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mily friendly polic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여성인적자원의 활용을 위한 가족친화적 정책의 적용 (An Application of Family-Friendly Policy for Use of Female Resource)

  • 정영금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07-118
    • /
    • 2002
  • Many women experience the conflicting demands of work and family lif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mployed women. Their demand for balance of two spheres makes the companies have family friendly policy. Family friendly policy is win-win policy which gives benefits to the employers and the employees by helping the employees to balance of their lives. But this policy has been recognized as the one for women and which only companies have to carry ou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d extend the applicable field of the family friendly policy, and press that the whole society have to be family friendly. So,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family friendly policy in the aspects of company and society. And it showed how the employers, policy makers, general public society and communities support the family by carrying out and applying the policy in USA.

맞벌이 가정의 일-가정 균형을 위한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실시, 활용 및 요구 (Needs and Utilization of Family-Friendly Work Policies for the Work-family Balance)

  • 윤소영;김하늬;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1호
    • /
    • pp.1-21
    • /
    • 200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to develop a family-friendly work policy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is policy. We surveyed the performance of family-friendly work policies, and workers‘ needs and utilizations of 17 family-friendly work policies. We also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tilization of family-friendly work policies.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197 working mothers who have at least one child under age 10.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most-needed family-friendly work policy among working mothers is child care leave 2) Of those family-friendly work policies that are not currently provided, the most-needed policy is family care leave 3) The size of firms, the provision of substitutes, and 40-hour work schedu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provision of necessary family-friendly work policies and 4) In addition, the work place culture is a very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work- and family-friendly policies.

  • PDF

가족친화지원사업의 시행현황과 개선방안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nditions of and Suggestions for Family Friendly Support Services)

  • 정영금;조성은;안재희;김지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4호
    • /
    • pp.83-96
    • /
    • 2013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alternative policies and practices which policy makers can introduce and enlarge for work-family balance of employees. For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gulation of work time and parental leave benefits of employees. And the results of major projects in family friendly support services were examined. Based on these assessment, this study suggested various flexible work arrangements, papa's quota system in parental leaves, various family leaves for family care, establishment of FFSC in every metropolitan area, diversification of consulting project, and enlarging of certification project on family friendly workplace.

가족-일 통합을 위한 가족친화적 정책의 필요성과 방향 (The necessity and recommendation on the family-friendly policy for integrating work and family)

  • 정영금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6권2호
    • /
    • pp.143-155
    • /
    • 2002
  • Nowadays, the conflict of work and family has become a common problem in families due to the increase of working parents. But in Korea, there is a little supporting system which can help them work. So, this study showed the necessity of family-friendly Policy and families' demands to it. Many capitalist countries which have insufficient welfare system effort to integrating work and family by offering a family-friendly policy for working parents. So, policies for family and women have to be family friendly, and all of the corporation, community, school, and government have to support the working families.

  • PDF

가정친화적 여성정책의 현황과 적용 -공공기관에 적용된 정책의 함의를 중심으로-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of Family-Friendly Gender Policy -Focusing on policy implications applied to public institutions-)

