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ming method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8초

Development of an Ergonomic Checklist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in Farming - AULA: Agricultural Upper-Limb Assessment

  • Kong, Yong-Ku;Lee, Soo-Jin;Lee, Kyung-Suk;Han, Jun-Goo;Kim, Dae-Mi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81-489
    • /
    • 2011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rgonomic checklist (AULA: Agricultural Upper-Limb Assessment) which can assess the risks of the work-related upper limb disorders of farming tasks in Korea. Background: There are few assessment tools that reflect the current condition of agricultural works as of now. Method: AULA was developed as following three stages. First of all, a physiological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selected 14 upper limb postures which are frequently occurred in farming tasks and then, an ergonomic checklist was developed with determining risk levels of each body posture based on the experimental findings. Lastly, the ergonomic checklist was validated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assessment tools. Results: When comparing the AULA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with the existing assessment tools, it was found that the AULA may get over limits of the existing ones which are sensitive to particular postures, but aren't sensitive to the rest of them. Conclusion: It is predicted that the developed upper limb posture assessment tool which gets over the existing tools' limits and is proper for domestic farm work conditions, will help to reduce musculoskeletal disorders caused by farm works, by assessing farm works more easily and objectively. Application: By further developing the theoretical groundwork on the induction of muscular skeletal system symptoms relating to agricultural works,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level of preventing and managing such muscular skeletal system symptoms in the field of agricultural and farming works, which is relatively less advanced in terms of labor difficulties.

여성농업인의 교육참여 경험과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emale Farmers' Experiences and Needs in Educational Program Participation)

  • 박공주;김경미;이정화;성윤숙;이길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42
    • /
    • 2004
  • Women are unlikely to receive an equal education, compared to men, in rural Korean society despite the equality in labor sharing. To address this issue this research aims to (a)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for farming skills and daily life management in rural communities, and (b) develop a model for educational program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female farmers in order to make them experts in agriculture.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using a group interview method, to 366 female farmers from the Jeonnam, Chungbuk, and Gyeonggi provinces with help of agricultural agents. The major components of the questionnaire dealt with individual peculiaritie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urriculum and training subjects wanted by the female farmers. Educational program content was classified as daily life management, scientific farming and agricultural management skills to create systematic and effective programs. It was found that the critical factor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female farmers are as follows: 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combining daily life management skills and farming skills to make the female farmers experts in agriculture. b.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emale farmers' educational program participation and needs based educational level, age, educational expenditure, farm type, farming experience, and farm sca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considering the fore-mentioned socioeconomic status and farming characteristics. c.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for the female farmer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s a minority group in Korean societ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public relations program to ensure that female farmers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education.

  • PDF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마을 가로환경시설 정비 방안 (A study on Methodology for Street Furniture Improvement with Space Syntax)

  • 권순찬;임창수;김은자;오윤경;윤지은;최진아
    • 농촌계획
    • /
    • 제21권1호
    • /
    • pp.29-39
    • /
    • 2015
  • In farming area,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year after year. And the gap between farming area and the city regarding quality of life is getting bigger and bigger. Besides, it has much poorer ground for living than the city. The current farming village maintenance project is adopting a different system now from the top-down project exclusively led by the government in the past to the bottom-up one reflecting how the residents think positively. Lack of the residents' understanding and education about the maintenance project, however, some of them are just focused on maintenance and development distorted from making a village where people want to live. Accordingly,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rming villages by their types based on field research and spatial analysis using Space Syntax in order to develop more premeditated and effective maintenance plans to perform maintenance in farming area. As a result, When you install streetlights street lights should be installed at places with a high of Connectivity and spatial depth is deep. Based on this method, the research is going to suggest the current status of street furniture improvement in the villages and the proper positions for their future installation.

지중해담치 양식 어업 치패분리장비의 구조적 안전성 고찰 (Structural safety analysis for separator of young Mytilus galloprovincialis in marine farming)

  • 이영주;박상혁;박주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9권4호
    • /
    • pp.328-335
    • /
    • 2023
  • In this paper, among the various facilities used in marine farming, young bivalves of the Mytilus galloprovincialis of marine farming was placed on the deck of the fishing vessel to evaluate the environment conditions and drive shaft movement by rolling affecting the separator for the young bivalves and a clean process. There were a few studies on stress analysis of development facilitie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access the fishing site due to the use of imported equipment and the lack of development of domestic equipment. In this study, stress analysis of the fixed part of separator for young bivalves and its adjacent part was performed on various phases when the vessel was tilted by rolling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addition,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internal blade under the dr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ive shaft by the hydraulic motor was confirmed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s a resul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deck and the separator by rolling was confirmed to have higher stress than that of other parts due to stress concentr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stress occurred on the connection part between blades. Even though the safety of the separator for marine farming was confirmed by structural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age of vessels, the material of the deck, and the corrosion of the deck.

