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그릿, 집행기능 곤란 및 미디어기기 과의존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cademic Stress, Gri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 공영숙;임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387-400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gri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Data on 1,132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the 11th (2018)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Academic Stress Scale, Grit Scale-Children, Child-Adolescent Self-reporte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creening Questionnaire, and K-Internet Addic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with Pearson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ldren's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grit. 2) Children's gri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i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3)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media device addiction. 4)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media device addiction was mediated by their grit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found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for children's addiction to media devices. We suggest that children's grit be improved, and their academic stres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e reduced to prevent and mediate children's media device addiction.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어머니와 담임교사 평정에 따른 잠재집단 탐색 및 학교적응, 학업수행 차이 검증 (Exploring the Latent Classes in Student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y Mother and Teacher: Multivariate Analysis across School Adap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8-4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평정 결과에 따른 최적의 잠재집단을 찾고, 확인된 잠재집단에 따라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학업수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년도), 9차년도(2016년도) 자료의 1,012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초등학교 1학년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어머니와 담임교사의 평정 결과에 따른 잠재집단은 '일치되게 집행기능곤란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 '어머니보다 담임교사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 '담임교사보다 어머니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의 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잠재집단의 특징은 초등학교 1학년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어머니와 담임교사 간 평정 일치도가 높은 집단과 평정 일치도가 낮은 집단이 공존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 확인된 세 유형의 잠재집단에 따라 초등학교 2학년 시기의 학교적응, 학업수행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학교적응의 4개 하위요인 중 3개, 학업수행 하위 요인 모두에서 '일치되게 집행기능곤란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이 '담임교사보다 어머니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과 '어머니보다 담임교사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담임교사보다 어머니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이 '어머니보다 담임교사가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더 높게 지각한 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학업수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집행기능곤란 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담임교사의 중다 평정 결과에 기초한 프로파일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에 기초한 교육적 처치를 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부모-아동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An Effect of Parent-Child Interactions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최혜선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1-99
    • /
    • 2021
  • 본 연구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이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아동의 학업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8차년도(2015년, 초1), 9차년도(2016년, 초2), 10차년도(2017년, 초3)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부모-아동 상호작용,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아동의 학업수행 변인에 모두 응답한 559명의 아동과 가정이다. 자료는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과 아버지-아동 상호작용은 아동의 학업수행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아동의 학업수행에 유의하게 정적인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학업수행에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과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중요함을 밝혔다.

학령 초기 아동의 미디어 이용시간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Longitudinal Effects of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박은영;심보민;김윤서;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233-243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Longitudinal data to examine the hypothetical model were drawn from the eighth (2015) through tenth (2017)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A total of 581 children (293 boys and 288 girls) and their mothers were includ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arly school-age children's media usage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Second, neither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nor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found to directly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ird,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shown to indirectly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via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other words, higher levels of media usage by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during the first grade lead to greate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fter a year, which, in turn, lead to a low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in the third grade.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to develop practical support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others while they are performing their role as a parent and for children in maintaining suitable levels of media usage during early childhood.

초등학교 3학년의 미디어기기 이용과 집행기능 곤란과의 관계: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Device Use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ird Grade: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 정은화;이현아;이지영;이강이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523-534
    • /
    • 2019
  • This study identifies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media devices, communication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for third grade students, as well as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Data from the 10th (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as employed (N=557).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used along with SPSS 25.0(IBM Co., Armonk, NY, U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the third-grad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edia device use. While also,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Media devices use and communication abil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has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use of media devices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The difficulty of executive function showed a reciprocal increase to a child's use of media devices and indicated a discriminatory effec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mmunication ability is important as a personal factor for children who control the negative effects of media de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support an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a child's communication ability.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이 노인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imultaneous Dual-Task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in Older Adults)

  • 전유진;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23-41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동시적 이중과제 훈련을 적용하였을 때 실행기능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PubMed, EMBASE, CoChrane, Web of Science, RISS를 이용하여 지난 10년간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선정 및 배제 기준을 통해 최종 7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 논문에 대한 PEDro 질적평가와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선정된 7편의 논문은 모두 무작위 대조군 설계로, PEDro Scale 7점 이상의 높은 편에 속하였다. 이중과제 훈련의 실행기능 효과를 보기 위한 평가도구로 4편의 문헌에서 선로잇기검사(Trail Making Test)를 사용하였고, 2편에서 색선로잇기검사(Color Trail Test)를 사용하였으며, 3편에서 스트룹검사(Stroop test)를 사용하였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적인 실행기능의 향상은 0.38로 작은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선로잇기검사와 색선로잇기검사는 0.37, 스트룹검사는 0.34로 작은효과크기를 보였다. 전체적인 실행기능 효과와 선로잇기검사, 색선로잇기검사의 효과크기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이중과제 훈련이 노인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지만, 이중과제 훈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훈련의 난이도 설정이 중요하며,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다양한 평가도구와 실제 이중과제 조건에서의 수행도를 평가하는 평가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노인들의 실행기능 향상 훈련을 하는데 적절한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치매 발현을 늦추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유방암 환자에서 화학요법관련 인지기능저하의 발생률과 발생양상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 박진희;배선형;정용식;정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8-128
    • /
    • 2015
  • Purpose: Evidence suggests that some patients with breast cancer experience cognitive difficulties following chemotherapy. This longitudinal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trajectory of cognitive function over tim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Methods: Participants were 137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ey completed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Cognitive Function before adjuvant therapy (pretest), toward the end of adjuvant therapy (posttest), and 6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adjuvant therapy (follow-up test). Of the patients, 91 were treated with adjuvant chemotherapy and 46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made up the comparison group. A reliable-change index and repeated-measure ANOVA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At the posttest point, over 30% of patients showed complex cognitive impairment and reported greater difficulty in subjective cognitive function. At the follow-up test point, 22.0% of patients exhibited complex cognitive impairment and 30.8% of patients complained of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Repeated-measure ANOVA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after receiving chemotherapy followed by small improvements 6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chemotherapy in cognitive domains of change for attention and concentration, memory, executive function, and subjective cognitive fun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may be associated with objective and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the potential risk factors and predictor of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changes. Also nursing interven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cognitive impairments should be developed and tested.

