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esh color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5초

흰꽃 개화성 고구마 신품종 "모닝화이트" (A New Sweetpotato Variety "Morningwhite" with white flowering)

  • 이준설;정광호;김학신;안영섭;정미남;김정주;방진기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30-434
    • /
    • 2008
  • 고구마는 잎의 색깔이나 모양, 줄기의 덩굴성 등 지상부의 다양한 특성을 이용하여 관상용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식용으로 재배되는 고구마는 극심한 한발이나 저온과 같은 주위 환경의 영향으로 드물게 꽃이 피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꽃이 피지 않는다. 그러나 개화성 고구마 '모닝화이트'는 일장에 무관하게 줄기가 자라면서 액아에서 화총이 형성되어 계속적으로 개화하는 특성이 있다. '모닝화이트'의 화색은 백색이고, 꽃잎크기는 4.0 cm, 꽃부리통은 0.6 cm, 꽃길이는 3 cm, 화판 모양은 원형이다. 지상부 특성으로 줄기길이는 170 cm, 줄기색은 녹색, 잎모양은 원형, 잎자루색은 녹색을 띠고 있다. 개화특성으로 개화기간은 85일, 주당화수는 96개, 꽃자루수는 80개, 꽃자루길이는 1~4 cm, 꽃받침은 5개이다. 모닝화이트는 실내 및 도로변 화분에 식재하여 관상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β-Carotene, Cucumisin Content and Fruit Morphology of Melon (Cucumis melo L.) Germplasm Collections

  • Kim, Yeong-Jee;Hwang, Ae-Jin;Noh, Jae-Jong;Wang, Xiaohan;Lee, Jae-Eun;Yoo, Eunae;Lee, Sookyeong;Hwang, Sojeong;Kim, Myung-Kon;Noh, Hyungj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5-565
    • /
    • 2021
  • Melon fruits are a year-old plant in the family Cucurbitae and are the most cultivated fruit in tropical countries. Melon flesh is an important source of anti-cancer, antioxidant effects, attracting attention as a functional food. We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β-carotene content, and cucumisin activity of seeds of 58 melon genetic resources. Melon resources have shown various morphological properties. Melons grouped by morphological properties were the five groups. β-carotene content varied between 82.34 mg/kg, 86.75 mg/kg, 25.56 mg/kg, 86.25 mg/kg, and 54.65 mg/kg. Between β-carotene, cucumisin activity and other quantitative fruit morphological properties, the color of the pulp and the firmness of the pulp had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β-carotene content. However, cucumisin activity and β-carotene conten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color of the fruit and shape of the frui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β-carotene content and activity of cucumisin. Our study vindicated that high diversity in melon morphological characters of genetic sources that provide beneficial baseline data for the future and in the activity of β-carotene and cucumisin, and these results could predict indicators of β-carotene content by the length of leaf, the width of fruit, the length of joint, and the length of seed, and collectively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of melons could help predict indicators of β-carotene content and help develop functional sarcoma and farmhouse cultivation.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using jujube puree)

  • 남궁란;박상아;안소정;이영현;김한수;이영근;성종환;정헌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7-192
    • /
    • 2014
  •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드레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드레싱은 생대추를 박피, 제심하고 스팀 블랜칭, 마쇄하여 퓨레를 제조하고 이의 첨가량이 0, 10, 20, 30, 40, 50%가 되게 간장, 식초, 올리고당, 올리브유, 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드레싱의 색도 중 $L^*$값은 대추퓨레 10%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대추퓨레 첨가구들이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a^*$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대추퓨레 첨가구 간에는 첨가량에 따라 수치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였고, $b^*$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산도는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 50%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점도는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에 비례하여 점도가 증가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항산화능의 척도인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드레싱의 색, 냄새, 맛, 질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가 보다 좋게 평가되었고, 모든 평가 항목에서 대추퓨레 30%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로써 대추퓨레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드레싱의 항산화능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한 대추퓨레의 첨가량은 30%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Goldone', a Yellow - fleshed Kiwifruit Cultivar with Large Fruit Size

