GM crops was studied in or outside of grain receiving ports as well as from feed-processing plants in Korea during July 2008. We observed spilled maize grains and established plants primarily in storage facilities that are exposed around the harbors and near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feed-processing areas. Based on the PCR analyses, a total of 17 GM maize plants and 11 seeds were found among the samples. In most cases, the established maize plants found in this study were at the vegetative stage and thus failed to reach the reproductive stage. This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to prevent a genetic admixture in the local environment for GM crops or seeds, frequent monitoring work and proper action should be taken.

Event-specific Detection Methods for Genetically Modified Maize MIR604 Using Real-time PCR

  • Kim, Jae-Hwan;Kim, Hae-Ye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118-1123
    • /
    • 2009
  • Event-specific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detection method for genetically modified (GM) maize MIR604 was developed based on integration junction sequences between the host plant genome and the integrated transgene. In this study, 2 primer pairs and probes were designed for specific amplification of 100 and 111 bp DNA fragments from the zSSIIb gene (the maize endogenous reference gene) and MIR604. The quantitative method was validated using 3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CRMs) with levels of 0.1, 1, and 10% MIR604. The method was also assayed with 14 different plants and other GM maize. No amplification signal was observed in real-time PCR assays with any of the species tested other than MIR604 maize. As a result, the bias from the true value and the relative deviation for MIR604 was within the range from 0 to 9%. Precision, expressed a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varied from 2.7 to 10% for MIR604. Limits of detections (LODs)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were all 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vent-specific quantitative PCR detection system for MIR604 is accurate and useful.

유전자변형 바이러스 저항성 고추의 알레르기 안전성 (Allergic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cucumber mosaic virus resistant pepper)

  • 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01-907
    • /
    • 2015
  • CMV 바이러스 저항성 H15 고추 도입유전자의 발현산물인 CMV-CP 단백질의 80개씩의 아미노산 비교에서 35% 보다 큰 상동성을 갖거나 8개 이상의 일련된 아미노산 염기 서열이 일치하는 알레르겐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CMV-CP 단백질 서열은 기지의 알레르겐과 구조적 및 면역학적으로 연관된 유사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에 따른 특성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재배된 CMV 바이러스 저항성 H15 고추 및 그 모본의 발현 단백질 항원 농도와 그 분포를 비교한 결과 발현된 단백질의 양상과 양은 재배 연도 및 환경적 영향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지만, 동일한 연도에 같은 장소에서 재배된 유전자변형 고추와 그 모본 사이에서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아 형질전환으로 인한 특성변화는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환자 혈청을 이용해 immunoblotting법과 ELISA법으로 확인한 항원-항체 반응성 비교에서도 CMV 바이러스 저항성 H15 고추와 그 모본 P2377사이에 차이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유전자변형 고추 H15는 그 모본과 비교하여 형질전환으로 인한 알레르기성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