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ation medium

검색결과 860건 처리시간 0.024초

Use of Duckweed, Bentonite and Acid to Improve Water Quality of Effluent Discharge from Abattoirs

  • Goopy, J.P.;Murray, P.J.;Lisle, A.T.;Al Jassim, R.A.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8호
    • /
    • pp.1168-1176
    • /
    • 2004
  • Intensive animal industries create large volumes of nutrient rich effluent, which, if untreated, has the potential for substantial environmental degradation. Aquatic plants in aerobic lagoon systems have the potential to achieve inexpensive and efficient remediation of effluent, and to recover valuable nutrients that would otherwise be lost. Members of the family Lemnaceae (duckweeds) are widely used in lagoon systems, but despite their widespread use in the cleansing of sewage, only limi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to their growth in highly eutrophic media, and little has been done to systematically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types of media. This study examin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duckweed in abattoir effluent, and explored possible ways of ameliorating the inhibitory factors to growth on this medium. A series of pot trials was conducted to test the tolerance of duckweed to abattoir effluent partially remediated by a sojourn in anaerobic fermentation ponds, both in its unmodified form, and after the addition of acid to manipulate pH, and the addition of bentonite. Unmodified abattoir effluent was highly toxic to duckweed, although duckweed remained viable and grew sub optimally in media with total ammonia nitrogen (TAN) concentrations of up to 100 mg/l. Duckweed also grew vigorously in effluent diluted 1:4 v/v, containing 56 mg TAN/L and also modified by addition of acid to decrease pH to 7 and by adding bentonite (0.5%).

Energy Utilization of Growing Chicks in Various Nutritional Conditions

  • Sugahara, Kuni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6호
    • /
    • pp.903-909
    • /
    • 2003
  • For the last two decades, energy utilization of growing chicks has been studied more and m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energy utilization estimated by the metabolizable energy (ME) values and the efficiency at which ME is used for growth of chicks under various nutritional environment. Degree of saturation of dietary fats is responsible for nitrogen-corrected apparent metabolizable energy (AMEn) of fats. The effect of dietary fat sources on heat production depends on the kind of unsaturated fatty acids as well as the degree of saturation. Medium chain triglyceride shows lower AME and net energy than long chain triglyceride. Phytase as feed additives increases the AME values of the diet along with improvement of the phosphorous utilization. Ostriches have higher ability to metabolize the energy of fiber-rich foodstuffs than fowls. Their higher ability seems to be associated with fermentation of fiber in the hindgut. Proportions of macronutrients in the diets have influenced not only the gain of body protein and energy but also the oxidative phosphorylation of the chicken liver. Essential amino acids deficiency reduces ME/GE (energy metabolizability) little, if any. Growing chicks respond to a deficiency of single essential amino acids with the reduction of energy retained as protein and increased energy retained as fat. Thus, energy retention is proportional to ME intake despite deficiency, and efficiency of ME utilization is not affected by deficiency of amino acids.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clenbuterol, a beta-adrenergic agonist, on the utilization of ME varies with the dose of the agents. Although the heat production related to eating behavior has been estimated less than 5% of ME, tube-feeding diets decreases HI by about 30%.

Effects of Sorghum Hybrid and Grain Supplementation of Silage-Based Diets on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Passage Rates and Ruminal Metabolism in Growing Steers

  • Bolsen, K.K.;Dalke, B.S.;Sonon, R.N. Jr.;Young, M.A.;Huck, G.L.;Harbers, L.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4호
    • /
    • pp.391-397
    • /
    • 1997
  • Six medium-framed steers, fitted with ruminal cannulas, were utilized in a $6{\times}6$ Latin square design with a $3{\times}2$ arrangement of treatmen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rghum hybrid and grain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passage rates and ruminal metabolism of silage-based diets fed to growing steers. The diets consisted of three wholes-plant silages (a high grain-containing, grain sorghum and middle-season, moderate grain-containing, and late-season, low grain-containing forage sorghums), each fed with or without 25% rolled grain sorghum. No significant interactions occurred between sorghum hybrid and grain supplementation for the digestion or passage rate criteria measured. Ruminal butyrate concentration was the only fermentation characteristic affected by a hybrid ${\times}$ grain supplementation interaction. The grain sorghum silage diets had the highest DM, OM, and ADF digestibilities; the late-season silage diets, the lowest. Digestibility of NDF tended to be highest (p < 0.10) for the grain sorghum silage, whereas starch digestibility was not affected by sorghum hybrid. Ruminal ammonia,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total VFA concentrations were highest for the grain sorghum silage diets. Grain supplementation increased DM and OM digestibilities, but had no effect on digestibilities of NDF, ADF, and starch. Ruminal pH was decreased, but total VFA concentration and acetate : propionate ratio were not affected by grain supplementation.

