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vinegar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3초

다양한 발효액의 항균효과와 대장균의 유전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Antibacterial Effect of Various Fermentation Products and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E.coli)

  • 허지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9-124
    • /
    • 2022
  •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대장균(Escherichia coli) 및 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기회감염균이다. 또한 이들 세균은 다제내성(Multiple-Drug Resistance, MDR) 세균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농균, 대장균, 포도알균에 대한 다양한 효능을 지닌 6가지 발효액의 항균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액을 섭취했을 때 대장균에서 유전적 발현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annealing control primer를 사용하여 유전자발현 분석을 수행하였다. 디스크확산법을 통해 무화과식초와 대봉감식초가 다른 발효액에 비해 억제대의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고, 토종약초발효소는 항균효과가 없었다. 대장균에 5% 무화과식초를 처리하여 21일간 매일 계대배양하여 Escherichia coli O157:H7 OmpW gene for outer membrane protein W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며, Synthetic construct Lao1 gene for L-amino acid oxidase, complete cds 유전자가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발효액 중에서 특히 무화과식초를 섭취하는 것은 우리 주변에 항상 존재하는 대장균에 대해 방어능력을 더욱 단단하게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나아가 다제내성균에 대한 천연치료제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복숭아 전통발효식초 원료로서의 복숭아즙 유용성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Peach-juice as a Raw Material for Traditional Fermented Peach Vinegar)

  • 성지연;김지윤;황소윤;이경현;김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45-352
    • /
    • 2022
  • 복숭아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과잉 생산된 복숭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복숭아 원료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종류 즙(생과원액, 냉장생즙, 중탕즙, 냉동퓨레)으로 제조한 4종류 전통발효식초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식초 원료로서 즙의 활용가치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4종류 발효식초의 당도(6.20~6.50°Brix), 총산도(5.25~5.61%), 산도pH(3.42~3.74) 및 초산 함량(48.81~54.29 mg/mL)은 기존 전통발효식초들과 유사하였다. 그러나 총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냉장생즙 및 중탕즙으로 제조한 식초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복숭아 전통발효식초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중탕즙 및 냉장생즙이 매우 적합하며, 특히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중탕즙은 고부가가치 기능성 식품 소재로도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고부가가치 복숭아 원료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지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재래 식초에서 초산균의 분리와 발효특성 신속 비교 (Comparison of the fermented property and isolation of acetic-acid bacteria from traditional Korean vinegar)

  • 백성열;박혜영;이충환;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03-907
    • /
    • 2014
  • 식초 제조용 종초 선발을 위해 다양한 초산균을 분리한 후, 그들의 발효특성 분석하여 종초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수집된 식초 시료에서 분리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 pasteurianus, A. malorum, Ga. entanii, Ga. intermedius, Ga. xylinus로 동정되었다. 식초 제조용 초산균의 발효특성을 분석한 결과, 초산의 과산화능은 모든 시험 균주에서 음성으로 나타나 과산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초산 내성은 Gluconacetobacter 속 균주만 관찰되었다. pH 내성은A. malorum V5-7 균주가 가장 높았다. 식초 품질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섬유질상의 세포외 다당체인 콜로이드 생성 균주는 Ga. intermedius V11-5, Ga. xylinus V8-1 균주로 나타났다. 초산 생성능은 A. malorum V5-7, A. pasteurianus Gam2, Ga. intermedius V11-5에서 가장 높은 산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종초용 초산균의 발효 특성 연구를 통해 국내 발효 식초의 품질 향상을 기대한다.

한국 발효 소스의 서양요리 적용에 대한 연구 - 고추장, 된장, 간장, 식초를 중심으로 - (Study on Korean Fermented Sauce applied to Western Cuisine - Focused on Red Pepper Paste, Soybean Paste, Soy Sauce and Vinegar -)

  • 김지형;유은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ossibilities of Korean fermented sauces including red pepper paste, soybean paste, soy sauce, and vinegar as ingredients for Western cuisine. Western cuisine professionals from US and Europe were interviewed for their experienced opinions. To classify the categories, the selected statements were given to other groups of foreign chefs, Korean cuisine professionals and students majoring culinary arts. The first category pointed out that Korean fermented sauces are healthy with 'umami' taste using only natural ingredients. They believe it has high possibilities of matching with many of other foods and also has unique tastes. Korean cuisine professionals were mostly occupied in this category. The second category had negative opinions matching with Western cuisines since Korean fermented sauces are rough and have a strong taste & smell. This category had many Western cuisine professionals. The last category was composed of mainl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They pointed out that Korean fermented sauces use natural ingredients and have a unique flavor with long-term shelf life. Use of Q methodolog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researched by quantitative methods especially for the Korea food service industry.

