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isturbance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5초

대규모 교란현상 후 형성된 대형갈조류 감태(Ecklonia cava) 개체군의 계절적 변동 및 회복 양상 (Recovery Pattern and Seasonal Dynamics of Kelp Species, Ecklonia cava Population Formed Following the Large-scale Disturbance)

  • 김상일;강윤희;김태훈;박상률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1권3호
    • /
    • pp.103-111
    • /
    • 2016
  • 대규모 교란현상 이후 형성된 대형갈조류 감태 개체군의 계절적 변동과 회복양상을 이해하기 위해서 감태의 형태학적 특성, 가입, 사망률, 밀도와 생물량을 2013년 6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감태의 전체 길이, 가장 긴 측엽의 길이와 개체당 무게는 뚜렷한 계절적 경향성을 보였다. 줄기부의 길이는 겨울부터 봄까지 증가하였으나,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감태의 형태적 변화가 주로 엽상부의 변화에 의해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태의 성장은 수온이 $15{\sim}18^{\circ}C$인 겨울부터 봄까지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지만, $20^{\circ}C$ 이상의 수온에서는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은 실험이 진행되는 기간 동안 봄부터 여름에 걸쳐 매우 낮았다. 그러나 2015년 4월 생육밀도의 감소로 인해 감태의 피도가 매우 낮아진 시점에 대량의 가입이 발생하였으며, 이것은 감태의 가입이 계절적 요인 보다는 공간과 차광효과 같은 물리적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어린 개체는 부착기질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매우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태풍 '볼라벤'에 의한 교란 이후 34개월이 되는 2015년 6월에 이르러 개체군의 구조가 교란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대규모 교란현상 이후 감태 개체군이 교란 이전의 개체군 구조로 회복되는 데에는 3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해중림을 구성하는 대형갈조류의 관리, 복원 및 보호 전략을 수립하는데 매우 귀중한 생태학적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대형증발계 증발량의 일 변화 (Short-term Variation in Class A Pan Evaporation)

  • 이부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97-202
    • /
    • 2002
  • A new method is used to estimate th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from Class A Pan with higher precision and accuracy. The principle of method is to detect the weight change of a buoyant sinker resulting from a change in water level of Class A Pan. A strain-gauge load cell is used to measure the weight change. Field observation of evaporation was done at Pohang Meteorological Station from June 24 to August 4, 2002. By using this new method, it is possible to measure hourly evaporation accurately even under a strong solar radiation and wind disturbance, enabling a direct comparison of evaporation with other meteorological elements. At night, under low humidity and high wind speed conditions, more evaporation was recorded than during daytime. Maximum evaporation rates observed during this period exceed 1.0 mm/hour under the sunny and windy conditions with low humidity. To understand relationships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latent heat flux at ground level, we suggest intensive held experiments using high accuracy evaporation recording instruments with hourly time interv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Maintenance Mechanism of Ulmus pumila Community at the Dong River, Gangwon-do, South Korea

  • Choung, Heung-Lak;Kim, Chul-Hwan;Yang, Keum-Chul;Chun, Jae-In;Roh, Huan-Chue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5호
    • /
    • pp.255-261
    • /
    • 2003
  • To analyz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lmus pumila community, an on-the-spot survey was conducted in August, 1998 in the Dong River, Gangwon-do, South Korea. The Ulmus pumila community is partially distributed in Dong River's midstream and upper stream.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is community are significant in the point bar or sandbank of the river. The community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disturbed and non-disturbed types, by the effect of flooding. The Ulmus pumila community (bush forests of Siberian elms) is a representative community which forms riparian forests, but its distribution is rare in South Korea. Only in Dong River is the Ulmus pumila distributed enough to form a community, and none is known that is lager than this community in South Korea. The non-disturbance type progresses more homogeneously than the disturbance type because it is formed on riverside banks where it is affected less by flooding. We concluded that the Ulmus pumila community in this study area has characteristics of riparian forests. In South Korea, Ulmus pumila community can be regarded as important element of vegetation landscape constituting riparian forests. Specifically, these riparian forests are evaluated as high in conservation value due to their being formed spontaneously. Moreover, Dong River is regarded as the southern limit of Ulmus pumila, which has a northern origin. The species or community needs continuous interests and conservation countermeasures because there are limitations in its spread of distribution by natural or artificial efforts.

