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mixture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35초

혼합 인산염의 첨가가 어류연육의 기능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Complex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Fish Meat Paste)

  • 김동수;김영명;김일환;이병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53-257
    • /
    • 1985
  • 인산염의 첨가가 조기 및 갈치연육의 보수력 및 단백질의 용출성에 미치는 영향과 가열처리 후에 조기육을 원료로 가공한 어묵의 text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4종의 시판 복합 인산염을 첨가수준별로 사용 했을때의 기능적 성질을 분석 검토 하였다. 연육의 보수력 및 염용성 단백질량은 조기연육에는 인산염B(sodium poly-phosphate 50%. sodium Poly-Phosphate20%, sodium tetra meta-Phosphate 20%, sodium acid pyro-phosphates%, sodium ultra meta-phosphate 5%)를 갈치연육에는 인산염C(sodium poly-phosphate40%, sodium pyro-phosphate 30%, potassium pyro-phosphate 15%, sodium tetra meta-phosphate10%, sodium hexa meta-phosphates%)를 각각 0.4% 첨가한 경우가 가장효과적 이였고 그때의 염용성 단백질의 용출량은 조기연육이 954mg%, 갈치연육이 686mg%였다. 조기육을 원료로 하여 가공한 어묵의 적정가열 조건은 $85^{\circ}C$에서 45분간 가열한 것이 조직감이 양호 하였다. 한편 $121^{\circ}C$에서 10분간 가열한 경우는 C인산염이 다른 인산염에 비하여 어육 단백질의 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경인지역 유통식품 중 타르색소 실태 조사;학교주변 어린이 기호 식품을 중심으로 (Tar Colors in Foods Distributed throughout the Gyeong-In Region;Monitoring Favorite Food Items of Children Near Elementary Schools)

  • 김희연;남혜선;정용현;이진하;하상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3-250
    • /
    • 2008
  • 경인지역내 초등학교 주변에 유통되고 있는 어린이 기호식품 총 6종 439개를 대상으로 국내허용 타르색소 9종의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 기호식품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색소는 황색제4호, 청색제1호, 적색제40호, 황색제5호 순으로 나타났다. 껌, 빙과류, 청량음료, 건과류는 단일 또는 두 가지의 타르색소를 사용하였으며, 캔디류와 초코릿류는 주로 2-3가지의 색소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타르색소의 검출농도 범위는 캔디류 0.11-1169.58mg/kg, 초코릿류 0.73-468.02 mg/kg, 껌 0.10-602.46 mg/kg, 빙과류 0.25-162.32 mg/kg, 건과류 0.11-753.68 mg/kg, 청량음료 0.21-69.45mg/kg으로 나타났다. 검출농도가 50.0 mg/kg 이하에는 71.2%가 분포하였으나, 300.1 mg/kg 이상 검출된 것도 1.5%였다. 초콜릿과 껌에서의 타르색소 평균함량이 높았고, 청량음료와 빙과류에서는 낮았다. 황색 제4호와 황색 제5호의 평균함량이 다른 색소보다 높았다. 7-12세 아동의 각 식품에 대한 총 EDI는 0.004-1.017mg/day/person이었고, 각 타르색소의 총 EDI는 0.04-3.98 mg/day/person이었으며, 색소의 총 ADI에 대한 총 EDI의 비율은 0.02-5.98%이었다.

노화에 따른 마우스 망막의 바닥복합층과 색소상피세포의 미세구조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of the Bruch's Membrane and the Pigment Epithelial Cells of the Mouse Retina with Age)

