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rice

검색결과 712건 처리시간 0.031초

갯벌과 간척농지의 수질 및 대기조절가치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unctional Value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Atmospheric Regulation in Coastal Wetland and Rice Paddy Ecosystems)

  • 표희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0권1호
    • /
    • pp.95-126
    • /
    • 2001
  • Functional values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atmospheric regulation in coastal wetland and rice paddy ecosystems are quantified, and an illustration is given on how to integrate biophysical parameters into a valuation framework. This is one of most controversial issues in economic analysis for wetland preservation versus wetland conversion to agricultural use. This paper includes theoretical considerations for estimating functional values of environmental ecosystems, and the integration of biophysical data and replacement cost method employed. Specific physic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data on ecosystem functions and services in coastal wetlands and rice paddies are addressed for evaluating their values in economic terms. In particular this paper indicates double counting problems and overestim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and demonstrates how to avoid them and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valuation process involving a least-cost method, thus enables an accurate integration of the coastal wetland ecology and wetland economics. As a result which is far away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total economic present value of wastewater assimilation by coastal wetland is estimated at 7,484,640 won/ha, and the net present value of positive effect for atmospheric regulation, negative effects for air pollution and water pollution by rice paddy is estimated at -37,934 won/ha, assuming that resources are infinitely long-lived and the annual value and the rate of discount (10%) is constant every year. In conclusion, for furth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unctional values for natural resources it is very noteworthy that a general equilibrium framework that could directly incorporat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ecosystem functions and services would be preferred to the partial equilibrium framework.

  • PDF

옥수수에 발생하는 벼검은줄오갈병의 유전자 비교 (Characterization of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in Maize)

  • 이봉춘;윤영남;홍성준;홍연규;황재복;송석보;강항원;이기운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23-225
    • /
    • 2008
  • 2005년 전북 고참에서 채집한 옥수수 이병주로부터 벼검은줄오갈병 바이러스를 동정하였다. 이들 이병주로부터 게놈 dsRNA를 추출하여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으로 게놈 패턴을 분석 하였다. 전기영동 결과 이미 알려진 10개의 분절게놈을 확인하였으며 채집지역별 isolate에서 게놈 dsRNA이동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추출된 dsRNA를 주형으로 하여 S10의 full-length 특이 primer를 사용하여 RT-PCR한 결과 1,801의 예상되는 band를 확인하여 RBSDV로 동정하였다. S10을 pGEM-T vector에 크로닝하여 염기서열 분석 결과 1,801nt, 559aa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벼에 발생하는 RBSDV S10의 크기와 동일하였으며 상동성 분석결과 18개 염기에서 변이가 확인되어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Allelic Distribution of OsPRR37, a Major Heading Date Gene in Korean Rice Cultivars

  • Hayeong Lee;Yurim Kim;Jiheon Han;Sieun Choi;Yeeun Jun;Hosun Chun;Soonhwa Kwak;Youngjun M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5-225
    • /
    • 2022
  • Rice is a major food crop consumed by approximately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Heading date is one of the major agronomic traits and has a wide impact on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rice. Recently, shortening the growth period of rice through modulating heading date has been emphasiz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reducing methane emissions from paddy fields. OsPRR37, a major heading date gene in rice, represses flowering under both short-day and long-day conditions. Plants carrying the loss-of-function alleles of OsPRR37 have been reported to flower approximately seven days and 20 days earlier than those carrying the functional alleles in short day and long day conditions,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ucleotide sequence variation existing in the exonic regions of OsPRR37 and catalogued the allelic distribution in 208 Korean rice cultivars. We used four sets of primers for amplifying and sequencing the eight exons of OsPRR37. As a result, two types of loss-of-function alleles and four types of functional alleles were found in 208 Korean rice cultivars. Interestingly, only three cultivars (Jinbuolbyeo, Jinseolchal, and Mimyeon) carried loss-of-function alleles while 205 carried functional alleles, indicating that OsPRR37 loss-of-function alleles have been used very rarely in Korean rice breeding programs. To generat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arly-maturing rice cultivars, our future work will focus on analyzing the effect of different OsPRR37 alleles on heading date and other major agronomic traits.

