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compounds

검색결과 1,180건 처리시간 0.036초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유산균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김용민;정해진;정헌식;성종환;김동섭;김한수;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8-4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어성초의 효능을 더욱 증가시켜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하고자,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와 Lactobacillus sakei 383 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척도로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는데 10일간의 발효에서 두 균주 모두 발효 5일차에, 발효온도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가 30℃에서 71.67±0.52%, Lactobacillus sakei 383는 35℃에서 70.11±0.67%로 각각 최대의 활성이 나타났으며, 두 가지 균 모두 대조군인 미발효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약 20% 상승하였다. 총 페놀함량에서는 대조군이 35.90±0.61 mg/g 함유한 반면에 발효한 후 두 균주 모두 약 10 mg/g씩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대조군의 21.69±1.52 mg/g에 비해 약 6 mg/g 이상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발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해서는 미약하게 증가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어성초의 유산균 발효물이 발효하지 않은 어성초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더욱 높아,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식품의 원료로써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ffects of replacement of para-grass with oil palm compounds on body weight, foo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rumen functions and blood parameters in goats

  • Buranakarl, C.;Thammacharoen, S.;Semsirmboon, S.;Sutayatram, S.;Chanpongsang, S.;Chaiyabutr, N.;Katoh,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21-929
    • /
    • 2020
  • Objectiv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oil palm frond (leaf) (OPF) with and without oil palm meal (OPM) on nutrient intake and digestibility, ruminal fermentation and growth performance in goats. Methods: Six female crossbred goats were fed for 28 days of 3 diet treatments; 100% para-grass (T1); 50% para-grass + 50% OPF (T2), and 30% para-grass + 50% OPF + 20% OPM (T3). Body weight, rectal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and urine volume, food intake, dry matter intake and water intake were measured daily. Nutrient digestibility was determined from five consecutive days of last week in each diet. Ruminal fluid, urine and blood were collected at the end for determination of rumen protozoa and volatile fatty acid contents, urinary allantoin excretion, blood cell count and chemistry profiles. Results: Goats fed T2 and T3 showed higher dry matter and nutrients intakes while protein digestibility was suppressed compared with those for T1. Crude fat digestibility declined in T2 but maintained after adding the OPM (T3). High fat intake by giving OPF and OPM corresponded to a higher ruminal acetate/propionate ratio (C2/C3) and serum cholesterol level. An increased urinary allantoin/creatinine ratio was found in T2 and T3 compared with T1, implying an increased number of ruminal microbes. Conclusion: Increased dry matter intake in T2 and T3 suggested that oil palm by-products are partly useful as a replacement for para-grass in goats. Replacement with the by-products increased plasma cholesterol level, which suggested that these products are a useful energy source. Changes in rumen parameters suggested an increased microbial number and activity suitable for acetate production. However, the limited digestibility of protein implies that addition of high protein feeds may be recommended to increase body weight gain of goats.

유용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갈색거저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enebrio molitor Fermented by Several Kinds of Micro-organisms)

  • 장성호;심소연;안희영;서권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23-930
    • /
    • 2018
  • 본 연구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갈색거저리를 발효시킨 분말을 water, ethanol, methanol 용매별로 추출하여 다양한 실험을 행하였다. 균주는 3종의 유산균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3 (F3), Lactobacillus plantarum JBMI F5 (F5), Lactobacullus gasseri Ba9 (Ba9), 1종의 곰팡이 Aspergillus kawachii KCCM 32819 (Ak), 1종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ACC 93023 (Sc), 1종의 바실러스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Bs) 총 6종의 균주를 사용하였다. 각 균주를 이용한 발효 후 갈색거저리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DPPH assay, 총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 함량, Cu 환원력, Fibrinolytic activity, 효소-기질 활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DPPH assay 결과, Water 추출물이 전반적으로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그 중 Bs 균주 발효 추출물이 우수한 라디컬 소거능을 보였다. 총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의 경우, phenolic compound는 Ak발효군이 가장 함량이 많았고, Flavonoid는 Bs발효군이 가장 높았다. 환원력은 ethanol - Bs발효군에서 높은 수치를 확인하였고, Fibrinolytic activity 및 전분분해능은 water - Bs발효군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발효 갈색거저리분말은, 기존 갈색거저리 분말보다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측면에서 효능이 상당부분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발효거저리분말은 식품산업전반에서 높은 이용가치를 증명하는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팝나무 잎과 열매, 꽃 (Chionanthus retusus)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ionanthus retusus leaves, Fruits and FLower)

