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tive elements

검색결과 284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전통 전지공예와 현대도자장식의 융합에 대한 연구 (An Introductory Study on Convergence of Traditional Chinese Paper-cutting Art and Contemporary Ceramic Decoration)

  • 이신청;위정기;엄붕;김원석;노혜신;김성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51-356
    • /
    • 2020
  • 본 연구는 중국전통 전지공예와 현대도예의 융합을 시론적으로 다룬 것이다. 전지공예는 중국인이 오랫동안 일상에서 즐겨온 팝아트적 예술이며, 현대도자는 이로부터 창작의 소재와 모티브를 공급받아 작가의 창의성을 자극하며 도예의 새로운 길을 열고 있다. 순수한 평면예술인 전지공예는 도자기를 만나 3차원 공간으로 전이되어 새로운 예술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도자재료는 그 가소성과 수용성으로 말미암아 전지공예 내포하고 있는 음양허실의 조화는 물론 전지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양자의 융합에 대한 경향성과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프뢰벨 은물의 시각적 조형원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principles of Freobel′s Gifts)

  • 방경란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3-402
    • /
    • 2004
  • 프뢰벨이 1837에 창안한 은물(Gifts)은 유아교구에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놀이감을 이용한 최초의 교수매체였다. 프뢰벨이 은물의 형태에서 제시하고 있는 육면체, 원기둥, 구의 형태와 점선면의 개념, 그리고 6개 색채 등의 조형적 개념은 근대디자인에서 시각적 조형요소의 기초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프뢰벨 유아교육사상을 현실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시된 교육적 놀이감인 은물교구에 대한 디자인적 고찰과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뢰벨 은물에 대한 시각적 조형성을 분석하여 봄으로써 프뢰벨 교육사상이 은물의 조형적인 형태생성에 끼친 구조적 원리를 고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은물이 가지고 있는 조형원리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사상체계가 시각적으로 어떻게 형태에 적용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은물교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조형성에 대한 탐색적 고찰로서, 기하조형에 대한 형태생성원리의 연구이며, 그에 대한 영향력과 유아교구의 조형성에 대한 문제점을 디자인적 시각에서 분석하여 본 것이다.

  • PDF

TV음악쇼 LED모션그래픽 조형이미지 구성 연구 (A Study on LED Motion Graphic Formative Image on TV Music Show)

  • 오호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23-834
    • /
    • 2015
  • 본 연구는 TV음악쇼 프로그램에서 가수 등의 공연자를 중심으로 배경 디스플레이로 사용되는 LED백드롭(backdrop)의 모션그래픽 이미지 조형구성을 분석하였다. 모션그래픽 LED 화면은 평면조형으로 구성되는데, 백드롭의 배경으로써의 기능이 공감각과 시각요소의 감성전달이라는 목표가 있는 것이므로, 감성전달 요소가 되는 컬러와 모션 방향과 속도에 대한 감성적 개념을 분석하였다. 감성전달 요소 중 그래픽 조형에 대한 분석으로는, 이를 이루는 형의 종류와 응용요소를 구분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음악 곡의 전개인 인트로, 벌스, 브릿지, 코러스 부분에서 어떠한 모션 패턴과 배치가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남성과 여성 공연자의 배경으로써 어떠한 디자인 특징이 있는지 연구하였다. 사례연구로, 모션그래픽 배경이미지 디자인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지상파TV 3사의 청소년 대상 음악 순위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곡 전개에 따라 주로 디자인 되는 조형의 종류와 모션 패턴 그리고 모션 배치 유형을 도출하였다.

