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career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8초

이토 도요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감성적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otional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oyo Ito's Design Works)

  • 박수정;서수경;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9-74
    • /
    • 2005
  • Despite the advancement of knowledge and techniques, architectural design has been developed by similar method and science as the logical tool since the development of Le Corbusier's 'module'. However, in the new millenium emotional design has become a key issue and today is the turning point regarding new method for designing human space. While architecture discipline of the West focused on logic, Japan based its origin in eastern discipline has developed a unique design concept called 'metabolism' and advanced it very effectively. Since its development of the unique concept, Toyo Ito has beco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chitect in and out of Japan who devoted his design career in developing new space concept. This study is specifically focused on Ito's project by finding characteristics of his projects and analyze emotional design factors by using 5 analytical tool - experiencing the space, five senses, landmark, sequence, and scale. Ito's work between 2000-2004, such as Sendai Mediatheque, showed more visible sign of emotional design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works done in 1990's. Because of the analytical studies researching those emotional desig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the future advancement in new space design will be possible with great success. The result proves that continuing proper analysis and research in design method will assist in approaching new space design method into more advanced realm in very efficient time period with more definite design elements to accomodate and fulfill human needs in given space.

  • PDF

화재진압대원의 화재현장 위험도 및 돌발화염 인식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ire Risk and Flash Flame Concerning the Firefighter)

  • Choi, Jae-hy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29-5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소방관들이 느끼는 위험성과 돌발화염에 대한 인식에 관하여 조사하고 연령, 경력 및 계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현장에서 느끼는 위험성은 계급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화재현장에서의 돌발화염 노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70% 이상의 응답자가 노출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나 연령, 경력, 직급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만약 화재현장에서 돌발화염을 겪게 될 경우의 위기대처 능력에 관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연령, 경력, 직급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향후 돌발화염의 모의 훈련 등의 강화가 보다 절실히 요구되며, 돌발화염에 따른 표준작전절차의 개선이나 화재진압교육의 보완을 통해 인명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 교사와 대학교수의 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최근 10년간 연구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Counseling by Teacher and Professor: Focused on the Last 10 Years (2006-2015))

  • 강혜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37-146
    • /
    • 2016
  • 연구는 교육전문가로서 초 중 고 일반교사 및 대학교수가 담당해야 할 상담자 역할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최근 10년간 이루어진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 80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초등학교(60.9%)에 편중되어 있었고, 중학교(15.8%), 고등학교(15.8%), 대학에서의 일반교수 상담(7.5%)은 매우 부족하였다. 둘째, 7개 연구주제별로 보았을 때, 상담에 대한 요구와 실태를 살펴보는 조사연구(73.8%)가 대부분이었고, 주로 석사학위논문(76.3%)으로 진행된 연구였다. 셋째, 대부분의 연구가 양적연구(91.3%)이고, 질적연구는 매우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 연구의 제한점,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활동이론을 적용한 사서인턴십 개선 방안 연구 - 인턴십 참여자의 관점에서 - (Enhancement of Library Internship Reflecting Participants' Opinions based on Activity Theory)

  • 박지영;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07-33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인턴십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사례연구로 서울의 한 대학의 2016년 2학기 인턴십 강좌를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활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인턴십 진행과정을 구조화하고 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모순이나 갈등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인턴십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을 하고 있었다. 또한 전공에 대한 이해나 사서를 직업으로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의사결정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인턴십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인턴십 과정에서 기간, 관리문제, 실습수준, 아르바이트와의 업무내용 중복 등의 갈등요인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갈등요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본 연구는 인턴십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집단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체계화된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Wedding Planners on Hanbok as a Wedding Ceremony Dress

  • Shin, Kyeong-Seub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6호
    • /
    • pp.84-99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wedding planners' general perceptions on Hanbok as a ceremonial dress in wedding ceremonies. Moreover, the study explores the aesthetic understanding of wedding planners on Hanbok which both influences their choice of recommendation and purchasing decisions.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structure of weddings for clients, planners have naturally acquired the position of being able to influence the sales of the Hanbok industry. Moreover, brides-to-be are heavily dependant on wedding planners in sketching the outlines of their whole wedding. Therefore, in order to analyze the opinions of both subjects, a research survey was launched which involved three hundred participants from two groups: first, wedding planners who were free lancers working in the Chungdam District, and second, wedding planners who were working for wedding consulting firms. The survey method was based on one precedent study, in which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companies in the Hanbok industry and wedding consulting firms, and an additional survey in the form of questionnaires. The STATA 11.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recruited data for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s analysis on career.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may be used as substantial preliminary data in prospering the Hanbok industry, enhance and newly shape its marketing strategies and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Wedding planners hav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n Hanbok and prioritize the significance of formative constituents in the order of color, material, style, size, and decoration. 2. The prospects of promoting the image of Hanbok through wedding planners is promising. According to surveys, this goes to show that the persuasion of wedding planners have brought a positive effect on choice of Hanbok and as wedding planners become more specialized, their involvement in preparing Hanbok with brides is increasing. 3. Wedding planners believed that the main reasons why future brides do not select Hanbok as a ceremony dress are that the cost is too high relative to practicality and that there are not enough opportunities to wear them.

