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xible working tim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4초

유연근무제도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패널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The effect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married working women: A longitudinal analysis)

  • 한영선;정영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4호
    • /
    • pp.1-26
    • /
    • 2014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three type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part-time, flexitime, and reduced working hours for childcare) available in Korea on work-family conflict, facilitation, and job satisfaction for married working women ages 15-49. The study employs a panel analysis based on the first to the fourth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ailability of part-time jobs and reduced working hours to facilitate childcar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for married women. If a married woman is employed in a part-time position or if reduced working hours for childcare are available, the conflict within the family caused by the job is reduced. Second, none of the three types of flexible work arrangement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work-family facilitation for married women. Third, the availability of reduced working hours for childca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married women. In conclusion, flexible working hours for women who are raising children are the main factor in reducing the negative effect of a job on a woman's family life as they contribute to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유연근무가 조직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 (M사 시차출퇴근 제도 도입 사례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positive impact of flexible work on organization and job performance (The case of introduction of M company time difference commuting system))

  • 이희;이만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3-260
    • /
    • 2017
  • Due to dramatic changes in the trend of corporate management in economics, labor and government, companies are being asked to adapt creative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order to keep sustainability. Under the circumstances, flexible working hour becomes one of very effective method for organization culture improvement. Recently, M company has introduced the new policy of working hours that employees can choose a couple of different time options depending on their personal situations. And it turns out to be very effective to work & life balance, increasing organizational vitality, improving efficiency of business and productivity, recruitment of core human resources, and prevention of deviation; both team and personal performance levels has significantly improved.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dapt flexible working policies for companies seeking for a long term, sustainable corporate vision.

스마트워크의 기대효과 영향요인과 직급/직무 간 수용태도 차이 간 탐색연구 (An Exploratoy Study on Influence Factors for Expectation Effect of Smart Work and the Attitude Difference between Positions and Job Types)

  • 박기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5권4호
    • /
    • pp.23-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mpirically whether the expected effects of smart work in organizations were different between job types and position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demanding innovation of working style within the enterprise. There is a tendency to prefer the face-to-face working style in traditional organizations in the case of some positions or job types. However, many companies are carrying out smart work such as teleworking or telecommuting, flexible working time. But many companies still stick to their existing working methods. There is als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ccepting attitudes toward smart work and expectation effects,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the job types, even within the sam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research,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roductivity were teleworking and increasing work efficiency. The national social cost savings were influenced by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flexible working hours. In order to activate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work efficiency. Only flexible working hours between the general manager and subordina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실내 위치 추적 기법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Indoor Localization Techniques)

  • 서동인;안다예;하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0호
    • /
    • pp.2068-2079
    • /
    • 2015
  • 최근 유연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일부 중앙부처와 대기업 등에서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유연근무제의 도입으로 근무자는 편의를 얻을 수 있게 되었으나, 관리자가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관리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관리하는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스마트폰과 Wi-Fi 지문을 통한 실내 위치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근무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근무자가 지정된 근무지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을 근무시간으로 기록한다. 기존의 근태관리 시스템은 대부분 출퇴근 기록 장치가 필요하며, 근무자의 출퇴근 처리를 통해 출퇴근 시간을 기록한다. 본 시스템은 출퇴근 기록 장치가 필요 없고 근무자가 출퇴근을 처리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근무시간을 기록한다. 그리고 기존의 근태관리 시스템은 출퇴근 시간만 기록하였지만 본 시스템은 출퇴근 시간과 근무자가 지정된 근무지에서 근무한 시간을 기록한다. 본 시스템이 기록한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이용하여 근무자의 다양한 근무형태에 따라 효율적인 근태관리를 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본 시스템이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파악하여 평균 98.7%의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A Study on a Robust Motion Control of Flexible Manipulator with Five Joint for Untact Working in Filed Work-site

  • Kim, Hee-Jin;Kim, Seong-Il;Jang, Gi-Won;Han, Sung-Hyun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2_1호
    • /
    • pp.161-168
    • /
    • 2022
  • This study proposed a new approach to impliment a robusut control of comsumer-friendly flexible manipulator with five joint for untact working in filed work-site. The output redefinition approach was used to overcome the non minimum phase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The new output is defined so that the zero dynamics related to this output are stable. The control strategy is based on an computed torque method which is applicable to a class of time-invariamt phase linear systems whose uncertainties appear in output loop stable. The controller is composed of a stabilizing joint controller and an output redefinition tracking controller. Experimental results are also presen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 scheme.