어군행동 원격감시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 2 ) - 양어장에서의 어류 행동 - ( Development of the Underwater Telemetry System to Monitor the Behavior of Fish ( 2 ) - Behavior of the Fish in the Aquafarm )

  • 신형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4호
    • /
    • pp.273-282
    • /
    • 1994
  • This paper describes about the behavior of the lseraeli carp (Cyprinus cartio. body length 43cm) and the Red seabream (Chrysophrys major. body length 35cm) aquacultured by telemetry techniques. The telemetry system consists of a pinger of 50kHz, three omni-directional hydrophones and ultrasonic receivers, a single board computer for the signal processing, two RF transceivers for the data communication, and a personnel computer. Those fish tagged the pingers were tracked by the LBL method, and its location was calculated by the hyperbolic method. The average speed of the lsraeli carp was about 1.0 times of the body length in a farming water tank (24$\times$24$\times$1m), and the Red seabream 1.3 times of the body length in a farming raft (10$\times$10$\times$5m). A variation of the speed of the lsraeli carp was higher than the other one.

  • PDF

Headspace 법을 사용한 유기농업자재 중 잔류 유기용매 분석 (Analysis of Residual Organic Solvent in Environmentally-friendly Farming Materials with Headspace Method)

  • 최근형;공승헌;박병준;문병철;김진효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8-1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업자재 중 잔류 휘발성 유기용매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위해 Headspace-GC 분석법을 matrix 조성을 달리하여 검출능을 중심으로 시험하였다. Headspace sampler내 흡습제처리 혹은 DMSO molar ratio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통해 친수성기를 갖는 유기용매의 분석능이 최대 715% 향상되었으며, 특히 농자재의 보조제로 많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경우 시료 중 농도가 계면활성제의 종류보다 유기용매 분석능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68.5-179.1%). 특히 병해충 관리용 유기농업자재의 보조성분 및 함량이 정확히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유기용매의 함량 정량분석을 위해서는 각각의 분석시료마다 matrix-matched calibration을 통한 정량 분석으로의 접근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가실천 친환경 벼재배 논의 토양특성 및 시비추천량 (Establishment on Fertilizer Recommenda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Rice Paddy with Environment-friendly Cultivation)

  • 양창휴;안승현;김택겸;김선;백남현;최원영;이장희;정재혁;김시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47-352
    • /
    • 2011
  • 친환경농업은 합성농약, 화학비료 등 화학 투입제의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자원의 재활용을 가능케 하여 지역자원과 환경을 보전하면서 장기적으로 일정한 생산성과 수익성을 확보하고 안전한 식품을 생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호남지역 친환경 농업지구 논 토양의 환경특성을 조사하여 토양관리 기준을 설정코자 2007년도에 충남, 전북, 전남지역에서 쌀겨농법 2지구, 쌀겨+왕우렁이농법 8지구, 왕우렁이농법 5지구, 오리농법 3지구로 총 18지구를 선정하여 친환경 농법별 토양화학성을 분석하고 농가설문 및 토양물리성을 조사하였다. 친환경농업지구의 토양물리성중 토양경도는 관행농법보다 낮았으며 특히 쌀겨를 시용한 농법의 토양경도가 다른 친환경농법 보다 약간 낮았다. 또한 친환경농업지구의 토양화학성 중 유효인산과 유효규산 함량은 적정수준보다 약간 낮았으며 친환경농법 중 쌀겨를 시용한 농법의 유효인산과 유효규산 함량은 다른 친환경농법 보다 약간 낮았다. 작물별 시비처방 기준에 따라 토양 양분 부족분에 대한 시비량 ($N-P_2O_5-K_2O$)을 계산한 결과 쌀겨농법에서는 $83-49-30kg\;ha^{-1}$, 쌀겨+왕우렁이 농법 $77-48-30kg\;ha^{-1}$, 왕우렁이농법 $84-42-33kg\;ha^{-1}$, 오리농법 $86-36-34kg\;ha^{-1}$로 나타났다.

