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al art & design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1초

유튜브에 나타난 화예 디자인 교육 콘텐츠 연구 -화훼장식기능사 교육 콘텐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Floral Design on YouTube)

  • 양동복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93-114
    • /
    • 2019
  • 본 연구는 유튜브에 나타난 화예 디자인 교육 콘텐츠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해보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화훼장식기능사'를 검색어로 최근 1년간 게시된 콘텐츠 129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가 다룬 내용은 실기강의, 이론강의, 시험관련 팁, 직업과 인물소개, 시험과제 작품, 교육안내와 홍보였고 그 중 실기강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형식은 강의, 강의실황, 영상구성, 인터뷰, 브이로그, 텔레비전방송프로그램으로 구분되었으며 강의 형태를 띤 콘텐츠가 가장 많았다. 편성전략 유형으로는 목표 시청층의 관심사에 대한 내용을 주기적으로 업로드하는 허브 유형이 가장 많았다. 이용자들은 실기시험을 다룬 내용의 강의 형태에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콘텐츠의 다양성, 크리에이터와 이용자 간의 양방향 소통, 조화로운 편성전략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내용적 측면에서는 독창적이며 틈새를 공략하는 분야의 개척, 현장을 배경으로 하는 실습내용의 반영, 감성과 흥미가 포함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게임, 퀴즈와 같은 양방향 요소의 도입, VR, AR 등 뉴미디어 기술의 적용을 시도해볼 수 있겠다. 편성전략유형에서도 히어로, 허브, 하우투 세 가지 유형의 상호보완적 채널구성 방안이 제시되었다. 향후 화예 디자인 관련 교육 콘텐츠 수요의 확장이 예상되므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전문적 크리에이터의 육성, 연관 수익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활용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작품에 관한 연구 - 'Interactive Floral Type'을 중심으로 (An Interactive Typography Piece, using Interactive System - Focusing on 'Interactive Floral Type')

  • 김현희;이동호;김현희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31-45
    • /
    • 2015
  • 근래 들어, 인터랙티브한 매체의 활성화로 인해, 사용자의 인풋과 인터랙션을 타이포그래피에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가 발전하고 있다. 기존의 고정(fixed) 되어 있던 매체에서의 타이포그래피 디자인과 달리,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는 인터랙티브 시스템(Interactive system)을 바탕으로, 다양한 디자인 결과물을 즉각적으로 양산해 낸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연구를 통해 작품을 구현했다. 기초 연구 단계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에 대해 고찰해 보면서, 함수의 개념을 빌려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이해하고자 했다. 작품 구현 단계에서는 플래시 액션스크립 (Flash action script)을 이용해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작품 '인터랙티브 프로럴 타입(Interactive Floral Type)'을 디자인하고 구현했고, 사용자의 마우스와 키보드의 인풋에 따라 타입의 크기, 색상, 레이아웃, 모션이 변화함으로써, 타이포그래피의 기본 조형 요소인 '개별 글자'가 '꽃'의 모양으로 실시간 변화하는 실험적 타이포그래피 작품을 구현했다.

자생식물의 국내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 활용 실태 분석 (Analyze the Status of Native Plants in Korea Flower Market and Uses of Floral Decoration)

  • 정유경;김윤진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0호
    • /
    • pp.77-96
    • /
    • 2019
  • 본 연구는 자생식물의 화훼시장 유통 현황 및 화훼 장식에서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훼시장(2017.01-2017.12)에 판매되는 자생식물 및 월별 판매 현황을 조사했다. 또한, 화훼 잡지 'Fleur'와 'The Flower'에 수록된 작품의 자생식물 사용 현황, 형태별 분류에 따른 활용 빈도, 색채 분석을 수행했다. 화훼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절화 172종 가운데 자생식물은 24종(14.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별로는 필러 플라워가 15종으로 다른 형태에 비해 많은 수가 유통되고 있었다. 화훼 잡지 'Fleur'와'The Flower'에 사용된 자생식물은 각각 14종(10.2%)과 17종(9.6%)으로 외래식물에 비해 자생식물의 쓰임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형태별로는 두 잡지 모두 필러 플라워의 수가 가장 많았으나 'Fleur'에서는 폼 플라워(299작품), 'The Flower'에서는 매스 플라워(571작품)가 많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화훼 장식에 사용된 자생식물의 색채 분석 결과 P(보라), PB(남색), RP(자주) 계열이 전체의 57%로 나타났다. 따라서 활용도가 높은 형태인 폼·매스 플라워와 사람들의 선호가 높은 색상의 자생식물을 개발한다면 선호 및 소비 증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세기말 유행경향으로 나타난 아르누보 패션 (The Art Nouveau Fashion in Modern Fashioni Trend)

