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e substitu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3초

친환경 무기질 고화재를 사용한 무시멘트 황토모르타르의 특성 (Properties of Cementless Loess Mortar Using Eco-Friendly Hardening Agent)

  • 정용욱;김성현;이동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355-3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무기질 고화재를 사용하여 무시멘트 황토모르타르의 유동성과 강도특성 및 내수성과 동결융해 등의 내구 특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황토모르타르의 재령 28일 압축 및 휨강도는 마사토와 황토 혼합비율에 관계없이 고화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고화재 치환율에 관계없이 재령 14일까지의 강도증진효과는 크게 나타났으나 재령 14일 이후 강도증진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아 황토모르타르의 강도발현은 일반 콘크리트의 강도발현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화재 10% 사용 시 평균 휨강도는 1.7MPa로 포장용 콘크리트의 재령 28일 휨강도 4.5MPa 이상을 만족시키지 못하였으나, 고화재 20%에서 약 4.0MPa, 고화재 30%에서 5.3MPa로 근접하거나 높게 나타나, 황토모르타르를 포장용 도로에 적용시 고화재 사용량은 최소 20% 이상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내수성 실험결과 흡수 건조의 반복은 황토의 혼합비율에 관계없이 질량을 감소시켰으며, 최대길이변화율은 황토 혼합비율과 고화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결융해 저항성 실험결과 동결융해 300 사이클에서 상대동탄성계수는 고화재 20%에서 75%, 고화재 30%에서 79%로 나타나, 황토모르타르의 상대동탄성계수 60% 이상을 만족시키기 위한 고화재 사용량은 20%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칼리 용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셀룰로오스 겔의 카드뮴 흡착특성 (Cadmium Adsorption Characteristic of Cellulose-gel Manufacture using Alkali Solvent)

  • 황교정;권구중;양지욱;황원중;황재현;김대영
    • 펄프종이기술
    • /
    • 제47권6호
    • /
    • pp.113-122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zation of cadmium adsorption by cellulose hydrogel and aerogel. Hydrogel and aerogel were made from ashless pulp dissolved in alkali hydroxide-urea aqueous solution and manufactured in film and bead types. After regeneration of cellulose, hydrogel went through the process of substitution of organic solvent and freeze-dry in order to make aerogel. SEM was used to analyze the microstructure of hydrogel and aerogel. Experiment was conducted in various concentrations and pH condition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cadmium adsorption. After that, EDS was used to identify existence and distribution of cadmium in hydrogel and aerogel. The result from comparisons of cadmium adsorption shows that bead type aerogel has the maximum cadmium adsorption and film type hydrogel has the minimum cadmium adsorption.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upon Addition of Paprika Powder)

  • 정창호;김진희;조정래;안철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1-287
    • /
    • 2007
  • 파프리카 분말을 스폰지 케이크 제조에 이용하고자 동결 건조된 두 가지 파프리카 분말을 밀가루 배합비에 2, 4 및 6%의 비율로 첨가하여 반죽의 비중과 점도 및 그에 따른 최종 케이크 품질,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결과에서 품종이 다른 두 종류의 파프리카 분말의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케이크 반죽 비중 및 점도는 증가하였고, 케이크의 부피와 높이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상은 파프리카 분말의 첨가에 따라 표면과 내부의 색깔을 모두 어둡게 하였으며, 조직감은 파프리카 분말의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였다. 파프리카의 품종이 스폰지 케이크의 관능검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파프리카 분말 4% 첨가구가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High Pressure Freezing (HPF)을 이용한 조류 Ptilota filicina의 미세구조 관찰:HPF 고정법과 화학 고정법의 비교 (Ultrastructures of Ptilota filicina (Rhodophyta) by High Pressure Freezing(HPF): Comparison of HPF Fixation and Chemical Fixation)

