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extract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5초

마늘종의 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 강민정;윤환식;신정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29-139
    • /
    • 2012
  • 마늘종의 영양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생 마늘종과 데친 마늘종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생 마늘종의 수분은 $85.14{\pm}0.35%$, 조단백 및 조지방은 $0.79{\pm}0.26%$$2.96{\pm}0.03%$였으며 비타민 C는 생 마늘종이 $7.07{\pm}0.84mg/100g$으로 더 높았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데친 마늘종에서 더 높아 각각 $17.89{\pm}1.46$$8.68{\pm}0.24mg/100g$이었다. 총 클로로필 함량은 생 마늘종이 $6.86{\pm}0.60mg/100g$이었으며 데친 마늘종에서는 $6.70{\pm}0.46mg/100g$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Total pyruvate는 생 마늘종이 $24.63{\pm}1.59mM/g$으로 데친 마늘종에 비해 높았고 thiosulfinate는 생 마늘종이 $183.76{\pm}26.56mM/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리신 함량은 데친 마늘종이 생 마늘종에 비해 45%나 높게 측정되었다. 무기물 중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량은 생 마늘종에서 더 높았다. 마늘종의 생리활성 규명의 일환으로 생 마늘종과 데친 마늘종으로 물과 주정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각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화합물은 $3.49{\pm}0.11{\sim}3.75{\pm}0.29mg/100g$으로 유의차가 없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9{\pm}0.01{\sim}3.68{\pm}0.01mg/100g$으로 데친 마늘종의 물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데친 마늘종 물 추출물의 소거능이 $85.09{\pm}0.28%$로 가장 높았다. 항균활성은 생 마늘종 물 추출물이 가장 높아 실험된 4종의 균주 모두에 항균활성이 있었으나 다른 추출물에서는 활성이 미약하거나 없었다.

흑마늘 추출물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대사의 개선효과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Lipid Improvement in Rats Fed with High Fat-Cholesterol Diet)

  • 이현숙;양승택;류병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4-892
    • /
    • 2011
  • 본 연구는 흑마늘 숙성기간 중의 흑마늘의 지표물질이라 할 수 있는 S-allylcysteine (SAC)의 함량을 측정한 다음 흑마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흰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흑마늘을 10일, 15일 및 20일 숙성 중 S-allylcysteine의 함량은 15일 일 때가 가장 높았으며, 관능검사 결과도 숙성 15일째가 좋았다. 고지방 식이만 공급된 동물군을 정상군, 위약군 그리고 고지방식이에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따라 저농도군, 중농도군 및 고농도군으로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정상군, 실험군 모두 체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흑마늘 추출물 첨가 급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체중 및 식이 효율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중 총지질은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관계없이 감소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흑마늘 추출물 급이에서도 정상군에 비하여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다. 간의 총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 군에서 모두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6주 동안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 콜레스테롤혈증은 동물 실험에서 흑마늘 추출물 첨가가 저농도, 중농도 및 고농도에서 혈액과 간의 중성 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므로 체내지질 개선효과를 갖는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2-Dimethylhydrazine에 의해 유발된 Colonic Aberrant Crypt Foci에 대한 마늘추출물의 암예방효과 (Chemopreventive Effects of Garlic Extracts on Rat Colonic Aberrant Crypt Foci Induced by 1,2-Dimethylhydrazine)

  • 김태명;류재면;권현정;황인국;반정옥;정헌상;홍진태;김대중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21-330
    • /
    • 2007
  • Garlic (Allium sativum L.) with the food supplement material and medicine was used traditionally in Asia and Europe. Epidemiological studies revealed that the intake of garlic reduced incidences of various cancer including digestive system.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lic ethanol extract on the development of colonic aberrant crypt foci (ACF) induced by 1,2-dimethylhydrazine (DMH) in male F344 rats. Five-week-old rats were given four times for two weeks to subcutaneous injections by DMH (30 mg/kg body weight) to induce ACF.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groups that fed diet containing garlic ethanol extract at five different doses (0.1, 0.2, 0.5, 2, 5%), respectively, animals were evaluated for the total number of ACF and total aberrant crypts (AC) per colon detected from methylene blue-stained rat colon. ACF were formed in animals in DMH-treated group. The feeding suppressed potently the appearance ACF in the colon of rats. Especially, fed diet containing garlic ethanol extract at intermediate dose (0.5%) significantly reduced the number of ACF and AC per colon (p < 0.05). Garlic ethanol extract inhibited DMH-induced overexpression of Activator Protein-1 (AP-1) and ${\beta}-catenin$ genes related to cell proliferation that also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21Waf1/Cip1 mRNA, a cell cycle-regulating gen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garlic ethanol extract may inhibit ACF formation, ${\beta}-catenin$ gene as the early preneoplastic marker of malignant potential in the process of colon carcinogenesis.

