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exible Working Hours

유연근로시간제 개선에 대한 연구

  • 권용만 (남서울대학교 경영학과) ;
  • 서의석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Received : 2021.07.20
  • Accepted : 2021.09.01
  • Published : 2021.09.30

Abstract

Labor contracts appear in form as an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abor products and wages, but since they transcend the level of simple barter, they can be economically identified as "trading" and can be identified as "rental." From a legal point of view, a legal device that legally supports and imposes binding force on commodity exchange relations is a contract. Such a labor contract led to a relationship in which wages were received and a certain amount of time was placed under the direction and supervision of the employer as a counter benefit to the receipt of wages. Since working hours are subordinate hours with one's labor under the disposition authority of the employer, long hours of work can be done for the health and safety of workers and furthermore, it can be an act that violates the value to enjoy as a human being.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needs to be shortened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enjoyment of workers' culture so that they can expand and reproduce, but users' corporate management labor and production activities should also be compatible compared to those pursued by capitalist countries. Working hours can be seen as individual time and time in society as a whole, and long hours of work at the individual level are reduced, which is undesirable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n increase in products due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time at the social level can help soci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orking hours in terms of finding the balance between these individual and social levels. If the regulation method of working hours was to regulate the total amount of working hours, flexibility and elasticity of working hours are a qualitative regulation method that allows companies to flexibly allocate and organize working hours within a certain range of up to 52 hours per week.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horten working hours, but expand and implement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compan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lexibly operate the flexible working hours system, which is currently limited to six months, handle the selective working hours by agreement between employers and workers, and expand the target work of discretionary working hou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new type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근로계약은 형식상으로는 노동력상품과 임금의 교환관계로서 나타나지만, 단순한 물물교환의 차원을 초월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제학적으로 노동력상품과 화폐의 교환관계로서 '매매'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고 '임대차'로 파악할 수도 있다. 상품교환관계를 법적인 측면에서 보면, 노동력과 임금의 교환관계를 합법적으로 지지하고 그것에 구속력을 부여하여 강제화하는 법적인 장치가 계약이다. 이러한 근로계약은 임금을 수령하고, 임금의 수령의 반대급부로 일정한 시간을 사용자의 지휘·감독하에 두는 관계를 가져오게 하였다. 근로시간은 자신의 노동력을 사용자의 처분권하에 둔 종속시간이기 때문에 장시간의 근로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가치를 침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음으로 그 규제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근로시간의 단축은 인간의 생체적 한계를 설정하고, 확대 재생산을 할 수 있도록 생산적 측면에서 근로자의 문화에 대한 향유와 인간으로서 삶의 질을 확보하는 사회적인 측면에서 단축이 필요하지만, 사용자의 기업 경영상의 노동력 확보와 생산 활동 및 자본주의 국가에서 추구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 둘의 양립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근로시간은 개인에게서의 시간과 사회전체에서의 시간으로 볼 수 있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장시간 근로는 개인에게서의 시간은 줄어들게 되어 개인적 차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사회전체적인 차원에서 생산 활동에 투입시간의 증대로 인한 생산물의 증가는 사회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근로시간은 이러한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에서의 균형을 찾아간다는 측면에서 근로시간을 고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로시간의 규제방법이 근로시간의 시작과 근로시간의 종료에 대한 것으로 근로시간의 총량을 규제하는 것이었다면, 근로시간의 유연화, 탄력화는 근로시간의 총량을 1주 최대 52시간의 범위 내에서 범위를 한정하면서 기업의 새로운 업무의 출현에 따라 근로시간을 탄력적으로 배분하고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로시간의 질적인 규제방식이다. 이에 따라 근로시간은 단축하되 기업의 상황에 따른 유연근로시간제를 확대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6개월로 제한되어 있는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운용의 폭의 유연화와 사용자와 근로자간의 합의에 의한 선택적 근로시간제의 실 근로시간에 대한 처리,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4차 산업혁명에 기반한 새로운 근로형태에 출현에 따른 재량근로시간의 대상 업무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원(2015), 가공의 법리와 노동법, 경희법학, 56,
  2. 강희원(2019), 노동계약법, 노모스 노동법총서5, 서울
  3. 김흥순(2021), 한국보다 적게 일하고 많이 버는 나라, 노동 유연성.생산성 높아, 아시아 경제, 2021. 4. 29.
  4. 권용만.신원철(2020), "우리사주제의 개선에 대한 연구," 벤처혁신연구, 3(2).
  5. 권용만(2021), 근로시간법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6. 고용노동부(2018), 개정 근로기준법 설명자료, 고용노동부.
  7. 김병옥(2013), 근로계약법의 법제화 방안,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8. 김희성(2018), "일본의 일하는 방식의 개혁과 근로시간법 개혁," 법학연구, 29(4).
  9. 박윤수,박우람(2017), "근로시간 단축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KDI정책포럼 267.
  10. 박지순(2018), 4차 산업혁명과 노동법의 과제, 강원법학, 54.
  11. 이동욱,강모열(2021), 주당 근로시간 길수록 노동 생산성은 떨어져, 중앙일보헬스미디어, 2021. 2. 18.
  12. 이함박(2021), 근로시간법제에 교대근무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3. 전병유(2019), 디지털 플랫폼 노동 종사자에 대하여, 한겨레신문, 2019. 6. 12.
  14. 하갑래(2019), 근로기준법 제32판, (주)중앙경제, 서울
  15. 한광수(2011), "'일과 생활의 균형(Work Life Balance)'을 위한 법제 고찰," 강원법학, 34.
  16. Berg P., G. Bosch and J. Charest(2014), "Working-time Configurations: A Framework for Analyzing Diversity across Countries," ILR Review, 67(3).
  17. KDI(2021), 나라경제 5월호
  18. KOSIS(2020), 국가통계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