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eral teaching efficacy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초

허혈성심질환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 (The Trend and Issues of Nursing Research Related to Ischemic Heart Disease Published in Korea)

  • 이종율;이향련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89-102
    • /
    • 2003
  •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trend of studies related to IHD(Ischemic Heart Disease). This article reviewed 102 researches on IHD conducted from 1980 to 2003, by examining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sources by publication period, research design, nursing intervention, outcome of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m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IHD has steadily increased year by year since 1985, and that of the articles was the highest during the post-2000 period. Especially, the majority of researches has published since 1995. 2. The 69 studies were degree of all 102 studies related to IHD, and the majority of articles' authors belonged to graduate school. Thirty three studies were non-degree articles. As for study design, the number of quantitative studies were 99 and that of qualitative studies were 3. Non-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ere largely survey and correlational study. 3. Non-experimental study makes up a high proportion of the quantitative study. The most of experimental studies were accomplished after 2000. The main subjects were patients, chart records and general subjects. The majority number of subjects was like this : while the number of non-experimental study was between 51 and 100, that of experimental study was below 50. The number of subject of qualitative study is like this : the number of phenomenology study was 21 and 11, and that of case study is 14. 4. Nursing interventions used in the experimental study comprised teaching program,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 massage, relaxation, music therapy and providing of sense information. And the most nursing intervention effects included physiological effect, increased self-efficacy, relieved pain and increased quality of life. Most studies proved to have the affirmative effects. 5. The number of qualitative studies related to IHD is like this : the number of degree articles was 2 and that of non-degree articles was 1. Its themes included resources of hope, the experience of coronary artery angiography and the experience of admission at ICU(Intensive Care Unit).

  • PDF

언택트 시대 줌 기반 영어 수업에서 학습 앱 활용의 효율성 (The Efficacy of Using a Learning-App in a Zoom-Based English Class in the Untact Era)

  • 김혜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71-177
    • /
    • 2021
  • 본 논문의 목적은 줌을 기반으로 학습용 앱 활용이 학습자들의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줌 기반의 학습용 앱을 활용한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줌 기반 수업에서 English Central 앱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하면서도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영어 활동을 수행하였다. 줌 기반의 EC 앱 활용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기 위해 1차와 2차 성취도 테스트,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차례의 테스트 결과 줌 기반의 EC 앱 활용 수업은 학습자들의 영어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조사결과 학습자들은 줌 기반 수업과 EC 앱 활용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줌 기반 수업에 대한 만족의 이유는 "부족한 수업 내용 보완", "영어 연습", "실시간 소통과 의견 공유" 으로 나타났다. 학습용 앱 활용에 대해 만족하는 이유는 "지루하지 않음", "영어의 4기술 훈련",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나타났다. 변화된 언택트 시대 교수자들은 변화된 환경에 맞는 변화된 수업 도구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Clinical assessment of the efficacy of supraglottic airway devices compared with endotracheal tubes in cats during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 Niyatiwatchanchai, Nutawan;Thengchaisri, Naris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27.1-27.10
    • /
    • 2020
  • The efficacies of a supraglottic airway device (SGAD) and an endotracheal tube (ETT) in cats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VCV) were compared. Thirty healthy cats were randomly allocated for airway control using either an SGAD or an ETT. Five tidal volumes (6, 8, 10, 12, and 14 mL/kg) were randomly tested, and respiratory rates were adjusted to achieve a minute ventilation of 100 mL/kg/min. The dose of propofol necessary to insert the SGAD or ETT, the static respiratory pressure, leakage during VCV, and end tidal CO2 (ETCO2) were recorded. Dosages of propofol and static respiratory measurements for the SGAD and ETT groups were compared using a t-test. The distribution of leakages and hypercapnia (ETCO2 > 45 mmHg) were compared using Fisher's exact test. A significance level of p < 0.05 was establish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ose of propofol was observed between the SGAD and ETT groups (7.1 ± 1.0, 7.3 ± 1.7 mg/kg; p = 0.55). Static resistance pressure of the SGAD (22.0 ± 8.1 cmH2O/L/sec)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ETT (36.6 ± 12.9 cmH2O/L/sec; p < 0.01). Of the 75 trials, leakage was more frequent when using an SGAD (8 events) than when using an ETT (1 event; p = 0.03). Hypercapnia occurred more frequently with SGAD (18 events) than with ETT (3 events; p < 0.01). Although intubation with an ETT is the gold standard in small animal anesthesia, the use of an SGAD can reduce airway resistance and the work of breathing. Nonetheless, SGAD had more dead space and the tidal volume for VCV needs adjustment.