  • 고정식;박병록;안의태;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357-372
    • /
    • 1997
  • To study the age-related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the retinal pigment cells and Bruch's membrane of mouse, retinae of one week-old, five weeks-old, eight weeks-old, six months-old, twelve months-old, eighteen months-old, twenty-four months-old and thirty months-old ICR mice were dissected out under anesthesia. Pieces of the tissue taken from the posterior region of the retina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1% osmium tetroxide (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The ultrath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and were observed under a JEM 100 CX-II electron microscop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Retinae of one week old mouse exhibit that some parts of the pigment cell provided with basal foldings, whereas other parts of the one contain without basal foldings. After (ive weeks-old, all retinal pigment cells have the basal infoldings. 2. In the one week-old, stage 1 and stage 2 melanosomes were observed in the retinal pigments cells, but after five weeks-old, most of the retinal pigment cells contain some matured stage melanosomes (stage III and stage IV). 3. The phagosomes in the retinal pigment cells were increased during aging. 4. After eighteen months-old, electron dense materials are observed within the basal infoldings. 5. After eighteen months-old, the thickness of the Bruch's membrane is prominently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basal laminae of the pigment cell and the choriocapillary endothelium is more promine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other components of the Bruch's membrane. 6. The thickness of the basal lamina of the pigment cell is more promine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horiocapillary endothelium on ag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pigment cell and Bruch's membrane matures structurally In five weeks, and the function of the pigment cell is prominently suppressed around eighteen months-old, and thereafter the functional suppression is continued on aging.

  • PDF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필름의 불소화 및 그 표면특성 (Fluorination of Polymethylmethacrylate (PMMA) Film and Its Surface Characterization)

  • 정민정;임재원;박인준;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1권3호
    • /
    • pp.317-32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에이트(polymethylmethacrylate : PMMA)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기 위하여 불소와 산소의 혼합비율을 변수로 하여 함산소불소화를 실시하였다. 함산소불소화 처리 된 PMMA 표면 및 광투과 특성을 접촉각, 표면자유에너지. X-ray 광전자 분광기(XPS), UV-Vis 분광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함산소불소화 처리된 PMMA의 표면은 친수화 되어 물 접촉각이 $69^{\circ}$에서 $44^{\circ}$로 감소하였다. 또한 PMMA의 표면자유에너지가 $46\;mN\;m^{-1}$ 에서 $58\;mN\;m^{-1}$로 증가하였다. 이는 함산소불소화를 통한 PMMA표면에 친수성 관능기의 형성으로 기인하였다. 또한, XPS 분석 결과로부터 함산소불소화 처리 시 PMMA 표면에 O/C비율이 증가하였고, 불소 부분압이 증가할수록 친수성을 나타내는 C-OH 결합의 �t량이 6.7%에서 24.8%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함산소불소화 조건(상온, 총압 1 bar, 불소 및 산소 혼합비 5 : 5)에서는 함산소불소화가 PMMA의 광투과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그 표면특성이 개선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 함산소불소화는 PMMA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기대된다.

Chlamydomonas sp. 유래 mycosporine-like amino acid 혼합물의 항주름 활성 (Anti-corrugation activity of micosporine-like amino acid mixtures from Chlamydomonas sp.)

