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nz cell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3초

Quercetin과 Rutin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 제형 개발 (Development of Porous Cellulose-Hydrogel System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Quercetin and Rutin)

  • 이민혜;김수지;박수남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47-3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제인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rutin의 피부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달체로 다공성 셀룰로오스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Quercetin과 rutin을 위한 최적의 하이드로젤을 가교제인 12% epichlorohydrin(ECH)과 2% 셀룰로오스를 반응용액으로 하여 만들었다. 플라보노이드 함유 하이드로젤의 방출 실험에서, quercetin의 방출은 $10{\sim}500{\mu}M$ 농도에서 확산 속도에 영향을 받았으나, rutin의 경우는 비교적 낮은 농도($10{\sim}50{\mu}M$)에서 하이드로젤의 침식에 의한 방출이 지배적이었다.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하이드로젤의 포집효율과 방출량은 quercetin보다도 rutin에서 모두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피부 투과 실험에서 quercetin이 rutin보다 1.2배나 더 큰 피부 투과능을 나타냈다. 플라보노이드 함유 하이드로젤은 대조군인 20% 1,3-butylene glycol phosphate buffer에서보다도 더 큰 경피 투과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들은 난용성 항산화제인 플라보노이드의 피부 흡수 증진 전달체로서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이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의 항균활성 연구 (Nano-emulsion Containing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 Extracts for Enhanced Skin Permeation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s)

  • 조나래;박민아;전소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6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활성을 갖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고자 이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및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은 평균 입자 크기가 302 nm를 나타내었으며 포집 효율은 86%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노에멀젼은 단분산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고압유화과정을 거치지 않은 일반 에멀젼보다 2주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제조된 담쟁이덩굴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1,3-butylene glycol 용액이 32.59%의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고, 나노에멀젼은 42.47%의 피부 흡수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화장품에 있어 천연 항균제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항균제인 methyl paraben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피부흡수능 증진을 통해 향후 화장품 제형으로서 이용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Gram (+)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바탕으로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항산화 활성 및 세포보호효과와 더불어 기능성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바이오틴 함유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bility of Biotin-containing Nano-liposome)

  • 양성준;김태양;이춘몽;이광식;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3-145
    • /
    • 2020
  • 본 연구는 용해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물질인 바이오틴(biotin)의 안정화 및 용해도 증가를 목적으로 나노리포좀을 활용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pH가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H 상승이 바이오틴 활성에 튼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타사이저(zetasizer)로 입자크기, 제타전위(zeta potential) 및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입자크기는 평균 100 ~ 250 nm, 제타전위 -80 ~ -30 mV로 나노리포좀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 내의 바이오틴 캡슐화율(capsulation efficiency)을 측정하기 위해 dialysis membrane method (DMM)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알지닌을 첨가시킨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일반 바이오틴 나노리포좀보다 캡슐화율이 5 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경피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cryogen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ryo - TEM)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잘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모발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소개된 바이오틴을 약물전달체(drug delivery carrier)인 나노리포좀에 캡슐화시켜 기존의 낮은 용해도 및 석출되는 문제를 보완한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초 플라보노이드 Liquiritin 및 Liquiritigenin을 담지한 피부전달체인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 제형 개발 (Development of Porous Cellulose Hydrogel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Liquiritin and Liquiritigenin as Licorice Flavonoids)

  • 김수지;권순식;유은령;박수남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676-681
    • /
    • 2014
  •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감초는 항산화/항염증 등의 작용을 나타내는 배당체 liquiritin 및 그 아글리콘인 liquiritigen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전달체로 이들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하이드로젤을 제조하고 그 특성과 피부 투과능을 조사하였다. 셀룰로오스와 NaOH/urea(1~10%) 용액 및 가교제로서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을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을 제조하였다. Liquiritin 및 liquiritigenin 담지를 위한 최적의 하이드로젤은 셀룰로오스 용해를 위해 사용된 1~10%의 우레아 농도 중 6% 우레아 용액에서 제조된 하이드로젤이 동적 점탄성 및 수분 흡수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SEM으로 관찰한 결과, 제조된 하이드로젤의 단면은 다공성을 나타내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in vitro 피부투과 실험 결과, 감초 플라보노이드 함유하이드로젤은 대조군보다 더 높은 피부 투과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셀룰로오스 다공성 하이드로젤이 감초 플라보노이드의 경피 전달에 있어 효율적인 피부 전달체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Quercetin과 Rutin을 함유하는 PCL-b-PEG 고분자 미셀의 특성 및 피부 흡수에 관한 In vitro 연구 (Physical Characteristic and In vitro Transdermal Delivery of PCL-b-PEG Micelles Containing Quercetin and Rutin)