홍국발효 콩 함유 현미 식초의 Tyrosinase와 Elastase의 저해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polished Rice Vinegar Containing Monascus-Fermented Soybean on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Elastase)

  • 황지영;조호연;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49-154
    • /
    • 2016
  • 현미와 홍국발효 콩 시료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초의 미용건강기능성 소재(cosmeceuticals)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현미 식초에 비해 홍국발효 콩이 첨가된 시료가 첨가량에 비례하여 최대 7배 이상 증가하였다(P<0.05). 특히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0% 첨가량의 시료에서 kojic acid의 저해 활성과 유사하게 나타나 미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elastase 저해 활성 역시 첨가량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현미 식초에 비해 홍국발효 콩을 1:1(w/w)의 비율로 첨가한 식초의 높은 생리활성은 시료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 특히 이소플라본 비배당체형의 genistein과 daidzein의 농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

3종 분말식초의 항산화, 항혈전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ti-thrombosis, and Lipid Accumulation Inhibition Activities of Different Dried Vinegars)

  • 이종규;김종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96-303
    • /
    • 2024
  • 식초는 당과 전분을 함유하는 다양한 재료를 초산균으로 발효시켜 제조되며, 다양한 유기산, 당류, 아미노산, 에스터 및 기타 화합물을 포함하여 독특한 맛과 향미를 나타낸다. 식초는 소화를 원활하게 하고 혈당 수준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며, 항비만 및 항산화 활성이 알려져 있으며, 체액의 알칼리화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발효식초로부터 기능성 분말식초(dried vinegar, DV)를 제조하기 위해, 풋사과, 현미 및 아로니아를 각각 Gluconacetobacter xylinus로 90-180일 발효시킨 발효식초를 말토덱스트린(37.46%), 포도당(5%), 구연산(1%) 및 비타민 C (0.04%) 용액에 현탁 후 분무건조하여 3종의 DV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DVs의 산도, 색상, 수분 및 용해성 고형 내용물 및 열 안정성 분석 결과, 분무건조가 분말제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으며, DVs는 우수한 관능과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제조된 DVs중 아로니아-DV가 0.5 m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1,1-diphenyl-2-picryl hydrazyl 및 2,2-az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각각 36.7% 및 75.3%) 및 환원력 (0.334)을 보였으며, nitrite 소거 활성은 풋사과-DV에서 가장 높았으며, 아로니아-DV 및 현미-DV순으로 나타났다. 항혈전 활성 평가결과 아로니아-DV가 prothrombin 억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현미-DV는 3T3-L1 지방세포에서 세포 독성 없이 지질 축적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는 분말식초의 산업화 가능성을 제시하며, 식품가공 소재로 응용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전통발효 식초에서 분리한 Agdohader sp.의 특성 (Some Properties of Acetobacter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Vinegar)

  • 박종필;김성준
    • KSBB Journal
    • /
    • 제8권4호
    • /
    • pp.397-404
    • /
    • 1993
  • Two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vinegar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rice wine and the vine gar of fermented persimmon, respectively. These strains, designated as KM and BPV, were identified as the genus Acetobacter with respect to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Isolates oxidized ethanol to acetate and over-oxidized acetate or lactate to CO2 and H2O. They were positive in catalase test, while being negative in oxidase, gelatin liquefaction, VP test, H2O production and indole formation tests. No ${\gamma}$-pyrones ware produced from glucose and fructose. KM was tolerant of 11% ethanol while BPV was relatively sensitive to ethanol at a higher concentration than 5%. The guanine-plus-cytosine contents of the DNA of KM and BPV strains were 53.8 and 56.6 mol%, respectively. The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s contained in these isolates were saturated straightchain C14:0 and C16:0,, and unsaturated straight-chain C18:1. Major ubiquinone system of KM was Q-9, but that of BPV was Q-10. In morpho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spects, KM strain was similar to Acetobacter pasteurianus. However, BPV strain was different from other Acetobacter type strains.

