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osom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4초

EGCG가 포집된 Ethosome의 제조와 특성조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GCG Entrapped Ethosome)

  • 곽효정;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18권2호
    • /
    • pp.130-135
    • /
    • 2007
  • EGCG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ethosome에 포집을 시도하였다. 물에 에탄올을 첨가해서 EGCG의 용해도를 높임으로써 ethosome에 적정량의 EGCG이 포집될 수 있도록 하였다. EGCG 수용액의 농도와 ethosome 막을 구성하는 지질의 조성은 ethosome 입자크기와 포집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고 ethosome의 액정상 형성은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측하였다. EGCG가 수용액 상태로 있을 때와 ethosome에 포집되어 있을 때, UV 또는 고온의 상태에서의 안정성을 비교한 결과 ethosome에 포집된 EGCG의 안정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Ethosome에 토코페롤의 첨가는 UV에 의한 EGCG의 분해를 지연시켰다.

Ethosomes의 포집효율과 입자크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ntrapment Efficiency and Particle Size of Ethosomes)

  • 진병석;이상묵;이광희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38-143
    • /
    • 2006
  • Ethosome은 에탄올에 용해된 레시틴을 친수성 용액으로 수화시켜 만들어지는 액정형 베시클이다. Ethosome을 약물전달체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베시클의 높은 포집효율과 작은 입자크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ethosome의 포집효율과 입자크기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Calcein을 친수성 지표물질로 사용하여 ethosome을 만들고, 구성 성분비와 제조조건에 따른 ethosome의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에탄올과 calcein 용액의 첨가량 레시틴 중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 제조온도, 교반속도 및 PBS 첨가방법 등이 ethosome의 특성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음파 처리를 한 경우에는 ethosome의 포집효율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강한 초음파 진동에 의해 베시클에 포집되었던 성분이 방출되었기 때문이다.

소수성 플라보노이드인 루테올린을 함유한 Ethosome의 제조 및 특성조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thosome Containing Hydrophobic Flavonoid Luteolin)

  • 이상민;최문재;이영무;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21권1호
    • /
    • pp.40-45
    • /
    • 2010
  • 소수성 플라보노이드인 루테올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의약이나 화장품 분야에 널리 활용하기 위해서 ethosome에 루테올린 포집을 시도하였다. 편광현미경과 열분석기인 DSC 등을 사용하여 액정의 형성과정이나 열적 특성 등을 관찰하였다. 에탄올에 용해된 레시틴 혼합물에 PBS 완충용액 첨가에 따른 W/O에서 W/O/W로의 상 전환 시점은 전도도 변화로 관측될 수 있었다. Ethosome을 구성하는 성분 및 조성에 따라 입자크기가 달라지는데 레시틴에 루테올린을 10% 정도 혼합하여도 입자크기에 별 영향이 없었다. 루테올린이 ethosome에 포집되었을 때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DPPH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Ethosome의 안정화 효능은 토코페롤 첨가에 의해 더욱 향상되었다.

친수성 L-ascorbic acid와 소수성 α-tocopherol을 모두 포집하는 ethosome의 특성 (Coencapsulation of L-Ascorbic Acid and α-Tocopherol in Ethosomes and Their Properties)

  • 임윤미;전윤경;박세연;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368-373
    • /
    • 2014
  • 친수성 아스코르빈산(L-ascorbic acid)과 소수성 토코페롤(${\alpha}$-tocopherol)을 모두 함유하는 ethosome 베시클을 제조하면서 이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Ethosome에 포집되는 아스코르빈산 수용액 농도가 증가할수록 베시클 입자 크기는 작아졌다. 토코페롤은 HPC에 혼합되어 ethosome 베시클 액정막의 구성 성분이 되는데 토코페롤 혼합에 의해 베시클 입자크기와 아스코르빈산 수용액의 포집효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그러나 혼합비율이 25 wt% 이상이 되면 베시클 막이 불완전한 액정구조로 변하면서 입자크기는 크게 증가하고 포집효율은 크게 감소하였다. 아스코르빈산과 토코페롤이 함께 ethosome에 포집되어 있을 때 항산화 효능이 고온($40^{\circ}C$)에서도 5주간 안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UV 조사 실험에서도 아스코르빈산은 수용액 상태로 있을 때에 비해 ethosome에 포집되어 있을 때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나노 에토좀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reparation of Nano Ethosome Loaded with Resveratrol)

  • 서동환;윤종혁;김연준;변상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5-112
    • /
    • 2015
  •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천연 폴리페놀이며 피부 손상, 자외선 및 병원성의 공격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다. 본 연구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한 에토좀의 최적의 제조 조건을 찾기 위해 시도하였다. 에토좀은 수화액정법을 응용하여 제조하였다. 에토좀의 봉입효율 및 입자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에토좀의 입자 사이즈는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봉입효율은 HPL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에토좀 입자의 크기는 111.2 ~ 112.8 nm이고, 봉입효율은 81.25 ~ 88.75%임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제조 조건으로는 레시틴 : 레스베라트롤 : 콜레스테롤 : 에탄올 = 2.0 : 0.08 : 0.05 : 20.0% (w/w)의 비율로 제조된 경우임을 확인하였다.