  • 임규남;김선영;김민지;박수남
    • 폴리머
    • /
    • 제36권4호
    • /
    • pp.420-42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quercetin과 그 배당체인 rutin을 함유하는 poly(${\varepsilon}$-caprolactone)-b-poly(ethylene glycol) 미셀을 제조하여, 활성물질(quercetin, rutin)의 in vitro 피부 흡수 증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입자크기는 PCL-b-PEG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셀의 초기 입자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분자 미셀의 표면 전위(Zeta potential)는 비교적 일정함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고분자 미셀의 피부 흡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용액 상태의 활성물질을 미셀의 대조군으로 하여 Franz cell을 이용한 투과실험을 진행한 결과 용액 상태보다 미셀에서 더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인체 피부 일차자극 실험(patch test) 결과 어떠한 피부 자극도 관찰되지 않았다.

N-methyl-2-pyrrolidone 제제의 경피흡수촉진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N-methyl-2-pyrrolidone on Skin Permeation of a Hydrophobic Active Ingredient)

  • 이근수;이동환;김경범;고현주;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5-120
    • /
    • 2010
  • 피부에서 표피를 통한 물질의 수송은 피부의 여러 가지 보호 작용으로 인해 경피 흡수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 결과적으로 생리 활성 성분이 그 효과를 발휘하는 진피층까지 도달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피부에서 매우 낮은 농도가 투과되는 친수도가 높은 약물(알부틴)의 경피흡수를 촉진하는 화학적 촉진제의 in vitro 흡수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화학적 촉진제로 N-methyl-2-pyrrolidone (NMP)을, 경피흡수장치는 Franz diffusion cell을 사용하였다. NMP는 약물의 경피흡수에 상당히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MP는 피부 지질층의 유동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약물의 보조흡수제로 작용하여 알부틴의 경피흡수촉진비율을 약 1.3~1.5배 증가 시켰지만 지연 시간의 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NMP는 친수성 생리활성 물질의 효과적인 화학적 경피흡수 촉진제로 작용하였으며, 향후 화장품 제형 및 약물전달체계에 응용이 기대된다.

클렌부테롤의 피부투과에 미치는 경피흡수촉진제의 영향 (The Effect of Enhancers on the Penetration of Clenbuterol through Hairless Mouse Skin)

  • 최한곤;이종달;유봉규;용철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3권1호
    • /
    • pp.29-36
    • /
    • 2003
  • Clenbuterol, a selective ${\beta}_2-adrenergic$ receptor stimulant, has been introduced as a potent bronchodilator for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chronic obstructive bronchial disease, chronic bronchitis and pulmonary emphysema. The percutaneous permeation of clenbuterol was investigated in hairless mouse skin after application of 50/50 buffer(pH 10)/propylene glycol solvent mixture. The enhancing effects of various penetration enhancers such as terpenes, non-ionic surfactants, pyrrolidones, fatty acids and some other enhancers on the permeation of clenbuterol were evaluated using Franz diffusion cell. Among terpenes studied, 1,8-cineole was the most effective enhancer, which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clenbuterol approximately 39.33-fold compared with the control without penetration enhancer, followed by menthone with enhancement ratio of 23.57. Nonionic surfactants did not have significant enhancing effects. N-Lauryl-2-pyrrolidone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clenbuterol approximately 4.51-fold compared with the control. Lauric acid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clenbuterol approximately 35.57-fold with decreasing the lag time from 2.64 to 0.52 hr.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capric acid showed enhancement ratio of 22.62, 19.60, 17.45 and 16.51, respectively. $Labrafil^{\circledR}$ enhanced the permeability of clenbuterol 9.24-fold compared with that without enhancer.