우리나라 도서지역의 토지피복과 변화패턴 분석 (Analysis of Land Cover Composition and Change Patterns in Islands, South Korea)

  • 김재범;이보라;이호상;조낭현;박찬우;이광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0-200
    • /
    • 2022
  • 본 연구는 도서에 대한 휴양과 안보 등 도서산림기능 발굴 및 지속적인 유지보전을 위하여 남한지역도서의 2000년과 2020년의 Globeland30 토지피복자료 분석을 통해 도서지역 토지피복의 구성 및 변화형태를 추적하고 도서산림의 이해를 위한 공간정보를 제공하고자 했다. 각 년도 별 토지피복분포와 격자 기반의 토지피복변화 분석을 수행했고 그 결과, 2000년 대비 2020년에는 농경지와 초지가 각각 7.6%, 1.7% 감소한 반면 산림과 인공지가 각각 5.7%, 3.2% 증가했고 도서산림은 20년 동안 전체 도서면적의 42.2% 인 157,246 ha가 유지되었다. 또한 농경지와 인공지가 존재하지 않는 도서 중 1 ha 이상 초지가 산림으로 변하는 262 개 도서와 산림이 초지로 변하는 421 개 도서를 관측하여 천이와 교란에 대한 잠재적 정보를 갖는 683 개 도서를 확인했다. 인공지의 유입이 확인된 22개 도서에서는 주로 농경지가 인공지로 전환되었다. 해당 도서 면적의 42.2%를 차지하는 산림이 초지로 변하고 27.8%의 농경지와 초지가 산림으로 변했다. 거주환경개선 및 사회기반시설 확충 등 인공지의 유입은 개발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산림 파괴와 조경, 농경지의 개발 및 휴경화 등 주변부까지 토지피복의 변화를 수반하는 경우가 확인되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추후 도서생태연구와 도서산림의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높은 활용도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계방산 가문비나무 임분의 개체군구조와 동태 (Popul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icea jezoensis Stand in Mt. Gyebangsan)

  • 고승연;한심희;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3호
    • /
    • pp.355-364
    • /
    • 2013
  • 본 연구는 계방산 가문비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36개의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여 개체군 구조와 동태를 분석하였다. 가문비나무의 흉고직경급별 개체 분포는 직경 10 cm 미만이 32본(50.0%), 직경 10 cm~30 cm 미만이 20본(31.2%), 직경 30 cm 이상이 11본(18.8%)으로 직경이 커질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역 J자형의 분포 유형을 나타내었다. 가문비나무 유묘 및 치수는 상층임관이 열려있거나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 그루터기(stump)와 같이 유기물 및 수분경쟁이 유리한 장소를 선호하는 경향이었다. 연륜생장을 분석하여 가문비나무 임분 내 교란시점을 추정한 결과 1854년, 1915년, 1918년, 1993년, 2002년 전후로 하여 발생하였으며, 숲 틈 형성목(gap-maker)의 유형은 서서 죽는 경우(standing dead)가 23본(45.1%)으로 가장 많았다.

편백 정유향의 흡입이 주의집중력과 기분상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halation of Wood Essential Oil (Chamaecyparis obtusa) on the Change of Concentration and Mood States)

  • 성현수;고유라;최인화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62-70
    • /
    • 2014
  • The principl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whether the inhalation of Wood Essential oil (Chamaecyparis obtusa) affect not only human beings' concentration for surroundings but also change as to status of feelings. total number of subjects for this experimental are determined to be 66 (men 44 and women 22) among 85 adul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experiment after excluding 19 participants who were not able to smell scent due to flu and nasal inflammation. After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ing measured referring to their status of mood such as concentration, depression, vigor, fatigue, confusion, tension and anger, the experimental group is offered to get a piece of cotton that includes Wood Essential oil and they are asked to inhale it for 5 min.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is offered to wait for the experimental group finishing inhaling wood Essential oil for 5 min. After 5 min, the status of mood from both groups were measured again. simultaneously, I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experimental group to see what their preferences are like regarding scent of wood essential oil.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status of experimental group's concentration is improved about 0.94 point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s. Moreover, Total mood disturbance is lower than control group's. Therefore it is proved that the inhalation of wood Essential oil alleviates overall status of mood. according to the analyses result of favor to scent for wood essential oil from experimental group, some of them who were positive got much better improvement when it comes to concentration and far more relieved on their feelings than those who weren't. Based from this result, it is definitely confirmed that there is a Phytoncide's psychophysiological effect which transcends the Placebo Effect generated by Phytoncide's positive image.