조형요소인 점, 선, 면을 적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Nail Art Design Applying Point, Line, and Plane as Forming Elements)

  • 고정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65-271
    • /
    • 2020
  • 본 연구는 네일아트의 시각적 표현을 위해 공간을 구성하는 조형의 기본요소인 점, 선, 면을 적용한 네일아트를 제시하여 네일아트 디자인의 창의적인 발상과 예술적인 영역의 확대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전문서적과 선행연구,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해 조형요소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다양한 표현 기법과 함께 점, 선, 면의 특성이 네일아트에 어떻게 적용되며 시각메세지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각 특성에 따라 분석하여 총 6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조형요소인 점, 선, 면이 가지는 특성을 예술적으로 접근하여 재해석함으로써 네일아트 표현에 대한 시각을 새롭게 모색하고 이를 활용하여 네일아트 디자인의 무한한 가능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캐릭터 도안(圖案)의 창작성 판단 기준 - 저작권침해소송 판례를 중심으로 - (Judiciary Elements of Originality in 2D Character Design - Focused on the Precedents of Copyright Infringement -)

  • 조경숙
    • 복식
    • /
    • 제66권5호
    • /
    • pp.33-48
    • /
    • 2016
  • Upon the needs to draw the judicial elements of creativity in the copyrighted character designs, this paper aims to draw and categorize the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preceding court deci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orm of body, the features in its face and its composition, the overall image, the degree of personification, and aesthetic sensation. These elements reflect formative skills required to portray the intrinsic quality of a character. This paper is of significant interest in that it suggested the legal basis and elements of creativity in character design to professionals in both areas of design and judicial decisions.

음악의 시각화에 의한 의상디자인 연구 - 리듬감의 표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ress Design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 Focused on the expression of rhythmic sense -)

  • 유금화;남진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1-125
    • /
    • 2006
  •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musical sense objectively, and visualized it to express visual effects as if watching music with the eye. For the visualization of music, we examined the concept of synesthesi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hearing and seeing, and reviewed theoretical grounds and a number of cases necessary in reproducing musical sense visually based on synesthetic expression. Furthermore, we studied the visual elements and associated colors of rhythm to prove that visual conception of music through various approaches enable a transitional approach to aesthetic exploration and interpretation.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classic music selected for visualization had musical characteristics highly correlated with dress design. Second, basic formative elements suggested as materials of visualization in this study were suitable in their form for expressing the rhythmic sense of music and, because they started from the most basic form, they were effective in extracting design elements. Third, whe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focused on the visualization of the rhythmic sense of the five pieces of classic music, was analyzed from the aspect of sensibility ergonomics, design elements of each piece of music were obtained in an objective and scientific way.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common concepts could be derived from intangible elements such as forms and sounds observed in the rhythmic sense of music obtained from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Fifth, work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ccording to the result, musical images can express sense through dress design and obtain visual effects as if watching music with the eye. Dress desist through the visualization of music in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suggest that the language of music can be expressed in dress design, a visual formative language, based on synesthetic expression. Through this attempt, we confirmed the infinity of music as motives of dress design and suggested a method of aesthetic expression demanded in contemporary society that is pursuing aesthetic values.

  • PDF

현대 패션 윈도우 디스플레이에 나타난 자연적 오브제의 조형적 특성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Natural Objets in Contemporary Fashion Window Display)

  • 김장현;김영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35-546
    • /
    • 2017
  • This study considers direction typ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natural objets in contemporary fashion window display. The research methods are both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analysis based on images of contemporary fashion window displa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types of natural objets in contemporary fashion window display expand objective outlines by maximizing the morphological form of objects. Second, a rhythmic sense expressed through a gradual repetition of patterns or a sequential arrangement of natural objects. Third, it represents a reversal of image accomplished through a modification of material on the natural objects. Fourth, a new space is created by transforming two dimensional forms of natural objects. The first formative characteristic of natural objects in contemporary fashion window display is exaggeration. This is expressed through either the expansion of the external volume, the collapsed form of natural objects, or the distortion of external colors. Second, it is a dynamics. This makes it possible to recall the dynamic image of the integration of the observer with a priori thinking by systematically sequencing objects or inducing a specific motion. Third, it is an abstraction. This provides an opportunity for the observer to find in a natural beauty by exchanging physical form or reinterpreting characteristic points. Fourth, it concerns eclecticism characteristic that objects created through the mutual fus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indicates an aesthetic inspiration in a limited space by diverting conventional thinking toward natural objects with expansion of consciousness on formative arts.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조형요소 인지특성 비교 (Comparison on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 of the designer and consumer about the formative elements)