농법 및 시기 변화에 따른 논토양의 환경 특성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Properties of Paddy Soils with Regard to Seasonal Variation and Farming Methods)

  • 이태구;박성직;이용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11-3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농법 및 시기에 따른 논토양의 화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행논 11개 필지와 유기논 24개 필지에 대하여 3월, 5월, 8월, 10월에 토양 시료 채취 및 분석을 수행하였고, 실험 분석 결과에 대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농법에 의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NH_4-N$$P_2O_5$이었지만, 시기에 따른 차이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또한 토양내 질소 및 인의 농도는 농법에 의한 영향보다는 시료 채취시기에 따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토양의 전기전도도는 3월에서 10월로 감에 따라서 값이 증가하였다. 토양 유기물은 3월 및 5월에 비하여 8월과 10월에 높게 나타났다. T-N는 3월에서 10월로 지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NH_4-N$$NO_3-N$ 농도는 관행논 및 유기논 모두 5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T-P 농도는 8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에, $P_2O_5$의 경우에는 8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논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농법에 의한 차이보다는 시기에 의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 환경 특성에 대한 분석 및 비교시 시기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금액 추정: 분당, 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An Estimation of Residents' Willingness-to-pay for Urban Farming in the New Development Areas: Focused on Bundang and Dongtan)

  • 임주호;이경환;윤인숙;윤은주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315-322
    • /
    • 2012
  • 최근 도시민의 먹거리와 관련한 환경.안전문제, 고령화로 인한 사회복지정책의 효율성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농업의 다양한 기능이 재조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이나 녹지, 도시농업농장 등 공공용지의 일부를 활용하여 도시텃밭을 임대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신도시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분당과 동탄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주민들의 지불의사와 희망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도시 내 텃밭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여 실제 도시근교의 주말농장 이용자들이 지불하고 있는 텃밭임대비용 및 교통비용과 비교하였다.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를 1.5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농업 이용의사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6%가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일부를 도시농장으로 조성하여 임대할 경우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신시가지의 거주자들에게 도시텃밭에 대한 충분한 수요가 잠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시농업 도입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둘째, 도시텃밭 임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한 결과 1구좌($16.5m^2$ 기준)당 연간 약 23만 6천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수도권의 도시근교나 외곽에 위치한 주말농장의 텃밭임대료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개발사업지구 내 도시텃밭이 조성될 경우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이 기존 주말농장의 임대료 수준보다 높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설명 변수 중에서 성별과 나이, 직업이 도시농업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와 도시농장 방문가능횟수, 도시농장 방문시 희망체류시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USLE모형과 대체법을 이용한 밭농사의 토양유실 저감기능 계량화 평가 (Evaluation on national environmental functionality of farming on soil loss using the USLE and replacement cost method)

  • 현병근;김무성;엄기철;강기경;윤홍배;서명철;성기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61-371
    • /
    • 2002
  • 밭농사에 다원적기능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토양유실저감기능에 대하여 기존에 보고된 결과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그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밭농사의 토양유실량을 USLE모형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각 인자별 값은 다음과 같다. 강우인자(R)값은 429.4, 토양침식성인자(K)값은 0.15, 지형인자(LS)값은 1.72, 작물인자(C)값은 0.275, 토양관리인자(P)값은 0.856이었다. 2. USLE모형에 의한 우리나라 밭농사의 토양유실량은 ha당 연간 26.1톤이었으나, 나지토양의 경우에는 ha당 연간 110.8톤으로서 밭농사에 의한 토양유실량은 나지에 비하여 23% 수준이었으며, 연간 밭농사는 나지토양에 비하여 84.7톤의 토양유실량 저감기능이 있었다. 이것을 밭면적전체로는 연간 62,650천톤에 해당되었다. 3. 밭농사에 의한 토양유실저감량을 객토단가로 환산할 경우 연간 4,974억원에 해당하였다. 4. 토양유실 세부모형중 LS값이 1.72로 매우 높았는데, 밭농사의 공익기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등고선, 대상재배 등 농경적인 접근과 계단전 등의 전환 등 농토목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