간벌처리에 따른 외생균근균의 군집 변화 (Community Changes of Ectomycorrhizal Fungi by Thinning in a Forest of Korea)

  • 최재욱;이은화;어주경;구창덕;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3-1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간벌 처리에 따른 외생균근균의 군집 구조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간벌지와 비간벌지에서 정량적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간벌에 따른 외생균근균의 종 다양성, 종 수, 외생균근 수, 군집 내 종 구성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간벌지와 비간벌지는 공통적으로 Russula 속이 우점하고 있으나, 간벌 처리 후 산림 토양의 외생균근균 군집의 종 구성이 달라지고 종 수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간벌이 산림 생태계의 지상부 뿐만 아니라 외생균근균과 같은 토양속의 미생물의 군집 구조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Biotic and spatial factors potentially explain the susceptibility of forests to direct hurricane damage

  • Kim, Daehyun;Millington, Andrew C.;Lafon, Charles W.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4호
    • /
    • pp.364-375
    • /
    • 2019
  • Background: Ecologists continue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potentially affect the pattern and magnitude of tree damage during catastrophic windstorms in forests. However, there still is a paucity of research on which trees are more vulnerable to direct damage by winds rather than being knocked down by the fall of another tree. We evaluated this question in a mixed hardwood-softwood forest within the Big Thicket National Preserve (BTNP) of southeast Texas, USA, which was substantially impacted by Hurricane Rita in September 2005. Results: We showed that multiple factors, including tree height, shade-tolerance, height-to-diameter ratio, and neighborhood density (i.e., pre-Rita stem distribution) significantly explained the susceptibility of trees to direct storm damage. We also found that no single factor had pervasive importance over the others and, instead, that all factors were tightly intertwined in a complex way, such that they often complemented each other, and that they contributed simultaneously to the overall susceptibility to and patterns of windstorm damage in the BTNP. Conclusions: Directly damaged trees greatly influence the forest by causing secondary damage to other trees. We propose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damaged (or susceptible) trees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when assessing or predicting the impact of windstorms on a forest ecosystem; to better predict the pathways of community structure reorganization and guide forest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ractices. Forest managers are recommended to adopt a holistic view that considers and combines various components of the forest ecosystem when establishing strategies for mitigating the impact of catastrophic winds.

오대산국립공원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

  • 김창환;오장근;이남숙;최영은;송명준
    • 생태와환경
    • /
    • 제48권1호
    • /
    • pp.61-67
    • /
    • 2015
  • 본 연구의 결과 식생조사용 DB 구축 결과와 식생조사 결과를 반영한 식생도 구축 결과는 활엽수림이 71.965%, 71.184%로 거의 같았으며, 침엽수림(16.010%, 15.747%), 혼효림(10.619%, 12.085%), 암벽식생(0.015%, 0.002%) 분포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식생 상관대분류에서 나타난 식생유형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이 전체의 60.096%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넓은 분포역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산지침엽수림 (16.332%), 산지습성림 (15.887%), 식재림 (3.558%) 순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국립공원내에서 평가된 식생보전등급은 I등급과 II등급 지역이 각각 61.80%, 33.55%로써 전체 면적의 95.35%로써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에 속하는 높은 식생보전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극상림, 특이식생, 아고산대식생 등 I등급 지역의 분포비율이 높은 것은 다양한 기질특성, 높은 고도, 낮은 인위적 교란의 정도, 산의 정상부 능선지역에 형성된 아고산대식생과 기후적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식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월악산에 분포하는 소나무(Pinus densiflora)림에서의 교란체제와 천이 과정 (Disturbance and Regeneration Proces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Worak)

  • 김홍은;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79-85
    • /
    • 2000
  • 월악산에 소재하여 있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소나무림의 숲틈형성과 재생 및 천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월악산 소나무림을 이루고 있는 수종들로는 교목층으로 소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며, 중층으로는 신갈나무, 졸참나무, 쇠물푸레 등의 수종이 우점하고 있다. (2) 소나무림의 숲틈형성요인으로서 고사목의 고사유형은 입목고사형이 가장 많았다. (3) 흉고직경급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은 먼저 굴참나무림으로 바뀌다가 다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소나무 치수는 건조한 지역에서 생성된 숲틈에서만 발견되고 있어 이러한 지역에서만 환경적 극상으로서 소나무림이 유지될 가능성을 조여주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