  • 김미성;이은호;조영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3권2호
    • /
    • pp.49-56
    • /
    • 2015
  • 본 연구는 이팝나무 잎과 열매, 꽃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을 통한 기능성 식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팝나무 꽃 추출물에서 phenolics 함량은 물과 90%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0.8, 32.2 mg/g을 나타내었다. 이팝나무 잎, 열매, 꽃을 $100{\mu}g/mL$로 농도를 조절하여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70% 이상의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decolorization는 $100{\mu}g/mL$ phenolic 농도에서도 모두 약 8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50{\mu}g/mL$ phenolic 농도에서 이팝나무 잎의 물과 ethanol 추출물은 각각 2.27, 1.70 PF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BARs를 측정한 결과, 이팝나무 잎, 열매, 꽃 추출물의 $200{\mu}g/mL$ phenolic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7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팝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TBARs를 제외한 모든 실험에서 대조구로 사용한 BHT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팝나무 잎, 열매, 꽃 추출물은 수용성, 지용성 물질에 대한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고, 이 결과로 이팝나무 잎과 열매, 꽃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참외 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 Extract)

  • 김혜숙;홍미정;강인영;정지윤;김혜경;신용습;전하준;서전규;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2-447
    • /
    • 2009
  • 참외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참외의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참외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mg/mL 농도에서 껍질 부위가 7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껍질 부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생체 중 100g 당 각각 134.5mg, 159.1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은 태좌, 과육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의 경우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는 다르게 태좌 부위에서 40.7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물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에 고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과는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참외껍질 부위에서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참외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은 페놀성물질일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껍질 부위의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설프히드릴 변형 화합물질들에 의한 양배추 포스포리파제 D의 시스테인 잔기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Cysteine Residues in Cabbage Phospholipase D by Sulfhydryl Group Modifying Chemical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62-368
    • /
    • 2006
  • 포스포리파아제 D(PLD)의 8개의 시스테인 잔기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프히드릴(SH)기와 반응하는 각종 화학물질들을 동원하였다. 5,5-다이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DTNB)는 시스테인 잔기의 SH기를 적정하기 위해 이용하였으며, 412nm에서의 환원된 DTNB의 값으로부터 자연 상태의 PLD는 1몰 당 4개의 SH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8 M의 요소 등으로 3차원 구조를 교란 시킨 변성된 PLD는 8개의 SH기가 적정되었다. 이 결과로 시스테인 잔기의 반(4개)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그 나머지 반은 내부에 가려져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SH기 변형 시약인 p-클로로머큐리벤조산(PCMB), 요오드아세트산, 요오드아세트아미드, 그리고 N-에칠마레이미드 등은 모두 PLD를 비활성화 시켰다. 이들 중 다이티오스라이톨(DTT)로 처리했을 때 유일하게 PCMB에 의해 비활성화 된 PLD는 가역적으로 그 활성이 회복되었다. 다양한 작용기를 갖는 다이설파이드들을 이용한 노출된 SH기의 주위 환경을 검토한 결과 음전하나 전하를 띄지 않은 다이설파이드들이 양전하를 띈 시스타민 보다 더 효과적으로 PLD를 비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 시스테인 잔기의 산화-환원 전환이 PLD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과산화수소 산화에 의해 70% 이상 잃은 PLD 활성은 대부분 DTT에 의해 복원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양배추 PLD의 시스테인 잔기들이 모두 SH기로 존재한다는 것을 반응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또한 외부에 노출된 4개의SH기는 PLD 활성 조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학초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of Agrimonia pilosa)

  • 민경진;송진욱;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9-156
    • /
    • 2008
  • 선학초 메탄올 추출물을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분획하고 각각의 분획별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 총페놀,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을, 효소 저해 활성으로 XO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암세포인 HT-29, SNU-1, HeLa 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EtOAC와 BuOH 분획에서 39.89%, 39.56%로 가장 높았고, 전자공여능 또한 EtOAC 분획에서 92.90% ($500\;{\mu}g/ml$), 94.47% ($1000\;{\mu}g/ml$), BuOH 분획에서 93.77% ($500\;{\mu}g/ml$), 92.90% ($1000\;{\mu}g/ml$)로 90% 이상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도 $1000\;{\mu}g/ml$의 농도에서 50% 이상이었으며, XOase 저해활성은 93.06% (EtOAC) 와 91.73% (BuOH)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암세포 성장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hexane 분획에서 가장 높았고 HT-29에 대해 11.63%-90.07%, SNU-1에 대해 16.84%-95.11%, HeLa에 대해 4.44%-96.40%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선학초의 EtOAc, BuOH 분획물은 항산화 활성이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hexane, chloroform 분획은 위암, 대장암과 자궁경부암 치료보조제로서의 개발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Vivo $^1H$ MR Spectroscopic Study on Levodopa-Treated Parkison's Disease