수영부하 피로에 대한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급이의 회복 효과 (Recovery Effect of Garlic Extract and Vitamin B group Enhanced Diet on Swimming Fatigue)

  • 강민정;신정혜;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75-883
    • /
    • 2011
  •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식이를 4주간 급이한 후 흰쥐에 수영부하 실험으로 스트레스를 가하였을 때, 피로회복 인자와 관련된 흰쥐의 체내 지질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혈당은 대조군($193.41{\pm}3.85$ mg/dl)보다 실험식이군이 $152.85{\pm}6.57{\sim}169.93{\pm}8.75$ mg/dl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으며 마늘추출물과 비타민 B군 강화 시료를 각각 첨가한 SG군과 SV군 보다는 이들을 혼합 급이한 SGV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혈청 중의 TBARS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17.25%나 증가하였으며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급이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간조직의 지질 성분 중 총지질은 정상군에 비해 SGV군이 10% 더 낮은 함량이었고, 중성지질은 대조군에 비해 SGV군에서 46% 더 낮게 정량 되었다. 수영부하 스트레스에 의한 간조직 중의 글리코겐 함량은 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SG, SV 및 SGV 군은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추출물과 비타민 B군 강화급이는 혈중 혈당,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또한 수영부하 스트레스로 혈중 및 간장에 다량 생성될 수 있는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므로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흑마늘 추출물을 첨가한 돈육햄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Ham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Black Garlic Extracts)

  • 양승미;신정혜;강민정;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49-357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ham with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s. Pork ham manufactured from black garlic extracts with 15 brix (1% (H1), 1.5% (H2), 2% (H3)) and 30 brix (0.2% (H4), 0.5% (H5), 1% (H6) were stored for 28 days at $8{\pm}1^{\circ}C$ and analyzed with an interval of 7 day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garlic odor was increased as the garlic extract adding level larger, whereas color, flavor, juiciness, texture and acceptability were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H values of pork products were increased as the level of black garlic extracts increased. The shear force value of groups (H4~H6) with the addition of 30 brix extracts addi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groups with 15 brix extracts addition (H1~H3)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Furthermore, the TBARS (thiobarbut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of the pork ham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us, black garlic extracts have a potential application for the pork products to inhibit of lipid oxidation.

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Peels by Various Extraction Solvents

  • Kim, Gyeong-Hwuii;Duan, Yishan;Lee, Sang-Chang;Kim, Han-S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4-212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70% methanol, 70% ethanol, and chloroform-methanol (CM, 2:1, v/v) extracts from garlic (Allium sativum L.) peels.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and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eta}$-carotene bleaching assa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were in a range of 32.59-63.05 mg CAE/g, 5.26-9.22 mg QE/g, respectively. Total phenol and flavonoid were predominant with the values of $63.05{\pm}0.20mgCAE/g$ and $9.22{\pm}0.17mgQE/g$ in 70% ethanol extract. Additionally, 70% ethanol extract also display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70% methanol extract and CM extract in all assays. These results showed that garlic peel can be used as natural antioxidant in nutraceutical preparations to prevent human diseases.

마늘 중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알린의 분리 및 정량과 Alliin과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Alliin in Garlic and Its Quantitative Determination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orts of Alliin and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Garlic(Alliium sativum L.))

  • 위성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6-302
    • /
    • 2003
  • 본 연구는 마늘속에 alliin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함량을 알고 이들이 에탄올추출물에 향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했다. HPLC를 이용하기 위하여 메탄올로 Alliin을 추출하고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lliin을 에탄을 추출물 시료를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마늘에는 alliin의 함량은 0.34 ∼0.73% fresh weight를 나타내고 에탄을 추출물의 시료에서 동결건조 시료수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효소적 분해가 최소화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에탄을 추출물의 향균효과는 Table 3에서 각 균주에 대하여 억제효과는 각 균주에서 50∼80% 효과를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억제차원에서 향균성을 달리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해세균에 대한 향균작용이 마늘 추출물은 미생물의 발육저지력이 강하고 지속적으로 인체에 무해하므로 보존료 개발이 바람직함을 알았고, 독특한 향미를 주는 황화합물이 많아 산도의 증가와 관계없이 항균력이 강함을 보았고, 각종 균에 대한 항균성을 달리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마늘성분중 선택적인 항균물질의 개발이 요구됨을 알았다.