  • PDF

벼줄무늬잎마름병의 발생 분석 (Analysis on the Occurrence of Rice stripe virus)

  • 이봉춘;윤영남;홍성준;홍연규;곽도연;이종희;여운상;강항원;황흥구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210-213
    • /
    • 2008
  • 지금까지 벼줄무늬잎마름병은 이모작 지대를 형성하는 남부지방에 국한되어 발생되어 왔으나 2001년에 경기, 강화지역까지 북상하였으며, 2007년에는 서해안 지역인 전북 부안, 충남 서천 지역에 대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히기도 하였다. 본 조사는 위도별, 고도별로 벼줄무늬잎마름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위도별로 보면 지금까지 발생이 보고된 남부(밀양, 위도 $35^{\circ}$), '05년도 중북부(철원, 위도 $38^{\circ}$) 및 이번 조사에서 새롭게 중북부 동해안(고성, 위도 $38^{\circ}$)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고도별로는 평야지(밀양, 고도 17 m)에서 부터 중산간지(상주, 고도 285 m) 및 고냉지(진부, 고도 576 m)에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줄무늬잎마름병은 발생 상습지인 남부 지방을 포함하여 2001년도에 경기 강화지역, 2007년도 서해안 지역인 전북 부안, 충남 서천에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금년에 새롭게 최북단 고성 및 고냉지 지역인 진부에서 발생이 확인되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주요 병해로 확인되었다.

도정에 따른 쌀과 보리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the Functional Ingredient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and Barley according to the Milling Process)

  • 신희윤;최용민;최정민;김영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1-89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and barley according to the milling process used. A considerable amount of γ-oryzanol was observed in unmilled rice and barley. However, γ-oryzanol was not detected in the rice and barley after the milling process. The highest content of γ-aminobutyric acid (GABA) was observed in the unmilled Keunalbori-1-ho barley. The contents of biotin in all samples also decreased in the milled grains compared to the unmilled grains.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was observed in the Heuksujeongchal barley, and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found in this grain. The milling process led to a decrease in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s, including γ-oryzanol, GABA, biotin, polyphenols, and flavonoids in both rice and barley.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cereal grains.

흑미 쌀가루를 연질미와 배합한 Gluten-Free 쌀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Rice Bread Formulated with Soft-Type Rice Flour Mixed with Black-Rice Flour)

  • 최옥자;정희남;신서호;김용두;심재한;심기훈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47-456
    • /
    • 2015
  • To develop functional bread and improve the quality of gluten-free brea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rice bread made from soft-type rice (Bodeurami) flour mixed with black rice at different levels (0%, 10%, 20%, 30%, and 40%, w/w). An increase in the mix level of black-rice flour increased the weight of rice bread but reduced its volume, baking loss, volume expansion, and specific volume. The results for Hunter's color value and texture measurement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the content of black-rice flour reduced the L-value, the b-valu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but increased the a-value, adhesiveness, and springiness. According to the sensory analysis, rice bread formulated with a mixture of soft-type rice flour (80%) and black-rice flour (20%)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s. With respect to flavor and appearance, bread samples with 20% and 30% black-rice flour were preferred to those with 0%, 10%, and 40% black-rice flour.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uten-free rice bread mixed with wet-milling rice flour and black-rice flour can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and gluten-free bread.

벼 microarray를 이용한 유전자발현 profiling 연구동향 (Current status on expression profiling using rice microarray)

  • 윤웅한;김연기;김창국;한장호;이태호;김동헌;이강섭;박수철;남백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2호
    • /
    • pp.144-152
    • /
    • 2010
  • As the International Rice Genome Sequencing Project (IRGSP) was completed in 2005 and opened to the public, many countries are making a lot of investments in researches on the utilization of sequence information along with system development. Also, the necessity of the functional genomics researches using microarray is increased currently to secure unique genes related with major agricultural traits and analyze metabolic pathways. Microrarray enables efficient analysis of large scale gene expression and related transcription regulation. This review aims to introduce available microarrays made based on rice genome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 of gene expression analysis using these microarrays integrated with the databases available to the public. Also, we introduce the researches on the large scale functional analysis of genes related with useful traits and genetic networks.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related with mutual interaction between proteins with co-expression among rice genes can be utilized in the researches for improving major agricultural traits. The direct and indirect interactions of various genes would provide new functionality of rice. The recent results of the various expression profiling analysis in rice will promote functional genomic researches in plants including rice and provide the scientists involved in applications researches with wide variety of expression informations.

'중모1020' 왕겨의 안토시아닌 동정 및 항산화 효과 검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s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in Rice-hull of a new Cultivar, 'Jungmo1020')