  • Choe, Bo-Young;Baik, Hyun-Man;Son, Byung-Chul;Kim, Moon-Chan;Kim, Euy-Neyung;Suh, Tae-Suk;Lee, Hyoung-Koo;Shinn, Kyung-Sub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9-28
    • /
    • 2000
  • Authors evaluated alterations of observable metabolite ratios between the cerebral lesion and the contralateral region related to the clinical symptomatic side in levodopa-treated Parkinson's disease (PD) and investigated correlation between age in patients with PD and metabolite ratios of the lesion. Patients with levodopa-treated PD (n = 54) and age-matched normal controls (n = 15)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MRS) examinations using a stimulated echo acquisition mode (STEAM) pulse sequence that provided 2$\times$2$\times$2 cm3 volume of interest in the selected regions of substantia nigra (SN) and putamed-globus pallidus (PG). To evaluate dependence of metabolite ratios on age, we divided into two groups (i.e., younger and older age). We quantitatively measured N-acetylaspartate (NAA), creatine (Cr), choline-containing compounds (Cho), inositols (Ins), and the sum of glutamate (Glx) and GABA levels and obtained proton metabolite ratios relative to Cr using a Marquart algorithm. Compared with the contralateral region, a significant neuronal laterality of the NAA/Cr ratio in the lesion of SN related to the clinical symptomatic side was established (P = 0.01), but was not established in the lesion of PG (P = 0.24). Also, Cho/Cr ratio tended toward significance in the lesion of SN (P = 0.07)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esion of PG(P = 0.01). Compared with that in the younger age group, NAA/Cr ratio in the older age was decreased in the lesion of SN (P = 0.02), while NAA/Cr rati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esion of PG ( P = 0.21). Significant metabolic alterations of NAA/Cr and Cho/Cr ratios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functional changes of neuropathological process in SN and PG of levodopa treated PD and could be a valuable finding for evaluation of the PD. A trend of NAA/Cr reduction,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lder patients, could be indicative of more pronounced neuronal damage in the SN of the progressive PD.

  • PDF

프로폴리스 및 알콜 추출물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 정창호;배영일;이호재;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1-505
    • /
    • 2003
  •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프로폴리스 원괴와 그 추출물의 화학성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조지방 86.41%, 가용성 무질소물 7.32%, 조단백질 2.71%, 회분 1.05% 및 조섬유 0.20%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은 Na(120.40 mg%), Ca(115.40 mg%) 및 K(105.87 mg%) 순으로 나타났으며, Ca 함량은 알콜 추출물보다 물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총 3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sucrose가 152 mg%로 높게 나타났고, glucose 114 mg% 및 fructose 6 mg%로 함유되어 있었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lysine, cystine 및 glutamic acid로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각각 395.29 mg%, 267.66 mg% 및 248.14 mg%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총 8종이 분리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으로는 oleic acid (51.89%), myristic acid (20.86%) 및 palmitic acid (20.28%)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의 flavonol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myricet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 주요 flavonol화합물로 나타났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다른 추출물보다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polyphenol 성분들은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및 epicatechin gallate로 확인되었다.

솔잎 쿠키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 최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14-142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솔잎 분말의 첨가량을 0%, 0.5%, 1%, 3%, 5% 첨가한 쿠키를 제조하여 쿠키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 솔잎 분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31.37$\pm$0.55 mg GAE/g이며, DPPH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100 ${\mu}g$/mL 수준에서 73.87$\pm$2.02%로 나타나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 주었다. 제조된 쿠키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한 결과 솔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total polyphenol 함량도 솔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는데, DPPH radical 소거능과 total polyphenol 함량이 양의 상관관계 r=0.989(p<0.001)를 보여주어, total polyphenol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반죽의 밀도와 pH, 쿠키의 수분함량,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 색도, 조직감, 관능검사 등의 품질평가를 실시한 결과 반죽의 밀도는 솔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솔잎 분말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쿠키의 수분함량은 솔잎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퍼짐성 지수는 첨가량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고, 손실율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팽창률도 5% 첨가군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색도는 솔잎 분말과 쿠키를 굽는 과정에서 생기는 마이얄 반응과 카라멜반응 등의 영향으로 솔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솔잎분말 첨가농도에 의존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기호도 검사에서 외관, 향,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솔잎 분말을 1%와 3% 첨가한 솔잎쿠키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솔잎특성 강도에서는 색과 솔잎 향, 삼킨 후의 느낌에서 5% 첨가군이 가장 강하였고 느끼한 향과 단맛, 부드러운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강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고소한 맛에서는 0.5%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쿠키에 솔잎 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쿠키의 기호도를 증가시켜주고 동시에 총 페놀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쿠키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쿠키제조 시 솔잎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