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to-face class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29초

얼굴 등록자 인증을 위한 클래스 구별 특징 벡터 기반 서포트 벡터 머신 (Class Discriminating Feature Vector-based Support Vector Machine for Face Membership Authentication)

  • 김상훈;설태인;정선태;조성원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1호
    • /
    • pp.112-120
    • /
    • 2009
  • 얼굴 등록자 인증은 얼굴 인식을 기반으로 인증하고자 하는 사람이 등록자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2클래스 분류 문제이다.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이하 SVM)은 2 클래스 분류 문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얼굴 등록자 인증의 분류에 사용되었던 기존의 SVM들은 각 클래스 (등록자 클래스, 미등록자 클래스) 구성원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훈련되고 인증된다. 이렇게 훈련 세트 구성원들의 이미지 특징 벡터들로 훈련된 SVM은 인증시의 얼굴 이미지가 SVM 훈련 세트의 얼굴 이미지들의 조명, 자세, 표정들과 다른 인증 환경의 경우나 등록자의 가입 및 탈퇴 등으로 등록 클래스나 미등록 클래스의 구성과 크기에 변동이 생기는 인증 환경의 경우에, 강인한 성능을 보이기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강인한 얼굴 등록자 인증을 위하여, 효과적인 클래스 구별 특징 벡터 기반 SVM을 제안한다. 훈련과 인증에 사용되는 특징 벡터는 2개의 클래스를 잘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을 반영하도록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훈련된 제안된 SVM은 등록자 클래스 구성의 변화 및 얼굴 이미지에 있어서의 조명, 얼굴 자세, 얼굴 표정의 변화에 덜 영향을 받는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SVM에 기반을 둔 얼굴 등록자 인증 방법이 기존 SVM에 기반을 둔 방법보다 성능이 더 나으며, 등록자 클래스 구성의 변화에도 강인함을 보였다.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es on Class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fter COVID-19

  • Kim, Young-S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65-172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간호대학생의 비대면 온라인수업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K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n=133)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형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성취동기, 상호작용,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가 수업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기조절학습은 성취동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조절학습, 성취동기 및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비대면 온라인수업방법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공과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교수자 평가와 경험 분석 (Analysis of Instructors' Evaluations and Experiences i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 이현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53-6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in the post-corona era by analyzing the instructors' evaluations and experience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operated in the COVID-19 pandemic. According to the overall evaluation results of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from instructors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instructional design'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areas including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management, learning support, learning evaluation, and instructional outcomes.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online experimental or practical classes was found to be relatively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instructors need to consider several instructional strategies such as active interaction with learners, clear explanation, and the use of technology in non-face-to-face online engineering classes.

플립러닝형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적용한 수업 설계: Digital Painting Tool 수업을 중심으로 (Class Design Applying Flipped Learning Combined with Project-Based Learning: Focusing on Digital Painting Tool for Class)

  • 성례아;공현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9권1호
    • /
    • pp.29-45
    • /
    • 2022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requires people to have the ability of integrated thinking, critics, sensitivity, and creativity in an integrated manner. Therefore, teaching methods are expected to become more suitable for the trend. In this belief, current teacher-leading education method should move to students' self motivating one and consist of programs in which students voluntarily involve. In this reason, this study suggests FPBL educational method model that is combines project-based learning with flipped learning by analysing preceding research and digital painting tool class was designed by applying i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designed class model to the class, all of the class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interaction were evaluated positively. Problems such as limitations of project classe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large amount of learning before class, and reduced concentration during class were found. Therefore, when the FPBL class model is conducted non-face-to-face, it will be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the role of the instructor, provide lecture videos summarizing the core contents, and improve concentration by providing active participation and fun using various digital tools. The result of the study looks significant by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PBL model not only in design education but also other educational settings.

TOEIC의 디지털 융복합 블렌디드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iveness in Face-to-face versus Blended Learning of TOEIC)

  • 최미양;한태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0호
    • /
    • pp.517-525
    • /
    • 2015
  • 본 연구자는 TOEIC 블렌디드 학습을 운영하면서 면대면 학습과 학습효과를 비교할 필요성을 느꼈다. 학습효과가 떨어질 경우에는 블렌디드 학습을 중단하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의 한 학기 동안의 성적 향상도, 학습자들의 자가진단 점수, 온라인 과제 참여도와 문제풀이 평균점수를 활용하여 두 학습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를 하기 위해 t-test, 피어슨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큰 차이는 아니라 할지라도 블렌디드 학습이 면대면 학습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블렌디드 학습의 학습자들이 오프라인 수업과 수업 게시판을 통해 교수자와 소통할 수 있는 반면, 매주 온라인 수업의 출석을 독려하는 문자를 받았으며, 학습자들의 온라인 수업의 참여가 온라인 과제 또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영향을 끼친 탓이라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TOEIC 블렌디드 학습을 운영하고자 하는 교수자들에게 많은 참고가 될 것이다.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실시간 수업 설계 및 개발 연구 : 기독교교육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ractive Non-Face-to-Face Real-Time Classes using EduTech : A Cas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Class)