  • 최유진;유영선
    • 복식
    • /
    • 제50권2호
    • /
    • pp.167-18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rt nouveau fashion represented in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are naturalism, medievalism , exoticism, and decadentism. The influences of art nouveau were seen in the fashion of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S-curve silhouette and organic curve motives printed on hems. Art nouveau has reappeared in modern fashion trends such as romanticism , decadence, ecology, ethno, and fusion. To sum up, art nouveau fashion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is classified into four shapes. First, art nouveau appears in naturalism. Influenced by the arts and crafts movements and naturalistic trend, it has reappeared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in themes like 'art & craft'. This expression technique is to objectively nature and to represented art nouveau textiles. Second, S-curve silhouette appeared at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s fashion with the art nouveau influenced rejection of the bustle style.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the design , emphasizing the hip, is represented in fashion collections as a phenomenon of romanticism . Especially the art nouveau silhouette of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does not represent S-curve silhouette. But , it emphasizes the hip only. Third, Art nouveau exoticism by symbolism is influenced by Chinese and Celtic art, the Middle Ages, and the exoticism that appeared in fashion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 harem style, kimono style, and turbans. Exoticism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is expressed by optical flower prints and successive floral print arrangements as seen in the themes of ethno and fusion. Fourth,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decadence is influenced by the pre-raphaelite brotherhood. This is expressed in the images of vampires, and symbolism expressing grotesque insect motives and decadent successive curves. At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decadence is represented in fashion ; grotesque insect motives, tatto looks of organic curve motives celtic hair style, see-through fashion, grotesque make-up . Besides hair style techniques, decadent expressions applying art nouveau paintings also appeared. Finally , art nouveau fashion represented as a fashion trend at the turning point to the new millennium is one of great significance as an organic, an environment-intimate and continuance-possible design in a future.

  • PDF

상업공간 플라워 디스플레이의 계절별 색채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asonal Color Image of Flower Display in Commercial Spaces)

  • 양희선;왕경희;김정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3호
    • /
    • pp.3-17
    • /
    • 2020
  • 국내외 대표적 상업공간인 백화점과 호텔, 판매장의 플라워 소재를 사용한 계절별 디스플레이 사례의 색채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플라워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재의 출시 계절, 형태, 질감에 의존하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계절에 적합한 배색과 감성형용사를 적용한 색채계획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배색을 적용하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수집한 48개의 국내외 상업공간 플라워 디스플레이 사례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1차 전문가 설문을 통해 사례에서 연상되는 형용사 추출 및 계절감 좌표를 수집한 뒤 2차 일반인 설문으로 추출한 감성형용사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대표적인 색상, 톤을 추출하였고 계절별 감성형용사 언어도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플라워 소재의 형태나 질감에만 의존하여 진행되던 플라워 디스플레이에서 색채계획이 선(先) 진행되어야 목적한 감성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 전통 화훼장식의 디자인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 표현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sign Analysis of Traditional Flower Desig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Focused on Expression Technique)

  • 이경숙;오욱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5호
    • /
    • pp.13-29
    • /
    • 2021
  •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의 기술 체계는 과거로부터 현대로 그 맥이 이어졌을 것이라는 인식 아래,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화훼장식에서 디자인 형태의 유형을 추출하여 표현기법을 분석하고 현대의 전통 화훼장식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화훼장식 작품들은 대부분 중앙 출발점에 1개 초점(1점 출발)을 주로 표현하였다. 중심가지선은 주로 1개 사용하였고, 밑받침 소재로는 주로 절엽을 사용하였다. 현대 화훼장식에서도 1개의 중앙 출발점, 잎 소재의 밑받침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조선시대와 흡사하다. 표현기법별 사용 빈도를 보면, 줄기를 그대로 노출시킨 줄기 노출 기법의 빈도가 가장 많았고, 모든 기법에서 절화와 절지가 비슷한 빈도로 사용되었다. 사용된 식물성 소재로는 꽃을 이용하는 절화와 선의 표현할 수 있는 절지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 외에 깃털, 부채, 붓 등의 비식물성 소재도 장식에 이용되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전통 화훼장식은 표현기법 측면에서 이미 조선시대에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높은 수준의 화훼장식품이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우리 화훼장식의 역사를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고 역사적 전통을 살려가면서 현대의 화훼장식을 발전시켜 나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소나무(松)의 화예적(華藝的) 고찰(考察) -송(松)의 문인화(文人花)를 중심(中心)으로- (Flower Arrangement Study of Pine : Focusing on Pine Gracious Flower)