  • 민경택;허성철
    • 감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97-108
    • /
    • 2009
  •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 조형화 과정은 실체적인 존재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며, 최종적으로 제품에 대한 결과를 이끌어 내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조형화 과정은 일반적으로 디자이너의 주도적인 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 다양한 조형 요소들을 활용하여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제품 형태의 조형화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요소들이 소비자와 디자이너의 시각 차이에 의해서 생기는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소비자가 제품의 조형화 과정에 직접적인참여를 하는 방법과 소비자의 요구가 보다 효율적으로 조형화 과정에 반영되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제시에 대한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제품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정립을 선행하여 기본적인 제품 조형 구성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제품 조형요소와 제품 조형원리를 일부 설정하여 소비자를 대상으로 55개의 컨셉 제품과 64개의 스피커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반응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일부 실험 자극물을 이용하여 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 결과 소비자와 디자이너는 형태의 조형 요소에 대해 어느 정도 시각 차이를 보이며 이는 디자이너의 경우 주관적인 디자인 통념에 의해서, 소비자의 경우 제품에 대한 미숙한 시각적 이해에 의해서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이너는 소비자의 최종적인 감성반응을 이끌어내는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형태에 대한 시각 차이를 이해하고, 형태 조형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조형요소의 구성을 활용 할 수 있다고 본다.

  • PDF

Wölfflin과 Delong 이론을 통해 고찰한 영화의상의 형태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 of Cinema Costume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Wölfflin and Delong)

  • 윤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40-1151
    • /
    • 2009
  • This study researches the formative character of 1920's fashion through cinema costum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ies of W$\"{o}$lfilin and Delong. This study organizes a new perspective such as closed form & open form, part recognition & whole recognition, and flat & rou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orm in the costumes of 'The Great Gatsby', 'Chariots of Fire', and 'Chicago'. The 1920's style in the fashion history is a closed form and flat because of simplicity and functionality. The costumes in Chariots of Fire' that focuses on the reappearance of 1920's fashion is a flat and closed form. However, the costumes of 'The Great Gatsby' that presents a symbolic meaning and 'Chicago' that expresses a splendid look are an open and rounded form. Evening dresses are open, with whole recognition and a rounded form because of sheer fabrics, beading, uneven hemlines, and lighting. Daytime dresses are a closed form and flat because of heavyweight fabrics, dark or achromatic colors and non-patterns. Also, open form and rounded, closed form and flat have a similar distribution in diagrams. When the viewer recognizes the form of clothes, they react in a similar way to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s that shows that the form of clothes is recognized by the relation with the body. In addition, this study researches the connection between diverse elements such as clothes, body, movements, space, and external elements such as lighting.

'넨도' 가구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Features of 'Nendo' Furniture)

  • 김기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68-78
    • /
    • 2015
  • Nendo, which was established in Tokyo in 2002, is a design company established by Oki Sato, which is gaining reputation as a new design group representing Japan through numerous design tasks encompassing diverse design sectors, such as architecture, interior, furniture, graphic, and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rmative features of Nendo furniture by reviewing 133 pieces of Nendo furniture designed for the last ten years and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endo furniture by reviewing the time of launch, product launch type, and furniture type. As a result, the design features of Nendo furniture are as follows: First, the shapes of basic materials including boards, lumber, and bars are maintained intact and Nendo furniture has simple and moderate design without complicated or decorative elements. Second, Nendo furniture has simply embodied a design characterized by simple transformation, minimization of furniture elements, and rearrangement. Third, Nendo presents new and simple furniture differentiated from other pieces of furniture using optical illusions. Such expressions of optical illusions which are hardly found in preexisting furniture are a major feature of Nendo furniture. Fourth, a majority of chairs of Nendo cause optical illusions with the minimized size. In addition, their top boards made of transparent glass and mirror cause optical illusions with the properties of materials. In short, design of Nendo furniture is characterized by formative expressions, expressions of optical illusions, and differentiated use of materials. Fifth, Nendo keeps launching new furniture items in various exhibitions. As a result, Nendo makes furniture with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its diverse studies and experiments which are applied to furniture design in a realistic way. In summary, design of Nendo furniture is characterized by simply embodied design based on small differences in daily life, minimalism with simple and moderate shapes, and its own witty uniqueness based on formative expressions, expressions of optical illusions, and use of materials differentiated from other furniture bra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