  • 남선우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343-382
    • /
    • 2021
  • 본 연구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기독교교육과 수업에 적용한 사례 연구로 수도권에 위치한 A대학교의 기독교교육과에 개설된 교직필수 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 수강생 20명을 대상으로 2020년 1학기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대면 수업과 상호작용, 에듀테크와 상호작용에 관한 이론적 연구를 진행 한 후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설계 및 개발했다.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은 Flipped-PBL을 기반으로 상호작용적 에듀테크를 적용시키는 과정으로 개발했다. 또한 비대면 상황가운데서 진행될 Flipped-PBL 과정에 따라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에듀테크를 선정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수업 설계 및 개발의 과정에 있어서는 기독교교육과를 대상으로 하는 교직과목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특성을 살려 기독교교육적인 특성을 살려 실천적 사역현장인 교회를 중심으로 문제를 개발하고 수업을 진행했다. 수업 적용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수업에 대해 높은 만족도와 흥미도는 보였으며, 둘째, 학습의 공간과 생활의 공간에 긍정적인 전이가 나타났다. 셋째,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은 학습 간에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했다. 특히 상호작용적 에듀테크와 학습방법은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학습의 효율성과 몰입, 그리고 만족도가 높아짐으로 인해 대면수업의 대안으로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할 수 있었다. 즉 앞선 학습의 만족도와 흥미, 학습 공간의 전이 또한 수업 간에 상호작용적 에듀테크를 활용한 교육방법을 통해 발생된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가능했다. 그러나 학습에 대한 만족의 저해 및 상호작용의 방해 요인으로는 통신(인터넷) 환경적 요인과 학습자의 온라인 기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주요함이 나타났다. 학습 중에 통신 환경의 장애는 상호작용적 에듀테크를 활용하는데 방해를 일으켜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지 못하게 하였고, 이로 인해 학습의 만족과 흥미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가지고 왔다. 또한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학습환경도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방해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그럼으로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설계함에 있어서 사전에 에듀테크 및 학습 방법에 대한 충분한 학습자 교육과 통신(인터넷) 환경에 대한 점검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시대 가운데에 적극적인 상호작용과 학습과 생활의 일치적 전이가 가능한 대안적 교육방법으로서 에듀테크를 활용한 상호작용적 비대면 수업을 기독교교육과 수업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확인했다. 제한적인 기간과 인원이라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사례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대면수업의 대안으로서 온라인 수업의 방향성을 제시해야 할 시대 속에서 대안적 기독교교육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했다.

사각형 특징 기반 분류기와 AdaBoost 를 이용한 실시간 얼굴 검출 및 인식 (Real-time Face Detection and Recognition using Classifier Based on Rectangular Feature and AdaBoost)

  • 김종민;이웅기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33-139
    • /
    • 2008
  • Face recognition technologies using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cognize faces by deciding representative features of faces in the model image, extracting feature vectors from faces in a image and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m and face representation. Given frequent recognition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oint-to-point distance approach, this study adopted the K-nearest neighbor technique(class-to-class) in which a group of face models of the same class is used as recognition unit for the images inputted on a continual input image. This paper proposes a new PCA recognition in which database of faces.

  • PDF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및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Time-Management Ability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arning Flow in Adolescent: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 김은진;정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43-65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및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중·고등학교 청소년 363명이었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통계 분석 방법은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비대면 수업보다 대면 수업에서 학습몰입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시간관리능력, 부모 학습관여 및 학습몰입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시간관리능력이 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시간관리능력이 비대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관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가 높아질수록 청소년들의 시간관리능력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강하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학습몰입의 증진을 위한 부모의 긍정적 관여의 중요성과 시간관리능력 증진 방법을 논의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SW 교육 프로그램이 소외계층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non-face-to-face online SW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from the underprivileged class)

  • 이재호;이승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207-215
    • /
    • 2021
  • 컴퓨팅 사고력이 세계적으로 중요한 역량으로 주목받으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 교육이 도입되었으며, 2018년부터 교육과정에 SW 교육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열악한 교육 환경에 있는 교육 소외계층은 SW 교육의 사각지대에 있으며, 체계적인 SW 교육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집단 감염병을 통해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267명의 교육 소외계층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SW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상화, 문제분해, 알고리즘, 자동화, 데이터 처리의 요소로 구성된 컴퓨팅 사고력 검사를 교육 전과 후에 실시한 결과 컴퓨팅 사고력 전체 점수와 다섯가지 모든 요소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p<0.001). 다섯 가지 요소 중에서는 데이터 처리 점수에서 가장 높은 점수의 향상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SW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교육 소외계층 초등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비대면 원격수업 프로그램 개발 - 대학 소프트웨어 실습 중심으로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Remote Learning Program - focusing on University Software Practice)

  • 김상근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59-66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19(COVID-19)의 범유행 장기화는 전 산업에 걸쳐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육분야에서 온라인 수업(비대면)은 학습 준비 부족과 학습자의 수업 불만 등 온라인 수업에 부정적인 인식이 일부 존재했다. 2020년 실태 조사에 따르면 비대면 수업에 비중은 약 56%이고, 수업 형태가 스트리밍 실시간 수업과 영상 콘텐츠 기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본 연구는 2020~021년 설문 조사(소프트웨어 활용 실습수업 대학생)를 통해 온라인 수업이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실증 분석하고, 세부 프로그램과 개발 방안(구현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연구는 코로나 사태 종식 이후 각 교육기관의 온라인 학습 개발의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