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ales Status for Flower Shop in Domestic : Emphasis on Peak Season and Flower Products with High Rate Sales by Items

국내 플라워샵 판매현황에 관한 연구 -품목별 판매율이 높은 화훼상품과 성수기를 중심으로-

  • 설가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 윤숙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 최병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 장현희 (세인플라워)
  • Received : 2020.01.29
  • Accepted : 2020.02.07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atus survey on flower products with high sales by item and peak season. The survey was implemented for 103 people who are running flower shop and are members of association for Engineer Floral Design who are acquired Craftsman Floral Design and Engineer Floral De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eak season for the sale of flower product is showed May (52.0%) and February (24.3%).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was in May, month of family, teacher's day, etc. in February, personnel transfer and graduation ceremony. As a result of researching flower products with high sales volume by category, Cut flowers were ranked the first place of bouquet (51.5%%, 40.3%) and the second place of basket (28.8%, 37.5%) on annual and peak season. And also, Corsage, which was 6th (1.8%) in the annual sales volume survey, increased to 3rd (8.0%) during peak season. Pot plants were ranked 1st of foliage plant (50.6%, 51.3%) and 2nd tropical orchid·oriental orchids (27.4%, 28.3%) on annual and peak season. And also, Charcoal and bonsai, which were unresponsive in the annual sales survey, increased sales volume to 0.7% and 2.6%, respectively, during peak season. Processed flowers were highest ranked dry flower (45.3%, 39.5%), preserved flower (27.7%, 37.2%) on both non peak season and peak season. And then followed by artificial flower, pressed flower and collage.

본 연구는 플라워샵에서 판매되는 상품들의 품목별 판매량이 많은 화훼상품과 성수기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국가기술자격 화훼장식기능사 및 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화훼장식 기사협회 회원이며 꽃집을 운영하는 자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화훼상품 판매 성수기는 5월(52.0%)과 2월(24.3%)이 1, 2위로 나타났고 선정이유는 5월은 가정의 달, 스승의 날 등 2월은 인사이동, 졸업식 등이었다. 분류별 판매량이 많은 화훼상품을 조사한 결과 절화는 연간, 성수기 모두 꽃다발(51.5%%, 40.3%)과 꽃바구니(28.8%, 37.5%)가 1, 2위로 나타났고, 연간 판매량 조사에서는 6위였던(1.8%) 코사지가 성수기에는 3위(8.0%)로 판매량이 증가하였다. 분화는 연간, 성수기 모두 관엽식물(50.6%, 51.3%)과 서양란·동양란(27.4%, 28.3%)이 1, 2위로 나타났고, 연간 판매량 조사에서는 응답이 없었던 숯부작과 분재가 성수기에 각 0.7%와 2.6%로 판매량이 증가하였다. 가공화는 연간, 성수기 모두 동일하게 건조화(45.3%, 39.5%), 프리저브드 플라워(27.7%, 37.2%)가 1, 2위로 나타났고, 뒤이어, 인조화, 압화, 콜라주 순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다솜, 박경남, 박남숙, 제의숙, 「여대생들의 절화 선호도 조사; 서울 성북구 중심으로」, 「인간식물환경학회 학술대회」, 2017(6), 2017.
  2. 김민서, 김정음, 김유선, 「Floral design을 중심으로 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색채분석」,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2018(5), 2018.
  3. 김은주, 「절화(折花)상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분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논문, 2018.
  4. 박기환, 허성윤, 이동소, 「소비안정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화훼산업 발전 전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5. 박미옥, 왕경희, 이정화, 김준연, 신동욱, 전수정, 「화훼장식 상품 제작 판매 유통(NCS 교육지도서 3)」, 「문운당」, 2015.
  6. 이지민, 김정민, 박천호, 왕경희, 「국내 백화점 로비 화훼장식의 계절별 색채분석」,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37(37), 2017.
  7. 장혜숙, 김광진, 유은하, 정현환, 「회의공간내 절화장식 색채에 대한 사용자의 심리적 효과」, 「인간식물환경학회지」, 19(3), 2016.
  8. 최은영, 「선물용 화훼류 구매와 판매 경향:서울지역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9. 허북구, 「돈잘버는 플라워샵 만들기」, 서원, 1999.
  10. 허북구, 박윤점, 윤재길, 박상현, 「꽃집 및 꽃 전문 온라인 쇼핑몰의 품목별 매출 실태조사」, 「화훼연구」, 10(2), 2002.
  11. 허북구, 채수천, 손기철, 「화훼유통과 플라워샵 비지니스」, 중앙생활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