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Study on the Concept of Family-Friendly Neighborhoods Recognized by Child Care Community Leaders with a Focus on the Leaders of the Community in Jeju, South Korea

돌봄공동체 리더들이 인식하는 가족친화마을환경 개념에 대한 사례연구 - 제주지역 이주민 돌봄공동체 리더를 중심으로 -

  • Cha, Sung Lan (Dept. of Child Education and Counseling, Daejeon Univ.)
  •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Received : 2020.06.15
  • Accepted : 2020.07.28
  • Published : 2020.08.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cept of a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o present the findings to influence the goals of and directions for future policy. This qualita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interviews with six leaders in the child-care community residing in Jeju and Seogwipo, two cities in South Korea. First,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subjects recognized the concept of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as "environments in which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all neighbors, neighbors take care of children, and all families enjoy neighborhood life." Second,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were characterized as being safe, nature-friendly, and accessible. Third, participants identified family leisure cultural facilities and multipurpose facilities as the spaces that characterize family-friendly neighborhood environments. Lastly, the model of family-friendly neighborhoods needs to be composed of the following three factors: residence, leisure, and economy.

Keywords

References

  1. 김소영.선보영.전미영.남지민 (2017). '가족 친화 지역사회 조성' 정책 10년 평가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김창석(1989). 대도시 집합주거단지의 근린주구 계획 기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4(3), 135-151.
  3. 김혜영.홍승아.이택면.선보영.진미정.홍성만(2009).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 노신애.진미정(2013). 지역사회 범위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가족친화성 평가 :서울시 거주 미취학 자녀 부모를 대상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3), 279-294.
  5. 박주희(2010). 가족친화적 생활환경 요소가 유자녀 기혼남녀의 다중역할 수행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거주환경 만족도, 가족지원시설 만족도, 가족 지원 프로그램 만족도, 양육 및 교육환경 만족도, 생활환경 정보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53-66.
  6. 박희봉(2002). 사회자본이론의 논점과 연구경향.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정부학 연구, 8(1), 5-44.
  7. 손태주.차성란(2019). 제주지역 사회적 돌봄 공동체 활성화 방안 - 제주형 사회적 돌봄 공동체 사업을 중심으로.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8. 유재언.진미정(2013). 보육서비스 인프라가 영유아 부모의 지역사회 가족친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25개구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63-79. https://doi.org/10.7466/JKHMA.2013.31.3.063
  9. 유현숙.곽현근.배지연(2006).여성의 동네 사회 자본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22(2), 315-337.
  10. 이송지.김혜장.이경란.곽영선.정영화(2009). 가족친화 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11. 이영범.배득종.이기주.오영균.주운현.한상일(2012).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2. 이화진(2016). 제주 정착주민 실태조사 및 지원 방안. 제주 여성가족연구원.
  13. 장임숙.권진아(2015). 가족친화마을 모델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연구. 울산여성가족개발원.
  14. 정가원.홍승아.김난주.김수진.성지혜(2019). 가족친화 지역사회 환경 조성 정책 실효성 강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5. 조막래.김한별(2015). 서울시 공동육아지원사업의 지속가능성 방안연구.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16. 진미정(2018). 가족정책 관점에서의 가족친화 지역사회 개념화. 한국가족복지학, 23(2), 337-361.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7. 차성란(2010).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요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63-76.
  18. 천현숙(2004). 대도시 아파트 주거단지의 사회 자본. 한국사회학, 38(4), 215-247.
  19. 최인희.홍승아.선보영.장명선(2016). 가족 친화 사회환경 조성 정책 추진 강화 방안. 여성가족부.
  20. 최인희.김은지.김영숙.송효진.선보영.최진희(2018). 제 4차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1. 홍승아.김혜영.류연규(2007).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구축방안 연구 : 직장.지역사회의 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2. Coleman, James S.(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supplement). 95-120.
  23. Putnam, Robert D.(1993a).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Putnam, Robert D.(1993b).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s 4(13). 35-42.
  25. 국립국어원표준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