  • PDF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발효식초 유래 다당의 화학적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Fermented Vinegar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Raw Materials)

  • 김동수;허병석;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91-199
    • /
    • 2015
  • 전통발효식초의 면역증진 활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원재료로부터 제조된 국내외산 6종의 발효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화학 특성과 면역증진 활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6종의 발효식초 유래 조다당 중에서 국내 현미 식초 유래 조다당(KBV-0)과 일본 현미식초 유래 조다당(JBV-0) 및 국내 감식초 유래 조다당(KPV-0)에서 발효식초 대비 높은 수율이 얻어졌으며, in vitro 상에서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우수한 interleukin(IL)-6의 생산 유도 활성을 보여 고 면역활성 다당으로 선별하고 이후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한편 선별된 발효식초 유래 3종의 다당 획분 KBV-0, KPV-0 및 JBV-0는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지만 KBV-0와 KPV-0의 경우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ITCH_{50}$ 62% 및 65%의 활성을 보여 JBV-0에 비해 높은 항보체 활성을 나타냈다. 한편 KBV-0, JBV-0 및 KPV-0는 mouse 복강 macrophage에 대해 특별한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IL-6, IL-12 및 TNF-${\alpha}$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하지만 KPV-0의 활성이 각 처리 농도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국내산 전통발효식초에는 타 영양성분 외에 특이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발효식초 유래 다당이 인체 건강유지에 필수적인 면역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추정하게 하였다.

전통정치배양에 의한 농가형 현미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arm-made brown rice vinegar via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 백창호;정다희;백성열;최지호;박혜영;최한석;정석태;김재현;정용진;권중호;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4-5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통 항아리를 이용하여 발효온도 및 여과 방법을 달리한 현미식초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산발효에 사용하는 발효제와 온도에 따라 적정산도는 발효 4~5주에 가장 높았으며, 강제여과가 전통여과방식보다 산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pH는 모든 구간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당도는 각각의 발효액 모두 초산 생성이 원활할 때는 발효초기와 비슷하게 유지되었지만, 발효액이 과산화 되었을 때는 당도가 낮아졌다. 유기산 함량은 발효온도와 여과방식에는 큰 차이는 없지만 다양한 발효제에 따라 발효 초기에 8종(oxalic, citric, malic, tartaric, succinic, lactic, acetic 및 formic acid 등)이 검출되었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acetic acid가 많이 생성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초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지되거나 감소의 폭이 적었으며, 초산함량이 감소하는 발효 6주에 총 아미노산 함량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아리에서 초산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산함량이 증가할 때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효온도 및 여과방식을 달리함에 따라 유기산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며, 초산 발효액의 경우, 향후 숙성과정에서 유기산 및 유리 아미노산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장기 숙성에 따른 초산 발효액의 품질변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시판 현미식초의 주정첨가 유무에 따른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비교 (Volatile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Brown Rice Vinegars Fermented with and without Ethanol)

  • 윤성란;김귀란;이지현;이수원;정용진;여수환;최한석;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27-532
    • /
    • 2010
  • 시판 현미식초를 주정첨가 유무 발효방식에 따른 휘발성 성분 특성을 살펴보고자 SPME-GC 분석, 전자코 패턴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GC-MS 분석을 통한 현미식초의 향기성분분석에서 주정 무첨가 발효된 현미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은 acetic acid, ethyl acetate, benzaldehyde, iso-valeric acid, phenylethyl alcohol, 2-phenylethyl acetate, acetoin, isobutyric acid 등으로 총 24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주정첨가 발효 현미식초의 주된 휘발성 성분은 acetic acid, ethyl acetate, 1-hexyl acetate, benzaldehyde, 2-phenylethyl acetate, phenylethyl alcohol 등으로 나타났으며, 총 16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전자코분석시 주정 무첨가 현미식초는 알코올 발효에 의한 다양한 향의 생성으로 초산 발효시에도 각각 다른 향미패턴이 나타남을 볼 수 있었으며, 주정첨가 현미식초는 주정에 의한 초산발효로 거의 유사한 향미패턴으로 나타나 주정첨가 유무에 따라 현미식초의향 패턴이 다소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자극취, 이취의 강도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주정 무첨가 발효된 현미식초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주정첨가 유무의 발효방식은 현미식초의 향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