대두단백질 분해균주 Bacillks subtilis EB464의 선발 및 분해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oy protein-degrading Strain, Bacillus subtilis EB464)

  • 박찬수;민대규;안용선;이지훈;홍순광;김정환;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0-215
    • /
    • 2002
  • 동물사료로 주로 이용되고 있는 대두박의 이용성을 높히기 위한 방안으로서, 전통발효식품에서 대두단백질 분해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EB464로 명명하였다. 분리된 B. subtilis EB464를 대두박에 접종하여 고체배양할 경우, 단백질 분해효소의 최고활성은 배양 24시간 후에 300 PC/g에 달하였으며, 72시간 배양후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20.6%,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2.0%에 달하였다. B. subtilis EB464 균주가 분비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최적 pH는 9.0,최적 온도는 $50^{\circ}C$E.확인되었다. 본 효소는 $40^{\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50^{\circ}C$ 이상에서는 효소활성이 급격히 실활되었으며, pH 6.0에서 10.0가지의 광범위한 pH에서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sp. 의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생산 및 이용에 관한 연구 (The Production of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by Bacillus sp. and Its Utilization)

  • 오평수;고성철;서항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461-466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CGTase 생산성이 높은 균주인 Bacillus sp.를 자연계에서 분리하였고 이 균주의 특성, 분비효소의 특성, 효의 생산조건 및 효소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분리균주는 운동성이 있는 내성포자형성 간균이었고 분비효소의 최적작용조건은 pH 6.0, 45$^{\circ}C$이며 pH 6-10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효소생산조건은 탄소원으로 corn starch 1%, 질소원으로서 corn steep liquor 5%, urea 0.1%, ammonium sulfate 0.25%를 동시에 첨가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본 생산균을 30$\ell$ jar fermentor로 3$0^{\circ}C$, 200rpm, 0.6vvm에서 60시간 정도 배양하였을 때 최대의 효소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효소를 이용하여 stevioside를 acceptor로 하고 전분가수분해물을 donor로 하여 당전이반응을 실시한 결과 상당한 전이효과가 나타났으므로 기타 전이제품 및 cyclodextrin 생산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thanol내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E211의 분리 및 특성 (Screening and Characteristics of Ethanol Tolerant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SE211)

  • 서민재;유상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6-222
    • /
    • 2002
  • 고농도의 ethanol을 갖는 청주를 생산하기 위하여 일본양조협회 Saccharomyces cerevisiae 10호 균주로부터 ethanol 내성 균주 Saccharemyces cerevisiae SE211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는 10%(v/v) ethanol이 포함되어 있는 배지에서의 성장속도가 빨랐으며, 높은 ethanol 농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하였다 또한 ethanol내성, 내삼투압성, 내열성 등이 원균주에 비해 우수하였다. 선발균주의 세포막 성분을 분석한 결과 sterol, phospholipid의 함량은 원균주와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산의 조성비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분리균주는 외부자극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진 세포내 trehalose의 함량이 원균주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선발균주의 ethanol내성 및 ethanol배지에서의 높은 성장속도는 세포막의 fatty acid및 세포내 trehalose함량을 변화시키는 능력이 높은 것에 기인한다고 생각되었다.