  • 이상희;김윤중;정종만;김진규;김영민;권희석;문원진;이석훈
    • ALGAE
    • /
    • 제21권4호
    • /
    • pp.479-483
    • /
    • 2006
  • In preparation of the biological samples for electron microscopy, the chemical fixation by glutaraldehyde, paraformaldehyde, and OsO4 has been generally used for a long time. However, the chemical fixation method has some problems: the infiltration time is a little bit long and the ultrastructure of cell or tissue transforms before complete fixation of sample. So, recently, cryo-fixation is considered more often in biomedical field. In this study, we compared High Pressure Freezing (HPF) method with chemical fixation method using a algal sample (Ptilota filicina J. Agardh), which was difficult to fix using chemical fixation method. In chloroplast, the ultrastructure of thylakoid lamella and phycobilisome can not show clearly by chemical fixation. In this study we could observe the ultrastructure of thylakoid lamella and phycobilisome of chloroplast very clearly using HPF fixation. An improved images of ultrastructures of nucleus, mitochondrion and floridean starch could obta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PF method is very useful method in algal specimen for electron microscopy.

느타리버섯균의 핵의 동태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균사분화중의 성상체 미세소관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Aspects of Nuclear Behaviors of Pleurotus ostreatus - Behaviors of Astral Microtubules During Hyphal Development -)

  • 윤권상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1-7
    • /
    • 1996
  • 느타리버섯균의 이핵체 체세포 균사에서 분열전 및 분열후의 핵과 분열중의 핵을 화학고정방법과 동결교체방법을 이용하여 균사분화과정중의 성상체 미세소관의 미세구조적 동태를 조사하였다. 많은 수의 성상체 미세소관들이 이동중인 분열전의 핵들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분열전의 핵이 이동하는 시기에 SPB의 분리가 진행됨이 발전되었다. 분열전 이동중의 핵과는 대조적으로 SPB의 분리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분열중의 이거나 분열이 끝난 핵에서는 성상체미세소관이 덜 발달되어 있었다. 활발히 이동할 것으로 추측되는 분열후의 핵에서 핵과 연관된 성상체미세소관이 잘 발달되어 있지 않음은 특이한 점이다. 분열중의 모든 핵에서 성상체미세소관이 SPB에서 뻗어나오며 인은 핵막에 남아있다. 핵의 분열과 핵의 이동 및 SPB의 분리와 관련된 성상체미세소관의 기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변성 감자 전분의 노화와 팽윤력 (The retrogradation and swelling power of modified potato starches)

  • 김지태;노완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5호
    • /
    • pp.404-409
    • /
    • 1992
  • 치환도를 달리한 hydroxypropyl화 감자전분과 acetyl화 감자전분을 제조하여 이를 원료로 제조한 starch gel에 대한 냉동 해동 안정성과 냉장저장 안정성에 대한 pH의 영향을 조사하여 각 pH에서의 치환도에 따른 노화도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또한 이들의 팽윤력에 대한 pH 및 온도의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노화도는 냉장저장한 gel보다는 냉동 해동을 반복한 gel의 노화도가 더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pH4>6>8>10의 순서로 노화도가 감소하였다. 치환도가 커질수록 노화도는 감소하였는데 천연 감자 전분보다는 ace1화 감자전분이, acetyl화 감자전분보다는 hydroxypropyl화 감자전분의 노화도가 더 적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hydroxypropyl화 감자전분의 경우 pH 10에서 치환도가 클수록 gel의 안정성이 더 우수하였다. 팽윤력은 pH에 의한 영향보다는 온도에 의한 영향력이 더 켰으며, 변성전분의 치환도가 증가할수록 팽윤력이 증가하였고, acetyl화 감자전분보다는 hydroxypropyl화 감자전분이 우수하였다. 또 동일한 은도에서의 팽윤력은 pH10>2>8>4>6의 순서로 감소하였다.

  • PDF

콘크리트용 골재활용을 위한 셰일 골재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hale for Application of Aggregate for Concrete)