SNS 활용 요인이 학습자의 태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학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Affecting Factors of SNS on Learner's Attitude and Performance: Focused on University Class)

  • 전병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7-36
    • /
    • 2017
  • SNS는 의사소통의 도구 뿐 아니라 대학 교육에까지 스며들고 있으며, SN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과 방법에 대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수업에서의 SNS 활용이 학습자의 태도, 지속적 이용 의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매체활용 효능감, 교육적 기대가치, 주관적 규범, 습관, 즐거움을 학습자의 SNS 활용 요인으로 도출하였다. 수도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mart PL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육적 기대가치, 주관적 규범, 즐거움은 SNS 활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매체활용 효능감과 습관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태도는 향후 지속적인 이용 의도와 학습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수업에서의 SNS의 활용은 학습자의 긍정적 태도를 야기하고 나아가 성적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 교육 환경에서 SNS 활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학교육에서 하브루타 수업방식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Havruta Method in Engineering Education)

  • 엄미리;이영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9-15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대 대학수업에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실제적으로 학습자의 역량에 변화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으로, 대학수업에서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물리및실험2>를 수강하는 105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선행연구들을 탐색하여 하브루타 수업에서의 학습자 역량으로 학습준비도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을 선정하고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는 하브루타 수업적용을 위한 수업설계, 실험설계,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하고 SPSS 21.0 for window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학습자 역량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학습준비도능력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하위역량 중 학습에 대한 애착,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주도성/독립성에서 긍정적인 역량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은 사전-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하위역량 중 주도적 의사소통에서 긍정적인 역량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교수자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공대 수업에 학생중심의 하브루타 방식을 적용하여 효과를 탐색한 것으로, 공대 수업이나 대학수업에 하브루타를 적용하고 싶은 교수자나 수업설계자들에게 좋은 지침 및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 (Trend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Korea)

  • 이경건;안태수;문선영;홍훈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27-147
    • /
    • 2022
  • 예비 과학교사 교육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게 될 과학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중요하며, 이에 따라 많은 예비 과학교사 교육연구들이 국내에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그 연구 동향을 중등교사 맥락을 포함하여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정리하는 작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대상 문헌은 1995년부터 2021년까지 17개의 KCI 등재지급 학술지에서 출판된 410건이었다. 해당 연구 문헌들의 동향은 시기별 문헌 수, 주제어 빈도, 연구의 질적 속성을 살펴봄으로써 조사하였다. 이 때 연구의 질적 속성은 예비교사의 유형과 전공, 연구맥락 교과, 연구 주제, 접근 방법, 자료 유형, 연구 참여자 수를 질적 코딩함으로써 다각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의 보고는 5년 간격으로 약 40건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가 출판되는 학술지는 '한국과학교육학회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되 2010년대 후반 이후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었다. 주제어 빈도 분석 결과 과학교수효능감이나 과학의 본성, 그리고 여타 교수학습맥락이 강조되고 있었다. 질적 속성 코딩결과 예비교사 유형은 중등교사, 예비교사 전공과 연구맥락 교과는 '일반' 과학교육이 가장 많았다. 연구 주제로서는 '예비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 그리고 '인식 및 정의적 영역'이 가장 많았다. 접근방법으로서는 특정 주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참여자 수는 11명 이상 30명 미만이 가장 많았다. 다만 이러한 질적 속성의 패턴은 시기별로, 그리고 예비교사 유형별로(유, 초, 중) 사뭇 다르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로부터 보다 행정적인 측면에 집중한 연구, 공통과학 교사에 대한 연구, 교사의 행위주체성에 집중한 연구, SSI 및 STS와 측면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주도할 환경교육 맥락의 포용 등 추후 예비 과학교사 교육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 제안하였다.

예비 가정과교사를 위한 통일대비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Family Life Culture Education Program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aimed at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 이윤정;김유경;송지은;안순희;이연숙;이예영;이하나;임정하;정순화;정민영;한영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5-143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남북한 간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도와 수용을 고양시킴으로써 중등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하여 북한의 가정생활문화의 전반적 측면들을 반영하도록 내용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교사양성기관의 가정교육과 학부학생들 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 15차시의 150분짜리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첫 3회의 수업은 가정생활문화와 다문화주의를 정의하고, 남북간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포함하는 도입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이후의 9차시 동안에는 북한의 가정생활문화를 5개의 영역(소비 및 여가생활, 가족생활 및 양육, 식생활, 주생활, 의생활)으로 나누어 다루었다. 마지막 2차시 동안에는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교수-학습과정안을 가지고 수업실연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전반적인 교수 효능감과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이해도의 변화를 대응표본 t-검증으로 검증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의 결과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남북한 가정생활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을 고양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