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er Arrangement Study of Pine : Focusing on Pine Gracious Flower

소나무(松)의 화예적(華藝的) 고찰(考察) -송(松)의 문인화(文人花)를 중심(中心)으로-

  • Received : 2020.01.07
  • Accepted : 2020.02.13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e flower arrangement that human beings interact with the natural plants ha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historical background and ethnicity and different aspects of culture related of the flower arrangements have been created by human inspiration and formative ability. The Korean flower arrangement is a product of civilization which originated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four seasons. As background with the natural unity ideology, the Korean Flower Arrangement makes the life and philosophy of the naturalistic nature that flows in the mind of our nation to the relaxing beauty suited on cultures of ages by the Virtue, the Will, and the Vitality. The Literary Flower Arrangement is, based on the higher human personality and poetic sentiments as ideologies of our traditional oriental philosophy, the formative art made for aesthetic implications of philosophy by consisting plants' characters and tastes without expression of technical skills. In this study, focused on pine tree, in order to clarify that the flower arrangement of our spiritual culture is the Literary Flower Arrangement, make Identify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through, the backgrounds and sources of being expressed by the Literary Flower Arrangement, poetic feelings, symbolism, metaphor, the formative form of flower arrangement, decoding of the flower arrangement genes, and the same time deduce the record of literary work and classify it each era, and establish the Literary Flower Arrangement theory which is the essence of Korean flower arrangement.

인간이 자연의 식물과 교감하는 화예는 역사적인 배경과 민족성에 따라 특징을 가지며 인간의 영감과 조형 능력으로 서로 다른 양상의 문화가 탄생 되었다. 한국의 화예는 사계절기후의 자연 속에서 발생한, 문명의 소산으로 자연합일사상(自然合一思想)에서 출발하여 우리민족의 심성에 흐르고 있는 자연주의적 본질의 삶과 철학을 시대의 문화에 맞게 자연식물(草木)로서 그 여유로운 미를 덕(德), 지(志), 기(氣)로 배양되어 빚어내었다. 문인화(文人花)는 역사적 전통인 동양철학의 바탕에 계승되어온 정신 이념이 고격의 인품과 시정성{詩情性)을 바탕으로 "외양(外樣)"보다는 식물이 지닌 특성과 취향을 기교의 표출됨이 없이 철리(哲理)의 미학적 함축성을 빚어낸 조형예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신문화의 화예 근간이 문인화(文人花)임을 규명하기 위하여 소나무(松)를 중심으로 문인화의 배경과 근원, 시정성, 상징성, 우의성, 그리고 문인화 작품에서 표현되는 화예의 조형성과, 화예 유전자 해독으로 미학적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문헌의 기록을 도출하여 연대별로 정리 고찰하고, 한국화예의 정수(精髓)인 문인화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안, 「양화소록」 이병훈 역, 을유문고, 1994.
  2. 고하수, 「한국의 꽃예술사」 하수출판사, 1994
  3. 공 자, 김형찬 옮김, 「논어」 홍익출판사, 2009.
  4. 김부식, 「삼국사기」 上.下, 한국사사료연구소편, 1996.
  5. 김정희, 신호열 역, 「국원완당집 II」,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8.
  6. 김종태, 「동양회화사상」 일지사, 1990.
  7. 서 긍, 차주환 조규환 역, 「선화봉사고려도경」 민족문화추진회, 1977.
  8. 서희건, 「박물관 대학」 조선일보사, 1985.
  9. 손인식, 「문인화의 현대적 패러다임」 동인서원, 2000.
  10. 안휘준, 「한국회화의 이해」 시공사, 2000.
  11. 오주석, 「옛그림 읽기의 즐거움」 솔 출판사, 2003.
  12. 유 박, 「화암수록강희안, 양화소록」 을유문고, 1969.
  13. 유홍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9 서울편1」 창작과 비평사, 2017.
  14.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①」 (주)도서출판 넥서스, 1999.
  15.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②」 (주)도서출판 넥서스, 1999,
  16.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③」 (주)도서출판 넥서스. 1999.
  17. 이상희, 「매화」 넥서스 BOOKS, 2002.
  18. 이어령, 「대나무」 도서출판종이나라(주), 2006.
  19. 이어령, 「소나무」 도서출판종이나라(주), 2006.
  20. 일 연, 「삼국유사」 1281, 이민수 옮김, 을유문화사, 2001.
  21. 임화공, 「華藝II」 日本 主婦 の 友社, 1984.
  22. 임화공, 「華藝III」 日本 主婦 の 友社, 1990.
  23. 임화공 편저, 「華藝百人輯」 日本 主婦 の 友社, 1983.
  24. 임화공 편저, 「華藝百人輯IV」 日本 主婦 の 友社, 1996.
  25. 임화공 편저, 「華藝百人輯V」 日本 主婦 の 友社, 2003.
  26. 임경빈, 「나무백과」 일지사, 1994.
  27. 임경빈, 「나무백과(3)」 일지사, 1999.
  28. 정동주, 「소나무」 기획출판, 2000.
  29. 정병모, 「민화는 민화다」 에스앤아이팩토리, 2018.
  30. 정양모, 「소나무」 이어령 편찬, 도서출판종이나라(주), 2006.
  31. 조용진, 「동양화 읽는 법」 집문당, 1998.
  32. 주희, 역해 이동각 「신택사서 I 大學.中庸」 현암사, 1967.
  33. 한국화예디자인학회, 「花音」 2008, p.22.
  34. 허균, 「성소부부고 IV」 민족문화추진위원회, 1989.
  35. 허충순, 「한국의 다석화」 시선, 2003
  36. 김경자, 「문인화의 예술 철학적 연구」 성균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37. 김정민, 「오군자식물을 소재로 한 문인화 연구」 서울여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8. 김정민, 「호문목의 화예적 고찰」 한국꽃꽂이 학술세미나VII, 강서문화원, 2018.
  39. 김태수, 「사군자 공간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40. 김현경, 「한국 사군자의 사상적배경과 그 역사적 고찰」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41. 서승미, 양숙희, 「현대예술의상에 표현된 조형성의 텍스트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005
  42. 성선문, 「문인화정신과 조선문인화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43. 문학비평용어사전, 지식백과, 네이버, www.naver.com
  44. 박기주,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pkschina505
  45. 윤정국 기자, 동아닷컴, www.donga.com
  46. 조상윤, www.ihalla.com, 2014, 06.16.
  47. 통일한국 12월호, 평화문제연구소, http://unikorea21.com
  48. 후유(harbeth1), 황룡사터,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harbeth1
  49. 허윤희, http://news.chosun.com 2017. 02. 21.
  50. Agalma,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durep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