  • 서승석;서효현;이정훈;황진익;박미례;모상현;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93-5399
    • /
    • 2014
  • 미세조류 유래 mycosporine-like amino acids (MAAs) 혼합물의 항주름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type I procollagen, elastin 및 involucrin 유전자 발현분석을 실시하였다. Chlamydomonas sp.를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컬럼을 통해 분획물을 정제하고, HPLC 분석을 통해 asterina 330+palythine (A+P) 및 shinorine+palythine (S+P) 혼합물을 정제하였다. MTT assay 결과 A+P 및 S+P는 0.1 mg/mL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UV에 노출된 섬유아세포에 대한 MAAs 혼합물의 영향을 분석하였을 때, 0.05 mg/mL A+P 및 0.01 mg/mL S+P 농도에서 각각 2.7 및 3.6 배 PCOLCE mRNAs 발현이 증가하였다. Elastin 유전자는 0.01 mg/mL의 A+P 및 S+P를 처리하였을 때 각각 5.59배 및 3.1배 발현이 증가하였다. 특히 0.01 mg/mL의 A+P 및 S+P 농도에서 involucrin mRNAs 발현이 UV 처리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5배 및 2.5배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Chlamydomonas sp. 유래 MAAs 혼합물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총담관 결찰후 집토끼 담낭상피세포의 미세구조적 변화 (An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Epithelial Cells of the Rabbit Gallbladder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 임수재;양남길;안의태;고정식;박경호;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2권2호
    • /
    • pp.15-29
    • /
    • 1992
  • The gallbladder is known to have the function of the storag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ile produced by the liver. This function is carried out by the removal of water and inorganic electrolytes. Extrahepatic cholestasis or the impairment of excretion of the bile leads to the distension and loss of the function of the gallblad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ormal gallbladder epithelial cells,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induced by the ligation of common bile duct of the rabbit. Common bile duct ligation was performed under ether anesthesia. The rabbits were sacrificed on the 1st, 3rd, 5th, 7th and 14th day, respectively after operations. The tissue blocks of the gallbladder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prior to fixation in 1% osmium tetroxide, and embedded in the araldite mixture, and observed with JEM 100 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ormal gallbladder epithelium of adult rabbit demonstrated two cell types, the ordinary epthelial cell and the dark cell. The dark cells have electron dense cytoplasm, and were found much infrequently, whereas ordinary epthelial cells were found quite numerous. 2. The ordinary epthelial cells of normal gallbladder were provided with the regular microvilli at the free surface and the images of pinocytotic activities in the apical cytoplasm, and exhibit highly convoluted lateral surfaces with elaborated microfolds. These figures of the cells suggest that they are resorptive in functional activity. 3. In the early stages (1st, 3rd, 5th day groups) following the ligation, the apical cytoplasm of some cells is protruding from the free surface and lost their microvilli. Numerous mucous granules filled in the apical and supranuclear cytoplasm compactly. 4. In the late stages (7th, 14th day groups) following the ligation, many light cells containing mumerous mucous granules are seen, between the ordinary epthelial cells. Mucous granules are fused each other, and are discharged into the lumen from the apical cytoplasm. The lateral membranes are straight or undulating without any interdigitations.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n the cholestasis induced by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there is a tendency for the mucosal epithelium of the rabbit gallbladder to have secretory rather than an absorptive function.

  • PDF

청도반시(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탈삽 껍질 추출물의 산화스트레스로부터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astringency-removed peel extracts of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on oxidatively-stressed PC-12 cells)

  • 정다울;조치흥;라찬수;이승환;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38-54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떫은 감인 청도반시(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를 탈삽하여 곶감으로 만드는 과정 중에 다량의 부산물로 생겨나는 감 껍질을 활용하고자 산화방지능 및 신경세포 보호능을 평가하였다. 탈삽한 감 껍질을 40% (v/v) 에탄올-물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초음파 추출을 한 후에, 가열처리와 비가열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가열처리한 추출물이 비가열처리로 얻어진 것에 비해서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산화방지능에서 약 1.3-1.8배 더 높았다. 비가열처리 추출물과 비교하여, 가열처리한 것이 PC-12 신경세포의 생존율 더 높이고, 세포 내 산화스트레스를 좀 더 완화하였다. AChE와 BChE 억제능 역시 가열처리한 추출물이 비가열처리로 얻은 추출물보다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산화방지능을 보유하며 콜린가수분해효소를 억제하는 기능성 소재 발굴을 위한 탈삽 감껍질 추출물 활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방 복합제가 산모의 체중조절 및 관절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 Mixture to Postpartum Body Control and Arthralgia)