4차 산업혁명시대, 광고학 교육과정 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ducational Renovation on the Advertising Curriculu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한상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41-147
    • /
    • 2019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산업계 현장에서 원하는 광고학 광고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광고교육의 이해 당사자인 광고대행사의 인사담당자, 신입사원 교육 경험이 있는 121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광고교과과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광고학 교육의 교과과정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준비는 미흡하며, 교과과정의 개선 필요성이 높고, 실습교과과정 강화, 이론과 실습을 융합한 실무교과과정 개설, SW교육과 연계한 광고 테크놀로지 교과과정 운영, 그리고 PBL 형식의 교과과정 강화와 같이 실무 연계 교육, 그리고 문제해결능력 배양과 관련된 교과과정을 신설하거나 강화하는 교과과정 운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답변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학계와 광고실무계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 가를 논의하였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Influences of Nurses' Professional Autonomy and Empathy on Patient Safety Culture)

  • 이성수;최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1-24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이 환자안전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의 종합병원에서 일하는 19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WIN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전문직 자율성(r=.26, p<.001), 공감능력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r=.30, p<.001), 공감적 관심(r=.2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감의 하위 영역인 관점 취하기(${\beta}=.27$, p<.001), 전문직 자율성(${\beta}=.20$, p=.004), 11년 이상의 총 임상 경력(${\beta}=.17$, p=.012)이었고, 세 개의 변수의 설명력은 15%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자안전문화 증진의 영향요인인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공감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 다양한 표본 집단에서의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Q 방법론을 활용한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주관성 연구 (The Subjectiveness of Decent Jobs using Q Methodology)

  • 장하연;이영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620-629
    • /
    • 2019
  • 현재 취업을 준비하는 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 에코세대 간에는 직업의식과 일자리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를 것으로 예측된다. 평생직장보다는 평생직업을 중시하는 것으로 인지되고 있는 현 세대의 일자리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직업연구와 일자리 정책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노동시장으로 이행을 준비하고 있는 졸업 예정자인 대학 4학년생의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살펴보고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방법으로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연구와 면담을 통해 291개의 Q 진술문을 도출하고 연구대상자와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총 47개 Q 표본을 구축하였다. 또한, P 표본으로 선정된 대학 4학년생 총 31명을 대상으로 Q 표본을 Q 분류표에 배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Ken-Q Analysis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대학 4학년생의 인식유형은 '흥미 지향형', '균형 추구형', '조직 지향형', '권력 추구형', '발전 지향형'의 총 5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이 다양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 진입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언을 제시하였다.

상급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유머감각과 낙관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nse of humor and optimism on the nursing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 in the advanced general hospital)

  • 이경숙;장인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39-146
    • /
    • 2019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유머감각, 낙관성, 간호업무성과의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S 특별시 3개 상급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 183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8년 2월 1일부터 2018년 4월 8일까지 하였다. 유머감각, 낙관성, 간호업무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 특성 중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육수준, 교대근무, 경력이었고, 유머감각과 낙관성이 영향을 미쳤다. 이 3개 변수의 설명력은 38.6%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머감각과 낙관성을 증진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간호사에게 유머감각과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청년세대의 일-삶 균형 수준과 행복 요인: OECD '더 나은 삶의 지수(Better Life Index)'와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를 활용한 다국가 비교 (Factors of the Happiness of Youth Generations by Work-Life Balance: A Cross-National Comparison Utilizing the Better Life Index and World Value Survey)

  • 박미석;김미영;김경아;전지원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2호
    • /
    • pp.79-97
    • /
    • 2019
  • This study aimed for in-depth observation of the status quo of the youth generation's happiness utilizing the Better Life Index and the World Value Survey. To serve this purpose, the study selected 11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member countries (Australia, Estonia, Germany, Japan, Korea, Mexico, New Zealand, Poland, Sweden, Turkey, United States) that overlapped with the subject countries of the World Value Survey.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first revealed that among the work-life balance levels of youth generations from across the 11 studied countries, the level for Korean youth was in a very poor state. Second, the happiness level of Korean youth also sat among the bottom ranks, with the aspects of politics, friendship, and career casting a heavy influence on importance to life; specifically, the youth generations of Turkey and Germany showed high levels of life purpose, while Korean youth displayed outstanding results in the challenge aspect. The third finding of this study reported that family, religion, power, benevolence, and challenge were commonly related to the happiness level of youth generations in countries with a higher work-life bal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uch needed attention and support for improving the happiness level of the Korean youth generation, who will eventually play the leading role in our futur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