  • Kwack, Yong-Bum;Kim, Hong Lim;Lee, Jae Han;Chung, Kyeong Ho;Chae, Won B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142-146
    • /
    • 2017
  • In Korea, kiwifruit is grown within a limited region on the southern coast where the climate is warm. Since the yellow - fleshed kiwifruit variety, 'Hort16A', first became commercially available, we have focused on breeding additional yellow - fleshed kiwifruits. Here, we describe the cultivar 'Goldone', which originated from 'Red Princess' and is characterized by red coloration around the fruit core. Conventional field crosses were performed in 2003, and permission for final release of 'Goldone' was obtained in 2011. This cultivar is very productive, with an average fruit weight of 129 g, which is 39% heavier than that of the cultivar 'Hayward'. 'Goldone' is harvested in late October, approximately 165 - 170 days after anthesis. In general, 'Goldone' has approximately eight flowers per fruiting shoot; these flowers must be thinned before blooming for commercial production. 'Goldone' was registered at the Korean Seed & Variety Service in 2014 for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s (grant no. 4835).

First Report of Diaporthe actinidiae, the Causal Organism of Stem-end Rot of Kiwifruit in Korea

  • Lee, Jae-Goon;Lee, Dong-Hyun;Park, Sook-Young;Hur, Jae-Seoun;Koh, You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10-113
    • /
    • 2001
  • Post-harvest diseases of kiwifruit caused severe damages on the fruits during storage, transportation, marketing and consumption. Phomopsis sp. was reported to be one of the major causal organisms of post-harvest fruit rots of kiwifruit. Symptoms of stem-end rot caused by Phomopsis sp. appeared at the stem-end area of the fruit as it ripened. The brown pubescent skin at the area became soft and lighter in color than the adjacent firm healthy tissues. A watery exudate and white mycelial mats were frequently visible at the stem-end area forming a water-drop stain down the sides on the dry brown healthy skin. When the skin was peeled back, the affected flesh tissue was usually watersoaked, disorganized, soft and lighter green than the healthy tissue. Phomopsis sp. wa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diseased fruits, and its pathogenicity was confirmed by an artificial inoculation test on healthy fruit of kiwifruits. The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lemorph state of the fungus produced on potato-dextrose agar were in accordance with those of Diaporthe actinidia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occurrence of a telemorph state of D. actinidiae as the causal organism of stem-end rot of kiwifruit in Korea.

  • PDF

유자 분말을 첨가한 초콜릿의 제조 및 항산화 특성 (Preparation of Chocolate Added with Yuza (Citrus junos Seib ex TANAKA) and Its Antioxidant Characteristics)

  • 유경미;이충환;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2-227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uza chocolate,and to determine the optimum ratio of yuza powder for its preparation. Yuza peel and flesh powders were added to chocolate at weight percentages of 0, 3, and 6%, respectively. Color values (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total phenol content, total antioxidant capac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then measured in the samples of yuza-containing chocolate. As the amount of yuza powder increased, total phenol content, antioxidant capacity,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Depending on the level of yuza powder, significant differences (p <0.05) were shown in aroma, taste, bitte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xture. In terms of sensory acceptability, the addition of 3% yuza peel powder to chocolate was optimal.

밤묵의 제조와 그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estnut Mooks)

  • 윤광섭;김순동;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29-434
    • /
    • 1999
  • 본 연구는 밤묵의 개발가능성을 제시하고자 밤을 이용한 밤묵을 제조하여 그 품질을 기존의 도토리묵과 비교, 검토하였다. 탄닌의 함량은 밤전분에 비하여 도토리전분의 함량이 4배 정도 높았다. 묵의 견고성은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밤묵이 도토리묵보다 더 단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성도 밤묵이 도토리묵보다 높게 나타나 분자간의 결합력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격자 구조를 갖는 내피가 가장 높은 견고성을 보였고, 격자구조가 조금 무너진 외피, 과육으로 만든 묵의 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고 도토리가 가장 파괴된 구조를 보였다. 색도는 외피를 포함한 밤묵이 도토리묵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결과 모든 항목에서 내피를 포함한 밤묵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도토리, 과육, 외피의 순이었고, 농도가 높을수록 더 높은 기호도를 보였지만 도토리묵은 8%가 가장 선호되었다.