  • 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13-21
    • /
    • 2020
  •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저출산 현상이 심화 됨에 따라 일·가정양립을 위한 가정친화적 인사제도의 도입 및 확대를 위한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이 시도되었다.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와 일·가정양립의 어려움이 가장 우선적으로 지목되고 있다. 여성정책의 일환으로 가정친화적 제도, 유연근무제 등 다각적인 차원에서 지원정책이 개진 되었지만 저출산의 대안으로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사회 전반적으로 저출산 현상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파장이 커서,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조직문화개선을 위한 새로운 시각의 접근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사회적 조직내에서의 가정친화적 제도가 갖는 의미는 시사점이 크다. 이런 시각에서 가정친화정책의 일환으로 시도된 유연근무제 등 적용되고 있는 제도의 현황을 공공기관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방법을 중심으로 기존에 적용된 제도의 현황 비교를 통해 함의를 도출하였다. 가정친화정책은 제도개선의 필요성과 확장 차원에서 사회 환경변화에 맞춰 지속성을 갖고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돌봄공동체 리더들이 인식하는 가족친화마을환경 개념에 대한 사례연구 - 제주지역 이주민 돌봄공동체 리더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Concept of Family-Friendly Neighborhoods Recognized by Child Care Community Leaders with a Focus on the Leaders of the Community in Jeju, South Korea)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3호
    • /
    • pp.55-77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 of a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o present the findings to influence the goals of and directions for future policy. This qualita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interviews with six leaders in the child-care community residing in Jeju and Seogwipo, two cities in South Korea. First,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subjects recognized the concept of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as "environments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all neighbors, neighbors take care of children, and all families enjoy neighborhood life." Second,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were characterized as being safe, nature-friendly, and accessible. Third, participants identified family leisure cultural facilities and multipurpose facilities as the spaces that characterize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Lastly, the model of family-friendly neighborhoods needs to be composed of the following three factors: residence, leisure, and economy.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근로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Employees' Behavior)

  • 김정우;김경미;박현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5-92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기업의 경쟁력 강화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행복에 영향을 끼쳐 근로자와 기업이 서로 상생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중 295부가 최종 유효한 응답지로 선택되었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기업문화, 근무시간, 직장상사의 지원과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의 관계를 도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 이직의사,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인지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근무시간이 가족친화인제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직장 상사의 지원이 가족친화인지도에는 무의미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직장상사의 지원은 근로자에게 일-가족 갈등을 줄여주고, 조직몰입, 이직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가족친화제도인지도는 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가족친화제도 인지도는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가족친화제도인지도는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는 기업과 근로자에게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에 따라 기업에서는 가족친화제도가 있음을 적극 알리고 제도를 활용하고자 하는 직원에게 적극 권장 및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족친화제도를 받아들이는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간관리자급을 중심으로 한 인식전환교육과 기업문화로의 정착을 위한 전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직장 내 가족친화제도가 취업모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on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 임중경;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1호
    • /
    • pp.97-11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to help develop family-friendly policies which aid in the ability for employees to balance family and work, an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se policies at work sites. We surveyed the performance and usage of work-family balance policies among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 also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job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37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 found that family economic status, working mother's experience of family leave or maternity leave, and easiness of policy use are important factors in a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Especially when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working mothers' job satisfaction was the experience of family leave or maternity leave. In addition, the easiness of family-friendly policy us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working mothers' job-satisfaction.

  • PDF

기업의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연령 집단별 비교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policies in the workplace on the childbearing intention of married-employed women: A comparison of two age groups)

  • 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151-17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policies in working places and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married-employed women. The analysis included 415 married working women from the 2012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bearing intentions of the women were age, education, number of children under age 18, childbirth leave, childcare facilities, and flextime. The women whose work-places provided childbirth leave had stronger childbearing intentions. The women under age 35 had stronger childbearing intentions when their work-places had flextime policies. In conclusion, my recommendation is that the govern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micro-personal factors, such as the Family-friendly Workplace Practices proposed in this study, when executing policies to reverse the current trend of low fertility.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Perceptions of Family-friendly Management and Family-friendly Company Certification in Small and Medium Size Business)

  • 김미영;손서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301-311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규모 기업이 밀집해 있는 지역에 소재한 중소규모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부터 11월까지 기업 대표 및 인사담당자 6인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이 속한 기업 중 가족친화인증을 받은 기업은 없었으나, 모든 기업에서 출산전후휴가, 육아휴직, 근로시간 단축 등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중소규모 기업에서도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소규모 기업의 특수성, 제도 확대에 따른 부담, 제도 도입의 복잡성 등과 같은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각 기업의 상황에 따라 가족친화 인증 참여 의지는 다르게 나타났으나, 연구참여자들은 가족친화경영의 필요성을 인지함에 따라 CEO 교육 확대, 가족친화제도 도입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 홍보 확대 및 제도의 간소화 등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 확대 방안으로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중소규모 기업의 가족친화경영 및 가족친화인증 참여를 확산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