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ipped-learning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8초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in Middle School Science Course)

  • 이정민;노지예;정연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63-272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과학성취, 과학흥미, 내재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남자 중학교 1학년 학생 9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플립러닝 수업(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통제집단)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으로 적용한 집단의 과학성취, 과학흥미의 평균이 강의식 수업집단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두 집단의 내재학습동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과학교육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플립러닝을 활용한 건강사정 및 실습 교육 효과 (Effect of Flipped Learning Education in Physical Examination and Practicum)

  • 조미경;김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81-9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교육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플립러닝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핵심역량을 파악하고, 플립러닝을 적용한 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만족도, 학습동기를 파악하여, 플립러닝 적용 후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일군 전후 비교 연구로 대상자는 경기도 S시 일개 간호대학에서 플립러닝을 활용하여 건강사정 및 실습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은 6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 사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각 변수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인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는 사전 사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핵심역량은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플립러닝교육 후 학습동기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0.33, p=.006), 대학생 핵심역량(r=0.51, p<.001), 교수-학생 상호작용(r=0.72, p<.001), 학습만족도(r=0.79,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모든 다른 변수들 간에도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었으며, 이 2개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형의 학습동기에 대한 설명력은 71.3% (F=80.66, p<.001)였다. 따라서 플립러닝 교육을 적용하였을 때 학습동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습만족도를 증진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 전략의 마련이 필요하겠다.

데이터베이스 교과목에서 플립러닝 적용 사례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Database Course)

  • 김은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47-856
    • /
    • 2016
  • 플립러닝은 교과목의 대표적인 요소인 강의와 과제의 순서를 뒤집은 교수법 모델로서, 학생들은 강의실 수업 전에 집에서 짧은 동영상 강의나 이러닝 콘텐츠 등을 미리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주로 토론이나 연습문제 또는 팀 프로젝트 등의 다양한 능동적인 학습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최근 플립러닝이 융합적 역량을 기반으로 창의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21세기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공학부의 전공 선택 교과목인 데이터베이스 수업에서 3개 학기에 걸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경험을 바탕으로, 세부적으로 7단계로 구성된 플립러닝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플립러닝의 효과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플립러닝 적용을 위한 몇 가지 사항을 제안하였다.

국내 플립러닝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n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Korea)

  • 조보람;이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59-7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국내 플립러닝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도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플립러닝 효과성에 관한 연구들을 수집하였고, 총 95편이며 이 중 학위 논문은 59편, 학술 논문은 36편이다. CM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러닝의 학습 효과가 .58로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습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정의적, 대인관계 영역의 효과크기 분석 결과, 세 영역 모두에서 플립러닝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대인관계 영역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의 학습 효과는 출판유형, 학교유형, 중심교과에 영향을 받으며 출판유형이 학위 논문일 때, 학교유형이 고등학교일 때, 높은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플립러닝 수업설계 및 실행에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비대면 플립러닝의 효과에 대한 탐색 연구: 학습자 경험 및 인지된 학습성과 분석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Flipped Learning: Focusing Learner's Experience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 박지원;박민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83-292
    • /
    • 2021
  • COVID-19로 인해 대학도 비대면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플립러닝 적용하고 있는 수업의 경우에도 비대면 체제로 전환하여 운영이 되고 있으나, 새로운 형태의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 방식에 대한 사례 및 효과에 대한 탐색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플립러닝 교수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FGI 및 설문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경험을 분석하고 교과목 목표 달성 수준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은 대체로 비대면 플립러닝 수업방식에서 퀴즈, 팀활동, 그리고 교수자의 질의응답 및 피드백 등 상호작용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를 하였으며, 사전-사후 학습 달성 정도의 변화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플립러닝 교수법에서 사전학습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응용열역학 교과목 적용 사례) (Effects of Pre-learning Attitude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 Methodology (A Case of Applied Thermodynamics))

  • 유경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51-61
    • /
    • 2023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re-learning attitude on learning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analyzed when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ology to engineering subject education. The modified PARTN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applied, and pre-class survey, assessment on learning in pre-class, and post-class survey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24 students who took the applied thermodynamics lecture. They were asked to take the course with the videos provided in the pre-class stage, and a pre-learning assess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omplet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relatively excellent learning ability had excellent pre-learning evaluation results and excellent final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lower the pre-learning completion rate within the pre-learning period or the higher the learning rate using mobile devices, the more difficult it was to faithfully complete pre-learning, leading to poor pre-learning evaluation results. Meanwhile, the survey revealed that conducting pre-learning assessments were helpful in encouraging individual learning. In addition, cases reflecting pre-learning evaluation results to course grades showed higher pre-learning evaluation results than cases not reflecting pre-learning evaluation results to course grades, and in flipped learning classes, pre-learning evaluations act as a factor that promotes pre-class learning.

The influence of internet-use Anatomy clas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Flipped learning method applying-

  • Kim, Jung-ae;Kim, Su-min;Yang, Dong-hw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2호
    • /
    • pp.60-6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net-use Anatomy class, as one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clas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April 10, 2018.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180 people in the first year of a University located in C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method application.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28.3% of men and 71.1% of women and before applying the program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fidence(sub-component of critical thinking) only (p<.005). Comparing the scores of critical think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ruth seeking (p<.001), Open-mindness (p<.005), Confidence (p<.001), Systematicity (p<.005), Analyticity (p<.001), and Inquisitiveness (p<.001) score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except Maturity (p>.005). And the regression analysis of Flipped learning method applying influ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at Flipped learning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플립러닝 적용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s)

  • 김희영;김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5-27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nd implement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examine the effec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7 students who were taking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at D university in N city. The study included processes of instructional design, action/effects and reflec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with the SPSS/WIN 23.0. Results: In the instructional design stage, the class consisted of 3 parts: outside class (pre-learning), inside class (assessment, collaborative practice, peer review, reflection), after-class (self-directed practice, feedback). In the action/effects stage, th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for 15 week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then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were evalua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3.56,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fter the class (t=-3.72, p<.001). Finally, in the reflection stage, the researchers examined whether the four pillars of flipped learning occurred.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flipped learning applied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s effective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action research method was a useful way to foster professor's educational competency as well as to verify effects of a new nursing education method.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New trend of dental education: flipped learning for dental classes using Google classroom platform)

  • 공준형;문호진;박정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17-327
    • /
    • 2016
  •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포함한 둘 이상의 상이한 학습 환경을 혼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테크닉으로써, 최근 등장한 'Google classroom' 서비스는 플립드 러닝에 최적화된 토탈 솔루션이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D 치과대학 치의학과 본과 2학년 학생들 70명에게 구글 클래스룸 플랫폼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을 적용 후 학생들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치주과학 개론 및 치과보존학 아말감 수복학 두 과목을 선정하여 6회의 강의 중 3회는 전통적 수업방식으로, 나머지 3회는 구글 클래스룸을 포맷으로 한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강의가 모두 완료된 후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대학 수업에의 플립드 러닝 적용은 이해도,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 동기면에서 높은 효율 및 만족도를 보였고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은 치과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플랫폼임을 알 수 있었다.

플립러닝 학습법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 동기,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Method on a colleg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 정효경;이승희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1-177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that Flipped Learning Method has on a colleg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determine its effectiveness as a new pedagogical approach.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dental technology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frequency, t-test. To test for significance on each item, p<0.05 has been decided as a standar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udent who attended a class that utilized Flipped Learning Method was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a student who attended a class that did not utilize such a method.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instruction, it may be necessary that Flipped Learning Method be adopted more widely and recommended more strongly. Such changes will promote a long term improvement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play a major role in strengthening students' 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