  • 나지은;박지영;서우덕;송유천;조준현;이종희;심은영;남민희;정일민;한상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91-397
    • /
    • 2014
  • 새로 개발된 유색미 품종인 중모1020의 왕겨를 이용한 색소의 조성과 함량을 분석하고 생리활성을 검정한 결과, 중모1020의 왕겨로부터 최초로 페튜니딘 색소를 다량함유하고 있음을 Mass와 UPLC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중모1020의 색소 조성 중 C-3-G 함량은 29.6%인데 비해 Pt-3-G의 함량이 68.3%를 차지하여 C-3-G 함량이 82.3%인 기존의 벼 색소의 조성과는 완전히 다름을 보였다. 추출용매 조건에 따른 분석 결과, 조추출물 수율은 100% 메탄올에 1.0% HCl을 이용하였을 경우 수율이 11.4%로서 가장 높음을 보였고, 다음이 80% 메탄올에 1.0% HCl용매로 추출한 경우였다. 안토시아닌 색소 추출량 역시 1.0% HCl을 함유한 100% 메탄올과 80% 메탄올에서 각각 $275.0{\pm}4.1$, $258.0{\pm}1.8mg/100g$으로 가장 많았다. 항산화 활성 비교에서는 전체 안토시아닌 색소함량이 많고 폴리페놀 추출율이 높은 1.0% HCl을 함유한 80% 메탄올 용매 추출물에서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보였다.

조생 고품질 벼 신품종 '조아미' (A New Early-Maturing, High Quality Rice Cultivar 'Joami')

  • 강종래;남민희;곽도연;정진일;김대식;김정일;송유천;여운상;이종희;박노봉;박동수;이기환;조준현;김춘송;이지윤;전명기;신문식;오병근;강항원;안진곤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15-622
    • /
    • 2010
  • '조아미'는 국립식량과학원 상주출장소에서 중산간지 재배에 알맞은 고품질 벼를 육성하고자 일본품종 'Yukara'와 중국품종 'Tonggae112'가 교배된 조합에 밥맛이 좋은 '삼백벼'를 삼원교배한 이후 계통육성시험에서 YR20557-1-1-3-B-3을 선발하였고,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에 공시한 결과 수량성이 높아 '상주 36호'라는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상주 36호'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에서 표준품종 대비 그 수량 및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2008년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으로 선정되어 '조아미'로 명명하였다. '조아미'는 중북부평야지. 중부중산간지 및 동북부 해안지에 적응성이 높은 조생 고품질 벼 품종으로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중북부평야지 보비재배에서 7월 28일로 '화성벼'에 비해 15일정도 빠르고, 남부중산간지, 중부중산간지지 및 동북부 해안지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7월 30일로 '오대벼'의 출수기와 같은 조생종이다. 2. 이삭 길이는 18 cm 정도로 다소 짧고 착립밀도는 보통이며 추출은 양호한 편이다. 까락이 해에 따라 다소 발생하며 탈립은 안되는 편이다. 3. '오대벼' 대비 주당수수가 많고 수당립수는 비슷하며 등숙비율은 높지만 현미 천립중이 다소 가벼운 20.6 g의 소립종이다. 4. 쌀의 완전미율이 '오대벼' 보다 높고, 심복백이 없으며 맑고 투명하다. '오대벼'에 비해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 밥맛이 양호하다. 5. 도열병에는 강하나 흰잎마름병과 바이러스병에는 약하며 해충에 대한 저항성은 없다. 6. 전국 9개소 3개년의 지역적응성시험에서 수량성은 5.4MT/ha으로 '오대벼' 대비 6% 증수되었다.

찰수수 및 메수수 첨가 밥의 취반특성과 항산화활성 (Cooking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oked Rice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Glutinous and Non-glutinous Sorghum)

  • 우관식;고지연;김정인;이재생;송석보;조재민;정태욱;김기영;오인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99-407
    • /
    • 2013
  • 찰수수와 메수수를 혼합하여 밥을 지은 잡곡밥의 일반성분, 취반특성, 호화특성,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정하여 수수 첨가에 따른 잡곡밥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황금찰, 남풍찰, 동안메 수수의 수분 및 회분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단백질 함량은 황금찰이 10.3 g/100 g로 높았으며, 무기성분 함량은 수수 품종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미특성 중 경도와 점도는 전체적으로 수수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밸런스와 탄력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쌀에 비해 수수의 취반 후 경도, 점도, 탄력성 등은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여 식감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수수 첨가량에 따른 밥의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호화온도, 최고점도, 최저점도, 강하점도, 최종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치반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 및 첨가량을 달리한 수수밥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일반적으로 수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취반 전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동안메 첨가 밥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황금찰, 남풍찰, 동안메 30% 첨가 취반전의 밥에서 각각 1,693.30, 1,890.98 및 $2,386.11{\mu}gGAE/g$ sample의 함량으로 나타났고 취반후의 경우 1,189.28, 1,190.42 및 $1,397.87{\mu}gGAE/g$ sample의 함량을 보였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수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동안메 첨가 밥 추출물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동안 메 30% 첨가 취반전후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126.29 and 70.58 mg TE/100g sample이었고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35.56 and 83.12 mg TE/100g sample이었다. 본 연구에서 수수의 항산화성분의 함량이 높은 메수수를 혼반용으로 사용할 경우 보다 높은 항산화활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