Improving safety performance of construction workers through cognitive function training

  • Se-jong Ahn;Ho-sang Moon;Sung-Taek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2호
    • /
    • pp.159-166
    • /
    • 2023
  • Due to the aging workforc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South Korea, the accident rate has been increasing. The cognitive abilities of older workers are closely related to both safety incidents and labor productivi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cognitive abilities through personalized training based on cognitive assessment results, using cognitive training content, in order to enable safe performance in labor-intensive environments. The provided cognitive training content includes concentration, memory, oreintation,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Difficulty levels were applied to each content to enhance user engagement and interest. To stimulate interest and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articipants, the difficulty level was automatically adjusted based on feedback from the MMSE-DS results and content measurement data.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individual training scenarios have been set differently to intensively improve insufficient cognitive skills, and cognitive training programs will be developed to reduce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through measured data and research. Through such simple cognitive train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duction of accidents in the aging construction workforce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social costs associated with prolonged construction periods caused by accidents.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eat-Keeping Game Through Smartphone Applications on Executive Func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설예림;김진경;박소연;강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3호
    • /
    • pp.81-92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박자 맞추기 게임이 실행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달 지연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사례 연구 방법 (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다. 독립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으로, 노래가 나오는 화면을 보고 화면에서 나타나는 검은색 타일을 누르는 게임이다. 박자 맞추기 게임은 주 3회기, 휴식 시간 포함 20분 동안 총 7회기 진행하였다. 종속 변인은 박자 맞추기 게임이 대상자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 '시각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에는 '아동 색 선로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와 '토막짜기(Block design)', '숨은 그림 찾기(Finding hidden picture)'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는 3명의 대상자 모두 독립 변인인 박자 맞추기 게임의 수행도가 향상되었고, 종속 변인인 '시각운동속도', '시각 주의력', 집중력의 실행기능도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박자 맞추기 게임이 발달 지연 아동의 실행기능 향상에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기초로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가 어렵고 집중력이 부족한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학습 및 중재에 효과적인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

학령기 아동의 CBCL 조절곤란프로파일(Child Behavior Checklist Dysregulation Profile)의 요인구조와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Factor Structure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Dysregulation Profile for School-aged Children)

  • 김은영;하은혜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1호
    • /
    • pp.17-3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 조절곤란프로파일(Child Behavior Checklist Dysregulation Profile; CBCL-DP)의 요인구조를 조사하고, CBCL-DP특성을 보이는 집단(임상군)과 그렇지 않은 집단(정상군)간 부적응 및 문제행동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CBCL-DP의 가장 적합한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3가지 경쟁모형에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단일요인모형(One-factor)과 2차요인모형(Second order)보다 Bifactor모형이 가장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가장 적합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관련 변인들과의 회귀경로를 계산한 결과 Bifactor모형에서 CBCL-DP는 부모가 보고한 집행기능곤란과 담임교사가 보고한 학교적응 및 강점난점의 모든 하위요인들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불안/우울, 공격행동, 주의집중문제의 3가지 요인들은 차별화된 연관성을 보였다. CBCL-DP의 특성을 나타내는 집단의 부적응 및 문제행동 수준을 CBCL-DP 특성을 보이지 않는 정상군과 비교한 결과, CBCL-DP 특성을 보이는 아동은 정상군 아동보다 집행기능 곤란 정도가 더 높았으며,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CBCL-DP는 특정 증후군(AAA)보다 여러 가지 다양한 측면에서 부정적 결과와 관련이 있었으며, 선행연구들의 요인구조와 본 연구 표본이 부합하고 있다는 점은 광범위한 조절곤란 증후군으로 CBCL-DP를 개념화하는데 일관되고 통합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했음을 시사한다. 또한 CBCL-DP는 정서·행동문제가 결합된 고위험군 아동을 조기발견하고 중재함에 있어 학교 및 상담 장면에서 심층적이고 전문적인 진단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