In vitro Release Characteristics of Nitroglycerin from Microemulsion-Based Hydrogel System for Anal Fissure Treatment

  • Lee, Sang-Kil;Shin, Hyun-Woo;Kang, Myung-Joo;Cho, Seong-Wan;Cho, Jae-Youl;Lee, Jae-Hwi;Choi, Young-Wo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7권2호
    • /
    • pp.95-99
    • /
    • 2007
  • To develop topical nitroglycerin (NTG) preparation far chronic anal fissure treatment, the release rate of NTG should be controlled carefully. For this, microemulsion was prepared from the phase diagram construction with Cremophor ELP, ethanol and Labrafil $M1944CS^{(R)}$ and the topical gel was prepared by dispersing NTG containing microemulsion into hydrophilic polymers. in viかo releas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with Franz diffusion cell using cellulose membrane and compared with control hydrogels. The release rate of NTG was followed $1^{st}$ order kinetics and, when comparing the NTG release from control hydrogel with that from the microemulsion-based hydrogel, the NTG release rate was controlled by the content of polymers within continuous phase and the concentration of dispersed phase.

반고형 제제의 제품허가 후 변경사항을 다루는 SUPAC-SS (Usefulness of SUPAC-SS in Dealing with Postapproval Changes to Semisold Dosage Forms)

  • 조미현;석귀덕;사홍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3호
    • /
    • pp.207-224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inciples of SUPAC-SS and its regulatory application in handling postapproval changes to nonsterile semisolid dosage forms. The types of postapproval changes that SUPAC-SS described were modifications in formulation (components and composition), batch size, manufacturing equipment & process, and the site of manufacturing. SUPAC-SS defined the levels of postapproval changes and what 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 tests should be conducted for each change level. The guidance also specified several occasions the manufacturers should perform in vitro release test (Franz cell diffusion test) and/or in vivo bioequivalence test. Finally, SUPAC-SS classified appropriate filing forms to be used in supporting postapproval changes. It was crystal clear that SUPAC-SS helped maintain the safety and quality of approved semisolid dosage forms when they were subject to certain postapproval changes. The availability of SUPAC-SS made contributions to reducing regulatory burdens of the industry, as well as expediting the postapproval process of regulatory agencies. This study also shed light on the background of relevant pharmaceutical sciences that the SUPAC-SS guidance adopted. Finally, the KFDA and the industry were strongly urged to implant a similar guidance in handling postapproval changes to semisolid dosage forms available in the Korean marketplace.

치자엑스 가수분해물 제제의 피부투과 및 생체 피부조직과의 교차결합에 관한 연구 (Skin Permeation and Crosslinking with Biological Tissue of the Hydrolyzed Products of Gardeniae Fructus Extract)

  • 양재헌;이남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5권1호
    • /
    • pp.7-16
    • /
    • 2005
  • Gardeniae Fructus is consisted of geniposide and it's derivatives.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of skin disease, geniposide and hydrolyzed products (HP) of Gardeniae Fructus were studied on skin permeation and cross1inking with biological tissue. The hydrolyzed products (HP) and active ingredients of Gardeniae Fructus we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about skin permeability. Genipin has provided low cytotoxic cross1inking reagents and formed stable and biocompatible crosslinked products. The permeation enhancing effects of geniposide and genipin under the hydrolyzed products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s were tested using Franz type diffusion cell and the skin of hairless mouse. The remaining proportions of geniposide and genipin were measured in the hydrolyzed products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s. The crosslinking of epidermic and endodermic tissue with genipin under the hydrolyzed prodcuts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 was observed using light microscopy. Increased absorption ratio of the skin of hairless mouse about genipin was higher than that of geniposide. Loads at break, tensile strengths and skin permeation rate of the hydrolyzed products (HP) of cream and hydrogel preparations were higher than the nonhydrolyzed products (NHP). The hydrolyzed products (HP) of cream and hydrogel of Gardeniae Fructus Extracts were proper preparations and crosslinking agents to increase the transdermal absorption with epidermic and endodermic 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