포괄담체에 의한 Zymomonas mobilis 균체의 고정화 (Cell Immobilization of Zyrnornonas rnobilis by Entrapment)

  • 한면수;정동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9-469
    • /
    • 1992
  • 세균을 고정화시켜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하여 4종류의 Zymomonas mobilis를 사용하였다. 이들 중 glucose와 sucrose로부터의 에탄올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Zymomonas mobilis KCTC 1534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의 고정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발효 최적온도와 pH는 각각 $33^{\circ}C$와 5.0으로 고정화 균체나 유리 균체에 대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최대 발효 가능온도는 유리 균체가 $37^{\circ}C$인데 비하여 alginate, k-carageenan, agar에 고정화했을 때 각각 43, 37, $40^{\circ}C$로서 균체를 고정화할 경우 유리균체에서 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발효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lginate 고정화 균체는 2% alginate 농도에 건조균체량 11.74g/$\ell$가 최적이었따. 고정화 균체의 활성화는 10% glucose 농도의 생산배지에서 20~25시간을 요 하였고 $4^{\circ}C$에 보관할 경우 calcium chloride 2%를 가한 증균배지에서 약 4주간은 전균체량의 90% 이상이, 10주간에는 80% 이상의 균체가 생존하였다.

  • PDF

Corynebacterium glutamicum에 의한 Lysine 생산에 있어서 산화환원 전위가 발효속도론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ox Potential on the Kinetics of Lysine Production by Corynebacterium glutamicum)

  • 이진희;김성준;이재흥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6-81
    • /
    • 1991
  • 2l 발효조에서 pH6.9, 온도 $32^{\circ}C$일 때 당밀배지를 이용하여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영양요구성 유사체 내성변이주에 의한 라이신 발효시 산화환원 전위 (ORP)가 라이신 발효속도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희석률이 0.1$h ^1$일때 탄소원이 제한되건 로이신이 제한되건 산소가 제한되지 않는 한 최대의 대당수율 24를 보였으며, 이 때의 산화환원 전윈 값은 -60mV와 -100mV 범위에 해당하였다. 산화화원 전위 값이 -130mV의 매우 낮은 용존산소 조건하에서는 대당수율 밀 $q_s, q_p$ 등의 발효 반응속도 상수값들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glvcine, alanine, valine을 포함하는 발효 부산물의 축적량이 매우 높아졌다.

  • PDF

원심 임펠러가 장착된 발효조에서 G. hansenii에 의한 미생물셀룰로오스 생산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Using a New Bioreactor Equipped with Centrifugal Impellers)

  • 칸살만;쉐자드오머;칸타우스;하정환;박중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506-511
    • /
    • 2009
  • 미생물셀룰로오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심(centrifugal) 임펠러와 경사원심(inclined centrifugal) 임펠러가 사용되었다. 발효조 내의 유체흐름 형태와 부피산소전달 계수가 고찰되었으며 원심 임펠러 및 경사원심 임펠러가 장착된 발효조 내에서 G. hansenii PJK 균주에 의하여 미생물 셀룰로오스가 생산되었다. 유체는 발효조 하부에서 원심 임펠러의 실린더 내부를 통과하여 발효조 벽면을 향해 순환되었다. 임펠러의 회전속도 100 rpm에서 부피산소전달계수는 터바인 임펠러 계에 비하여 경사원심 임펠러의 경우는 23%, 원심 임펠러의 경우는 15%에 불과하였다. 하지만 미생물셀룰로오스 생산 불능 돌연변이주로의 전환이 방지되어 20 rpm의 경사원심 임펠러의 회전속도에서 미생물셀룰로오스의 생산량이 터바인임펠러의 최적회전속도 300 rpm에서의 미생물셀룰로오스 생산량과 같았다.

Pseudomonas elodea ATCC 31461에 의한 gellan 생산의 최적 배양조건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for the gellan production by Pseudomonas elodea ATCC 31461)

  • Lim, Sung-Mi;Wu, Jian-Rong;Lee, Jin-Woo;Kim, Sung-K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05-711
    • /
    • 2003
  • Pseudomonas elodea ATCC 31461에 의해 생산되는 미생물 다당류인 gellan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flask상에서 inoculum size, 탄소원 종류 및 농도, 질소원 종류, C/N ratio등을 조사하였다. Gellan 생산을 위한 최적 inoculum size는 5%(v/v)로 나타났으며, 1.0%(w/v)의 glucose에서 2.22의 최대 specific yield 와 $0.03 g/\ell$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ammonium nitrate가 없을 때 최대 생산을 얻을 수 있어, gellan 생산을 위해서 nitrogen limitation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Glucose와 bactopeptone을 이용하여 C/N ratio를 조사한 결과 20에서 gellan 생산이 가장 높게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