유연근로시간제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 권용만;서의석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2호
    • /
    • pp.97-108
    • /
    • 2021
  • 근로계약은 형식상으로는 노동력상품과 임금의 교환관계로서 나타나지만, 단순한 물물교환의 차원을 초월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제학적으로 노동력상품과 화폐의 교환관계로서 '매매'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고 '임대차'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품교환관계를 법적인 측면에서 보면, 노동력과 임금의 교환관계를 합법적으로 지지하고 그것에 구속력을 부여하여 강제화하는 법적인 장치가 계약이다. 이러한 근로계약은 임금을 수령하고, 임금의 수령의 반대급부로 일정한 시간을 사용자의 지휘·감독하에 두는 관계를 가져오게 하였다. 근로시간은 자신의 노동력을 사용자의 처분권하에 둔 종속시간이기 때문에 장시간의 근로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가치를 침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음으로 그 규제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근로시간의 단축은 인간의 생체적 한계를 설정하고, 확대 재생산을 할 수 있도록 생산적 측면에서 근로자의 문화에 대한 향유와 인간으로서 삶의 질을 확보하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단축이 필요하지만, 사용자의 기업 경영상의 노동력 확보와 생산 활동 및 자본주의 국가에서 추구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 둘의 양립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근로시간은 개인에게서의 시간과 사회전체에서의 시간으로 볼 수 있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장시간 근로는 개인에게서의 시간은 줄어들게 되어 개인적 차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사회전체적인 차원에서 생산 활동에 투입시간의 증대로 인한 생산물의 증가는 사회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근로시간은 이러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의 균형을 찾아간다는 측면에서 근로시간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로시간의 규제방법이 근로시간의 시작과 근로시간의 종료에 대한 것으로 근로시간의 총량을 규제하는 것이었다면, 근로시간의 유연화, 탄력화는 근로시간의 총량을 1주 최대 52시간의 범위 내에서 범위를 한정하면서 기업의 새로운 업무의 출현에 따라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배분하고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로시간의 질적인 규제방식이다. 이에 따라 근로시간은 단축하되 기업의 상황에 따른 유연근로시간제를 확대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6개월로 제한되어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운용의 폭의 유연화와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합의에 의한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 근로시간에 대한 처리,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새로운 근로형태에 출현에 따른 재량근로시간의 대상 업무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사의 시간선택제 근무에 대한 인식과 근무방안 (Nurses' Perception of Flexible Working and Its Operational Guideline)

  • 김미영;김은정;최수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664-6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시간선택제 근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활성화를 위한 합리적인 근무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자료는 무작위 할당표출법을 이용하여 전국의 53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5년 2월 10일부터 24일 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시간선택제 근무 중 단축시간제에 대한 필요성($M=3.89{\pm}0.87$)과 지원 의향(46.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야간전담제, 휴일전담제, 2교대제 순이었다. 지원 선택의 이유로는 교대근무의 힘든 업무와 육아 병행의 어려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선택제 근무시행에 따른 긍정적인 영향으로는 자기계발 활동이나 여가활동의 증가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육아와 일-가정 양립이 가능한 점이었으며,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비정규직으로 채용될 우려와 급여가 감소할 것이라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시간선택제 근무를 시행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시간선택제 근무 유형에 따른 보상과 근무조건에 대한 표준화된 운영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추후에 시간선택제 간호사의 균등한 근무조건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주휴무제에 따른 기혼남녀의 주말 생활시간구조와 여가시간 (The Effects of Working Days of Married Men and Women on Their Time Use on The weekend)

  • 이종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4호
    • /
    • pp.165-17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working days of married working men and women on their time use on the weekend. The data colle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1999 was used. Among the total sample of 17,000 families, 7580 samples who are married, employed, and more than 20 yews old a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has resulted in two major findings. (1)the working days affect on the time use on the weekend. The pattern is somewhat different by sex. The women spend more time in leisure and houseworks on the weekend as the working days decrease. However, the men do not spend more time on doing houseworks as the working days decrease. The time spent on leisure and physiologic time is increased both men and women as the change of workweek from the biweekly five-day to the weekly five-day: (2)if the five-day workweek and more flexible hours are introduced, they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workers. This fact shows positive view at the last stage of legislation of the five-day workweek .

FMC에서의 일정계획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Scheduling System for Flexible Manufacturing Cells)

  • 신대혁;이상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7권32호
    • /
    • pp.63-71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 effective cell scheduling system for flexible manufacturing cells. Based on the FMC characteristics, cell scheduling can be defined as a dynamic modified flow shop working in a real-time system. This paper attempt to find the optimal cell scheduling when minimizing the mean flow time for n-job/m-machine problems in static and dynamic environments. Real-time scheduling in an FMC environment requires rapid computation of the schedule.

  • PDF

MMA 개질 폴리머 모르타르의 굳기전 성질 (Flexible Properties of MMA Modified Polymer Mortar)

  • 연규석;김동준;권윤환;김남길;주명기;이윤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63-768
    • /
    • 2002
  • In this study, methyl methacrylate (MMA) - modified polymer mortar(MMPM) was developed and its setting shrinkage and working life properties were surveyed. In order to study the setting shrinkage, setting shrinkage test for the 24 batches were also conducted with taking the MMA monomer content to the UP resin and the mixed content of shrinkage reducing agent(SRA) as variables. Furthermore, in order to study the working life measured gel time, working time, setting time of MMPM and binder. Experimental resurts show that the workability remarkably improved as the mixed MMA content increased. The working life was proportional to MEKPO content and was shorted. also, showed high interrelationship of binder gel time and MMPM working life. Setting shrinkage markedly reduced as the content of MMA and the SRA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