The Effect of Pre-Treat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Ginseng Chicken Soup (Samgyetang)

  • Barido, Farouq Heidar;Jang, Aera;Pak, Jae In;Kim, Yeong Jong;Lee, Sung 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36-1048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improvement in th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ady-to-eat (RTE) Samgyetang after adding various black garlic (BG)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meat quality indexes, and lipid oxidation rates were measured after receiving one of five different treatments consisting of conventional Samgyetang broth as a negative control, raw garlic (RG) extract as a positive control, BG, oven-dried BG, and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as treatments. Employing retort cooking, fat trimmed carcasses were added to the initially prepared broth together with a phenolic extract that was set at 5% (w/w). A significant intensification of red and yellow color was observed in breast and thigh meat treated with BG extracts, regardless of pretreatment,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and RG. The moisture percentage w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BG extracts, where the encapsulation group retained the highest water content after retorting. In terms of antioxidative status, maltodextrin-encapsulated BG extract was as effective as an oven-dried extract to scavenge free radicals and showed the highest score among samples (p<0.01). The concentration of TFC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nd did not differ between encapsulation and oven-dried groups, followed by BG, RG, and the negative control. However, the addition of encapsulated BG extract was the most effective in delaying the formation of malondialdehyde among the samples. Therefore, pre-treatment of BG extract through encapsulation is recommended to develop a higher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mgyetang.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lack Garlic Extract)

  • 양승미;신정혜;강민정;김성현;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03-510
    • /
    • 2010
  • 흑마늘 추출액을 총 재료 중량에 대해 0, 1, 3, 6, 9 및 12%(W/W)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반죽의 pH는 흑마늘 추출액 첨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져, 흑마늘 추출액을 12% 첨가한 시료에서 $5.46{\pm}0.02$로 가장 낮았으며, 반죽의 밀도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12% 첨가시 $0.95{\pm}0.03\;g/mL$로 가장 낮았다.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흑마늘 추출액 첨가군에서 $143.08{\pm}0.61{\sim}143.63{\pm}0.25%$의 범위로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소성 후 식빵의 pH는 $6.87{\pm}0.01{\sim}7.75{\pm}0.02$로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식빵의 비용적은 $2.33{\pm}0.27{\sim}2.74{\pm}0.51\;mL/g$의 범위로 대조구와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식빵 겉껍질과 내부색 모두 명도값은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텍스쳐를 측정한 결과 견고성은 흑마늘 추출액 1%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277.82{\pm}32.55$였으며, 씹힘성과 검성은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응집성은 흑마늘 추출액 12% 첨가구에서 가장 높아 $0.33{\pm}0.07$ 이였고, 복원성은 흑마늘 추출액 3% 이상 첨가시 $0.12{\pm}0.04{\sim}0.16{\pm}0.04$의 범위로 대조구 및 1% 첨가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관능검사 결과 색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 맛은 흑마늘 추출액 6%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흑마늘 추출액을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할 경우 제빵 적성, 빵의 품질 개선 및 기호성과 기능성이 향상된 식빵을 제조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tort-pouch 된장찌개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 김경자;강정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41-546
    • /
    • 1996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 quality of retort-pouched conuiment food by adding garlic, ginger, redpepper in cooking soybean paste pot stew. Cooked and storaged retort-pouch soybean paste pot stew with four different levels of garlic, ginger, red-pepper (T$_1$garlic 2%, T$_2$: ginger l%, T$_3$: red-pepper 2%,T$_4$: garlic 2%+ginger 1 %) was tested for sensory evaluation, pH, TBA value, and microbiological number changes. 1) No systematic increase of total bacteria counts was detected during the storage periods for bowl or retort pouch soybean-paste samples. The inclusions of ginger extract did not pose any microbiological safty problem. 2)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fifteen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ive samples in color, flavour, and appearance and a notable preference for T$_1$ sample. 3) There was a slowly increase of TBA value during the first 5-7 days of storage in retort-pouch and bowl. The inclusion of ginger extract at 1.0% level tended to lower TBA val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