  • PDF

산지별 유자의 이화학적 특성, 유리당 및 향기성분 (Physicochemical Properties, Free Sugar and Volatile Compounds of Korean Citrons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 이수정;신정혜;강민정;정창호;주종찬;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2-98
    • /
    • 2010
  • 산지별 유자의 이화학적인 특성, 유리당 및 향기성분 등을 비교한 결과 과실의 총 중량은 107.97~154.86 g으로 산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과실의 총 중량에 대한 과육의 비율은 거제, 고흥 개량종 및 남해 재래종에서 과피보다 높았다. 산지별 유자의 크기는 남해 재래종이 가장 컸으며, 산지별 유자 과피의 색도는 고흥산 유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산지별 유자 과피의 경도는 거제산 유자의 과피가 가장 단단하였으며(2337.13 $cm/kg^2$), 고성산 유자 과피가 가장 무른 것으로 나타났다(1592.38 $cm/kg^2$). 유자 과육 중 수분은 85.35~87.81 g/100 g, 회분은 0.8 g/100 g 미만이었다. 거제산 유자의 조섬유 함량이 과피 중 가장 유의적으로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과피가 과육에 비해 1.88~2.60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자 중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의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fructose와 glucose에서 과피가 과육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총 유리당 함량은 8.44~12.19 g/100 g의 범위였으며, 고흥 및 남해 개량종이 재래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한편, 유자의 과피로부터 동정된 향기성분 15종에서, dl-limonene의 함량이 전체 향기성분 중 59.52~74.3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gamma$-terpinene(5.60~7.88%)이었다.

일반감자와 유색감자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Biological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Ethanol Extracts of White and Flesh-colored Solanum tuberosum L. Potatoes)

  • 장혜림;윤경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35-1040
    • /
    • 2012
  • 유색감자의 식품학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고기능성 유색감자 신품종 육성 및 기능성식품의 천연소재로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일반감자인 '수미'와 다양한 유색감자의 생리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수미'가 120.0 mg/100 g powder, '블루'가 151.1 mg/100 g으로 유색감자가 일반감자보다 더 많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레드'와 '하령'을 제외한 유색감자의 활성이 '수미'보다 뛰어났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2,000{\mu}g/mL$ 농도에서 '하령'을 제외한 나머지 유색감자의 활성이 '수미' 보다 높았으며, 특히 '블루'가 65.5%로 가장 높았다. 전단구 백혈병 세포주인 THP-1에 대한 세포 독성은 '블루', '자서', '자심'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간암세포 $HepG_2$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는 '블루'만이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유색감자는 일반감자보다 항산화 및 항암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유색감자 중에서도 '블루'의 생리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루'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유색감자는 기능성식품 소재로써 개발할 가치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감자가 주식 또는 부식으로 손쉽게 섭취하는 식용작물임을 감안할 때 그 가능성은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봉지종류 및 괘대시기가 '원황' 및 '화산' 배 과실의 수확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it bags and bagging time on fruit quality indices at harvest time in 'Wonhwang' and 'Whasan' pears)

  • 정억근;이욱용;안영직;이혁재;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2호
    • /
    • pp.107-113
    • /
    • 2013
  • 충남 천안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국내신육성 조중생종 배 '원황' 및 '화산'을 공시하여 외지의 색깔을 달리한 3종의 이중봉지를 만개 후 35-65일까지 10일 간격으로 괘대한 후 수확기에 과실을 수확하여 색택 및 과실품질을 비교하였다. 봉지간 광차단율을 조사한 결과, 회색외지를 사용한 과실의 광차단율이 유의하게 높아 광투과율이 0.46%로 황색외지의 43.7% 및 신문지의 40.0%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품종 모두 괘대시기가 늦을수록 적색도($a^*$)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괘대 시기가 만개 후 65일로 늦은 경우에는 과피가 지나치게 붉은색으로 착색되거나 착색의 균일도가 떨어져 외관이 심하게 떨어졌다. 과실의 수확기 가용성고형물, 산함량 등 품질요인은 봉지종류 및 괘대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색외지 처리과실의 수확기 경도편차가 가장 적게 조사되었다. 본 실험결과, 회색외지를 사용한 경우 과실품질요인의 저하 없이 '원황'과 '화산' 배 과실의 과피색 발현에 유리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