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e/explosion preven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4초

Autoignition of Urethane Foam to be Used as the Insulator of the Household Refrigerator

  • Choi, Jae Wook;Mok, Yun 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Safety
    • /
    • 제1권1호
    • /
    • pp.47-51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minimum ignition temperature of polyurethane form recovered from the recycling process of the end-of-life home appliances. The critical ignition temperature of polyurethane form was lower as the size of the sample vessel was increased, and that of polyurethane form using cyclopentane as the forming agent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polyurethane form using CFC and the combustion of cyclopentane-polyurethane form occurred fiercely. It is considered that the recycling process of end-of-life home appliances using cyclopentane-polyurethane form as the insulator would require a special fire and dust explosion prevention measures since there exists a high potential hazard of fire and dust explosion during crushing and storage processes.

안전밸브가 장착된 휴대용 부탄캔에 대한 안전성 평가 연구 (Safety Evaluation of Non-refillable Butane Can Equipped with Relief Valve for Prevention of Explosion)

  • 강승규;최경석
    • 에너지공학
    • /
    • 제17권4호
    • /
    • pp.212-217
    • /
    • 2008
  • 본 연구는 이동식 부탄연소기에 사용되는 1회용 부탄캔의 변형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캔에 안전밸브를 장착한 폭발방지 부탄캔에 대한 사용 중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실제 사용환경에서 설계압력의 오차 범위 내에서 안전밸브가 작동하는지, 안전밸브의 분출유량은 캔의 변형 및 폭발을 방지하기에 적정하게 설계되었는지, 그리고 안전밸브 작동으로 인하여 가스가 누출되었을 때 주변의 점화원에 의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 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제품이 외부열원에 의한 부탄캔의 내압상승을 방지하여 캔의 폭발을 방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에 의한 점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isk of Ignition due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 Areas with Potentially Explosive Gas Atmospheres)

  • 김윤석;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1-8
    • /
    • 2016
  • 국내외의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을 취급하는 대형설비에서의 폭발위험장소에 대한 안전관리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지역사회와의 공존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폭발위험장소의 안전관리는 크게 가연성 또는 인화성 물질의 누출을 제어하는 시스템과 이러한 가연성 또는 인화성물질이 누출되어 폭발분위기를 형성할 때 점화원을 제어함으로써 화재 또는 폭발사고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방폭시스템이 있다. 제도와 기술로 인해 전기적 점화원에 대한 방폭설비는 상당히 보급되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열적 점화원의 경우, 위험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 기술개발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 내연기관의 점화 위험을 보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를 통하여 관련 국제표준과 사고사례 및 위험분석보고서를 연구하고, 국내 중부권 공정안전관리제도 대상 사업장의 디젤엔진의 불꽃방지기 등 안전장치 적용실태를 조사하였다. 실제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석유화학 산업에 적용함에 있어, 디젤엔진과 같은 내연기관 점화원의 위험인식을 통해 잠재적 폭발위험장소에서의 폭발방지에 대한 안전관리방안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스팔트에 대한 소방기관의 규제 실태와 폭발사례의 분석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Asphalt Regulations by Fire Service Organizations and Explosion Cases)

  • 이의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97-105
    • /
    • 2017
  • 아스팔트는 상온에서 고체이므로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 위험물이 아니어서 화재 폭발 위험성이 없는 것처럼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데, 저장탱크에 $170-180^{\circ}C$로 가열하여 저장하므로 인화성액체와 같은 위험성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아스팔트의 저장 취급 중 화재폭발 위험성과 아스팔트에 대한 소방기관의 규제 실태를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아스팔트와 관련된 사고 중 국내에서 발생한 아스팔트콘크리트(아스콘) 생산 중 폭발한 사례와 아스팔트 저장탱크의 폭발 사례, 해외에서 발생한 아스팔트 저장탱크의 화재폭발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일본과 달리 아스팔트에 대한 소방기관의 규제가 거의 없고, 아스콘 생산 중 골재 가열실 버너에 연료를 분사한 후 점화시기가 지연되면 폭발사고가 발생하며, 아스팔트저장탱크의 아스팔트 가열 중 대기오염물질이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환경정화설비를 갑자기 강하게 작동시키는 경우 저장탱크에 물리적 폭발사고가 발생하며, 아스팔트저장탱크에서 용접 등 화기취급을 하면 폭발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카본블랙 제조 부생가스의 폭발 특성연구 (A Study on the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by Product Gas of Carbon Black Manufacturing Process)

  • 오규형;이성은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0-64
    • /
    • 2006
  • 카본블랙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생가스의 폭발한계와 폭발특성을 연구하였다. 부생 가스의 75% 가량은 수분과 질소였으며 가연성 성분으로는 수소를 비롯한 메탄, 아세틸렌, 일산화탄소 등을 포함하고 있어 연료로 활용하고 있다. 부생 가스중의 가연성 가스 성분들에 의해 공정상에 폭발 및 연소의 위험이 있다. 실험결과 얻어진 폭발한계범위는 17.1%에서 70.7%였으며 르샤틀리에 법칙을 이용하여 예측한 값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폭발특성 실험 결과 폭발압력은 최대 $5.4kg/cm^2$이었고 평균 폭발압력 상승속도는 $39.2kg/cm^2/s$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생 가스의 취급 및 이용에 따른 폭발이나 화재 사고시 공정과 시설 등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가스폭발 방지 및 방호조치가 필요하다.