  • 김정민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63-96
    • /
    • 2020
  • 인간이 자연의 식물과 교감하는 화예는 역사적인 배경과 민족성에 따라 특징을 가지며 인간의 영감과 조형 능력으로 서로 다른 양상의 문화가 탄생 되었다. 한국의 화예는 사계절기후의 자연 속에서 발생한, 문명의 소산으로 자연합일사상(自然合一思想)에서 출발하여 우리민족의 심성에 흐르고 있는 자연주의적 본질의 삶과 철학을 시대의 문화에 맞게 자연식물(草木)로서 그 여유로운 미를 덕(德), 지(志), 기(氣)로 배양되어 빚어내었다. 문인화(文人花)는 역사적 전통인 동양철학의 바탕에 계승되어온 정신 이념이 고격의 인품과 시정성{詩情性)을 바탕으로 "외양(外樣)"보다는 식물이 지닌 특성과 취향을 기교의 표출됨이 없이 철리(哲理)의 미학적 함축성을 빚어낸 조형예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신문화의 화예 근간이 문인화(文人花)임을 규명하기 위하여 소나무(松)를 중심으로 문인화의 배경과 근원, 시정성, 상징성, 우의성, 그리고 문인화 작품에서 표현되는 화예의 조형성과, 화예 유전자 해독으로 미학적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문헌의 기록을 도출하여 연대별로 정리 고찰하고, 한국화예의 정수(精髓)인 문인화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사찰의 꽃살문을 응용(應用)한 목제품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Wooden Products Design Applying Traditional Floral Pattern in Korea Buddhist Temple)

  • 이종수;김정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00-407
    • /
    • 2013
  • 21C modern society is a time when enough design to dominate the world, a unique design is required new in all aspects. In addition, there is a religion to the best of Zen art. In our cultural heritage with a ethnicity unique unparalleled in the world, and a new recogni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of its own in our country, lattice door flower temple the beauty of Korea in the way you tell, it was modernized by interpreting a new one to utilize as a design element of a wood lattice door flower temple. In this study, to re-appear in openwork having regard to the symbolism of pattern and shape of the lattice door flower temple molding properties were highlighted, change the part of the motif, repeated the curve geometric has been designed to simplify a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 design element that can design a traditional Korean is reinterpreted Modern thereby simplify the repetitive element of the related art, for a new aesthetic changes unique. Design Development of wood with a Buddhist temple flower lattice modern re-interpretation, it suits while a strong indication Korea imagery and expressed a variety of needs and personality to the design elements that are competitive in the world the cage, and design of wood, various studies competitive on to be applied to each field is required.

  • PDF

카네이션 'White Liberty'의 염색화에 따른 인공염료가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Dyes on Vase Life in Cut Dianthus Caryophyllus 'White Liberty' Dyed Flower)

  • 정재간;구본순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23-35
    • /
    • 2020
  • 스탠다드형 카네이션은 매스플라워로써 플라워디자인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화색이 다양하지 못해 이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용에 한계가 있는 스탠다드형 카네이션을 사용하여 최적 염색 상태의 처리 조건을 찾고 더 나아가 염색 카네이션의 화훼장식에서 활용도를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스탠다드형 카네이션 'White Liberty'를 이용하여 6가지 염료별로 4가지 화합물 처리에 따른 염색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염료 6가지 색[black(2012), lavender(2200), lime Green(2315), light blue(2386), christmas red(2506), yellow(2375) (Robert Koch Industries INC, USA)]과 4가지 화합물 처리(증류수, 4% 에탄올, 3% 설탕, 100mg·L-1 구연산)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6가지 염료 모두 3% 설탕과 100mg·L-1 구연산 처리가 빠른 염색과 염색정도에 우수한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절화수명은 black과 lavender 염료를 제외한 나머지 염료에서 대조구(7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국내 플라워샵 판매현황에 관한 연구 -품목별 판매율이 높은 화훼상품과 성수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ales Status for Flower Shop in Domestic : Emphasis on Peak Season and Flower Products with High Rate Sales by Items)

  • 설가애;윤숙영;최병진;장현희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145-156
    • /
    • 2020
  • 본 연구는 플라워샵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품목별 판매량이 많은 화훼상품과 성수기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국가기술자격 화훼장식기능사 및 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화훼장식 기사협회 회원이며 꽃집을 운영하는 자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화훼상품 판매 성수기는 5월(52.0%)과 2월(24.3%)이 1, 2위로 나타났고 선정이유는 5월은 가정의 달, 스승의 날 등 2월은 인사이동, 졸업식 등이었다. 분류별 판매량이 많은 화훼상품을 조사한 결과 절화는 연간, 성수기 모두 꽃다발(51.5%%, 40.3%)과 꽃바구니(28.8%, 37.5%)가 1, 2위로 나타났고, 연간 판매량 조사에서는 6위였던(1.8%) 코사지가 성수기에는 3위(8.0%)로 판매량이 증가하였다. 분화는 연간, 성수기 모두 관엽식물(50.6%, 51.3%)과 서양란·동양란(27.4%, 28.3%)이 1, 2위로 나타났고, 연간 판매량 조사에서는 응답이 없었던 숯부작과 분재가 성수기에 각 0.7%와 2.6%로 판매량이 증가하였다. 가공화는 연간, 성수기 모두 동일하게 건조화(45.3%, 39.5%), 프리저브드 플라워(27.7%, 37.2%)가 1, 2위로 나타났고, 뒤이어, 인조화, 압화, 콜라주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