  • 이승한;정용욱;장석수;여인동;최종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915-592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셰일 골재의 콘크리트용 굵은골재로의 활용을 위한 성능개선 방안으로 발수제와 폴리머를 사용하여 셰일 골재를 코팅하였으며, 코팅방법에 따른 밀도, 흡수율, 마모율, 안정성 등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성능개선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셰일 골재의 치환율을 변화시켜 제조한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과 재령별 압축강도, 휨강도 및 동결융해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골재의 절대건조밀도는 모든 골재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의 밀도 사용기준인 $2.50g/cm^3$이상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수제 코팅에 의한 셰일 골재는 성능개선 전 셰일 골재와 비교하여 약 50%의 흡수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모율은 폴리머 코팅에 의한 경우 성능개선 전과 비교하여 최대 13.0%의 마모율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안정성은 모든 골재에서 콘크리트용 굵은 골재 사용기준인 12% 이하를 만족하였다. 발수제에 의한 성능개선 셰일 골재의 슬럼프는 성능개선 전의 셰일 골재보다 약 20~30mm 높게 나타났으며, 공기량은 발수제를 코팅한 셰일 골재의 경우 코팅하지 않은 셰일 골재보다 약 1.0%의 공기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폴리머 코팅 셰일 골재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Plain 골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압축강도는 RS(F) 95.7%, BS(F) 90.0%로 나타났으며, 휨강도는 RS(F) 98.0%, BS(F) 92.0%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폴리머로 코팅된 셰일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300 cycle 동결융해 후 상대동탄성계수는 RS(F)와 BS(F)에서 91%와 88%로 나타나 코팅에 의한 셰일골재의 성능개선은 동결융해 반복에 따른 내구성능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ium Hydroxide-urea 수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셀룰로오스계 에어로겔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ellulose Aerogel Prepared by Using Aqueous Sodium Hydroxide-urea)

  • 김은지;권구중;김대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302-309
    • /
    • 2013
  • Sodium hydroxide-urea 수용액을 이용한 다공성 셀룰로오스계 에어로겔은 용해, 겔화, 재생, 유기용매 치환과 동결건조과정에 의해 제조되었다. 에어로겔의 구조적 특성과 다공성은 주사전자현미경과 질소흡착장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용해펄프는 완전히 용해되었지만, 여과지와 홀로셀룰로오스는 원심분리과정에서 수용액에 용해된 부분과 용해되지 않은 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용해펄프 에어로겔의 표면은 다공성 공극, 내부는 그물모양의 망목상 구조가 관찰되었다. 여과지와 홀로셀룰로오스 에어로겔은 표면이 압축된 다공성 네트워크 형태였고, 내부는 open-pore 구조의 나노피브릴 네트워크로 구성되었다. 홀로셀룰로오스 에어로겔에서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형태의 섬유들이 관찰되었다. 용해펄프로부터 만들어진 에어로겔의 비표면적은 260~326 $m^2/g$ 범위였고, 농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다. 그러나 여과지 에어로겔의 비표면적(198~418 $m^2/g$)은 농도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홀로셀룰로오스 에어로겔은 2% 농도에서는 137 $m^2/g$로 농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4% 농도에서 401 $m^2/g$로 최댓값을 보여주었고, 5% 농도에서 감소하였다.

동결건조 살구분말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Supplemented with Freeze-Dried Apricot Powder)

  • 이윤선;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57-9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살구분말을 밀가루에 대하여 0%, 4%, 8%, 12%로 대체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머핀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8% 첨가군과 12%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은 살구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pH는 살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머핀의 비체적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살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머핀의 L값은 대조군과 4%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고 a값과 b값은 살구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머핀의 기계적 조직감 측정 결과 경도, 탄력성, 응집성은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내부조직은 대조군의 경우 기공이 잘 발달되어 있는 반면, 살구분말 첨가군은 기공의 크기와 수가 감소하고 조직이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머핀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살구 분말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조사에서 머핀의 외관, 냄새 조직감은 대조군과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군과 8% 첨가군까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12% 첨가군은 관능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살구분말을 8% 수준까지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적인 면에서는 차이가 없고 기능적인 면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향상되어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저온에서의 싸이클로옥타논에 대한 고유동위원소 효과 (INTRINSIC NMR ISOTOPE SHIFTS OF CYCLOOCTANONE AT LOW TEMPERATURE)

  • 정미원
    • 분석과학
    • /
    • 제7권2호
    • /
    • pp.213-224
    • /
    • 1994
  • 선택적으로 중수소를 치환시킨 싸이클로옥타논의 여러 동위원소 이성질체들을 합성하였다. 고유동위원소 효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 $^{13}C$ NMR 화학적 이동값들을 각 이성질체에 대해 저온에서 계통적으로 관찰하였다. 특히 싸이클로옥타논이 선호하는 안정한 형태 이성질체인 클 boat-chair 형과 연관시켜 이 효과들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