  • PDF

리튬이온 배터리의 분리막 손상 요인별 방전펄스의 검출과 분석 (Detection and Analysis of Discharge Pulses by Failure Mechanisms of the Separator inside Lithium-Ion Batteries)

  • 임승현;이경렬;김남훈;김동언;길경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4권5호
    • /
    • pp.327-332
    • /
    • 2021
  • Lithium-ion batteries (LIBs) have become a main energy storage device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portable appliances, renewable energy facilities, and electric vehicles. However, the poor thermal stability of LIBs may cause explosion or fire. The thermal runaway is the result of a failure of the separator inside LIB. Damages like tearing, piercing, and collapsing of the separator were simulated in a mechanical, an electrical, and a thermal way, and small discharge pulses of a few mV were detected at the time of separator damag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is paper provided a method that can identify the separator failure before thermal runaway in the aspect of a potential explosion and fire prevention measures.

콘덴서의 발화 메커니즘 실험 (A Study of the Ignition Mechanism in Electric Condenser Iksan Firestation)

  • 김상순;이재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3-113
    • /
    • 2021
  • As the use of capacitors in electrical appliances and electrical control circuits increases, the related electrical fire is increasing. There are various parts such as resistors, coils, and capacitors that make up an electric circuit. Among them, the ignition of a capacitor with a temporary charging fun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apacitor. Capacitors can explode due to various reasons, and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they explode ignites the inflammable dielectric, which in turn burns the inflammable materials such as the surrounding electric wires and spreads into a fire. In this paper, the ignition mechanism is studied by conducting a reenactment experiment on the various probabilities that can be ignited in an electric capacitor, and the prevention measures to be applied to the fire prevention are presented.

방폭구조 ESD Detector 개발 및 본질안전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plosion Proof ESD Detector and Intrinsic Safety Characteristics Analysis)

  • 변정환;최상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
    • /
    • 2020
  • Article 325 (Prevention of Fire Explosion due to Electrostatic) of the Rul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 specifies that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disasters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fire, explosion and static electricity in the production process, However, in order to do thi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use a pre-detection technology and a detector for antistatic discharge prediction, which is a precautionary measure by static electricity in a fire / explosion hazard place, but in Korea, And there is no technical standard for the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of the explosion proof structure of the related equipment. Research methods include domestic and overseas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ion technology and literature investigation of related equipment explosion proofing technology, domestic and foreign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ion device production and use situation investigation, advanced foreign technology data analysis and benchmarking. In particular, we sought to verify the results of empirical experiments using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ion technology through sample purchase and analysis of related major products, development of optimization technology through prototype production, evaluation, and supplementation, and expert knowledge through expert consul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veloped and fabricated two prototypes of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or based on the technology / standard related to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ion technology in Korea and abroad through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ion technology and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detector. In additio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discharge detection technology, we developed an intrinsic safety explosion proof ib class explosion proof technology applicable to the process of using and handling flammable gas and flammable liquid vapor and combustible dust. In the case of the over voltage and minimum voltage are supplied to the explosion-proof structure ESD detector, check the state of the circuit and the transient and transient currents generated by the coil and capacitor elements during the input and standby of the signal pulse voltage. Explosion-proof equipment-Part 11: Intrinsically safe explosion proof structure The comparative evaluation with the reference curve in Annex A of "i" confir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insically safe explosion protection structure are met.

폭발방지를 고려한 LPG 저장탱크 최적설계 (The Optimal Design of Explosion Prevention for LPG Storage Tank)

  • 임사환;허용정;손석우;임재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949-952
    • /
    • 2010
  • The utilization of LPG(Liquefied Petroleum Gas) is increasing as an environmental-friendly fuel in all countries making green growth new paradigm, and use of gas is spread fast as motor fuels to decrease air pollution. Loss of lives by explosion and fire is happening every year as gas use increases, and gas accident in large scale storage property is causing serious problems socially. To minimize this problem, underground containment type storage tank is being presented as an alternative recently. In this study, to minimize explosion occurrence in underground containment type storage tank, the suitable storage tank is designed to consider explosion prevention that makes exposure surface area minimize in confined contents volume and flame to construct storage tank by the most suitable condition in the underground containment room. As a result of the design of storage tank having the most suitable condition by this research, underground containment space was minimized on diameter 3m, length 4.83m in 20 tons storage tank and its safety was improved as exposure surface area in flame decreased by 89.4%, compared with the existent storage tank.

  • PDF

반도체 소재 제조 공정에서 아세트산 취급 작업 시 발생한 화재·폭발 사고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entive Measures for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During Acetic Acid Handling in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Material)

  • 이대준;김상령;김상길;박교식;이준원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5-70
    • /
    • 2023
  • 반도체 공급설비에 사용되는 인화성 물질은 고온·고압에서 제조되는데, 반도체 산업이 정밀화, 대형화되면서 사용되는 물질의 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반도체 소재 제조 공정에서 제품을 만들기 위한 원료인 아세트산 취급 작업 도중 화재·폭발이 발생하였는데, 원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인식 부족, 원재료 간의 이상반응 가능성 검토 부족, 스플래쉬 필링이 일어날 수 있는 설비의 장치 부족, 화재·폭발 예방을 위한 공기 유입 방지 부족 등 전체적으로 문제점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생한 사고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인화성 액체를 다량 취급하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폭발을 예방하기 위하여 Hopper와 같은 설비 구축, AOPS 구성설치, 근로자의 인식 변화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