  • 김상만;정화영;임재연;확보식;권석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67-271
    • /
    • 2002
  • 산후조리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정상 임산부 19명(대조군), 그리고 이를 복용하는 19명(실험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30.4세, 실험군 음 29.0세였으며, 체질량지수는 각각 20.2와 21.4, 그리고 임신에 따른 체중증가량은 각각 14.0kg과 19.8kg이었다. 출산 1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1.32kg 감소 되었고, 산후 조리용 식품을 섭취한 실험군은 1.04kg 감소되어 두 군 간의 유의한 체중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출산60일째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3.15kg감소되었으며, 실험군은 6.46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p< 0.05). 출산 후 90일경의 체중변화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이 4.47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7.ffkg 감소되어 실험군이 대조 군보다 유의적인 체중감소출 관찰할 수 있었다(p<0.05). 또한 기능성 식품의 섭취 후 8주부터 관절통에 대한 통증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용 식품을 섭취하기 전, 후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헤모글로빈이 실험 전 12.4g/dl 실험 후 12.Bg/dl로 정상 범위였다. SGOT는 실험 전 22.1 IU/L, 실험 후 24.6 IU/L였으며, SGPT는 실험 전·후에 28.1 IU/L과 24.6 IU/L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재래종 배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ultivars of Pear (Pyrus pyrifolia N.))

  • 박은령;최진호;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0-185
    • /
    • 2002
  • SDE 추출법과 GC/MS 분석방법으로 재래품종인 봉리, 황실리, 영목리 배를 시료로 하여 각각 72종, 59종, 66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모든 품종에서 ethyl acetate가 주요한 ester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다량의 ethanol과 acetic acid가 함유되어 있었다. 황실리와 영목리에서 다량 확인된 nonanoic acid는 봉리에 소량 함유되었으며, 봉리에서 주요 성분으로 확인된 butyl acetate가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동정되지 않았으나, 황실리와 영목리에서는 단지 $4{\sim}5$개의 ester류가 전체 향기구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관능기로 분류하여 볼 때, 분리 동정된 성분들 중에서 봉리는 ester와 alcohol류, 황실리에서는 alcohol류 그리고 영목리에서는 ester, acid, alcohol류가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어 세 가지 재래품 종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조성에 차이점이 있었으며, 서양배와 개량품종 배와도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봉리, 황실리, 영목리에서 추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6.069, 4.285, 6.552mg/kg을 차지하였다.

장내 유용세근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KCTC 3216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항산화 천연산물의 조합구성 (The Growth Promotion Effect of Useful Enterobacteria Bifidobacterium aolescentis KCTC 3216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oative Capacity)

  • 김종덕;김민용;안창범;서효진;김봉조;서재관;김점순;공재열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88-395
    • /
    • 2002
  • 장내 유용세균인 Eifidobacterium adolescentis KCTC 3216은 천연산물 향가지 단독으로서도 성장이 촉진되었으며, 두가지, 세가지 및 네가지의 조합에 의하여도 특징적으로 성장이 촉진되었다. 그리고 이 균주는 천연산물의 배합 중에서 한가지의 천연산물로서는 괴화, 황백, 상백피, 진피, 당귀 등이 좋은 효과를 보였고, 두가지 천연산물의 배합에서는 백작약와 녹차, 음양곽과 당귀, 백작약과 음양곽, 백출과 당귀 등의 조합이, 세가지의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녹차와 백작약 및 음양곽, 녹차와사간 및 백작약, 녹차와 황기 및 상백피 등의 조합이, 그리고 4가지 천연산물 배합에서는 사간, 당귀, 음양곽 및 녹차의 조합, 당귀, 음양곽,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 음양곽, 백작약, 괴화 및 녹차 등의 조합에서 잘 성장함을 보였으며, 음앙곽, 백작약, 괴화 및 녹차의 조합이 대조군 보다 2.6배의 성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AUC는 659.88로써 대조군의 AUC보다 5.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종류의 조합 중 당귀, 음양곽, 백작약 및 녹차의 조합의 AUC가 665.55로써 강한 것으로 났으며, 이 조합의 성장촉진효과는 대조군보다 2.1배의 성장률을 보였고 대조군의 AUC(116.61)보다 5.7배 정도 항산화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가지 종류 조합의 총 phenol 량은 녹차 중의 증제차나 볶음차 둥의 비발효 차보다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 발효차인 오룡차보다는 32∼35배, 발효차인 홍차보다는 55∼60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산물들을 이용하여 free radical의 제거와 동시에 B. adulescentis의 성장 촉진 물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제제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