Ethosome에 캡슐화된 Palmitoyl Tripeptide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osome-Encapsulated Palmitoyl Tripeptide)

  • 이연정;이윤섭;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25권6호
    • /
    • pp.570-576
    • /
    • 2014
  • Palmitoyl tripeptide (M330)는 최소 저해농도(MIC) 결정 실험에서 기존 화장품 방부제인 메칠 파라벤, 페녹시 에탄올보다 적은 농도로도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화장품 제형에 M330을 혼합하면 점증제인 carbopol (carboxy vinyl polymer)과의 정전기적 인력 결합으로 침전이 생기면서 점도가 떨어지고 항균효과도 크게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났다. 따라서 화장품 제형에서 M330의 항균효과를 회복시키고 제형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ethosome 베시클로 M330의 캡슐화를 시도하였다. M330을 ethosome에 캡슐화하여 화장품 제형에 첨가한 결과 침전이 형성되지 않았고 캡슐화되지 않은 M330을 첨가했을 때보다 점도의 감소폭이 적었다. 챌린지 테스트를 시행한 결과, M330을 캡슐화하여 첨가했을 때 E. coli나 P. aeruginosa 등의 그람 음성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더욱 향상되었지만 그람 양성균인 S. aureus와 진균인 C. albicans에서는 캡슐화에 의한 효과가 없었고, 특히 C. albicans에서는 1주일 동안 생균수의 감소가 전혀 없었다. M330에 EDTA를 혼합하여 실시한 챌린지 테스트 결과 C.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두 성분을 함께 캡슐화 했을 때는 더욱 빠른 속도로 균이 사멸하였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에토좀 제형에 관한 연구 (Eth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 양현갑;김혜진;김해수;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90-195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전달시스템으로 에토좀을 제조하고 입자크기, 포집효율 및 피부 투과를 평가하였다. 0.06% 사자발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담지한 에토좀은 3주 동안 보다 더 안정하였고 일정한 입자크기를 유지하였다. 0.06%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287.05{\pm}0.25nm$, 포집효율은 $51.96{\pm}0.01%$였다. 피부 투과 실험 결과, 에토좀 제형은 일반 리포좀이나 20% 에탄올 용액에서 보다 큰 피부 투과능을 보여주었다.

DL-HGF를 주성분으로 한 ethosome 및 liposome 제형화합물이 발모 촉진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thosome and Liposome Formulation Entrapped DL-HGF to Hair Growth Activity in Animal Model)

  • 김현우;정용준;이동규;한상근;정의수;김희택;강세찬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0
    • /
    • 2009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L-HGF to hair growth activity in mouse, various kinds of ethosome and liposome formulations entrapped DL-HGF were produced 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Methods : The B16/BL6 mice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vehicle control (Con) group, Et-1-applied group, Et-2-applied group, LP-1-applied group, LP-2-applied group. Active hair growth (anagen) was induced in the back skin by application of a waxosin mixture with subsequent depilation and the activity of hair growth was measured by macroscopic observation and histology. Results : In vehicle control group, there was no hair growth activity during experiment period. In Et-1-applied group, the rate of hair growth was about 100%, LP-1-applied group and Et-2-applied group showed 70-80% and 40-50% of hair growth rates, respectively. The rate of hair growth of LP-2-applied group was lower than other applied groups (20-30%). In H/E staining, Numerous hair folicles and hair shafts were observed in Et-1-applied group and other groups showed lower level of hair folicles and hair shafts formation than Et-1-applied group, Conclusion : Et-1 formulation showed highest hair growth activity than other ethosome and liposome formulations entrapped DL-HGF.

  • PDF

Isoquercitrin의 세포 보호 작용과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리포좀 제형 연구 (Cellular Protective Effect and Lip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Isoquercitrin)

  • 조나래;구현아;박수아;한샛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3-11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H_2O_2$와 rose bengal로 처리된 HaCaT 세포에 있어서 isoquercitrin의 세포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Isoquercitrin의 피부 전달시스템으로 에토좀 및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고 입자크기, 포집효율 및 피부 흡수 증진 능력을 평가하였다. Isoquercitrin은 HaCaT 세포에 대해 50 ${\mu}M$의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5 mM의 $H_2O_2$ 및 25 ${\mu}M$의 rose bengal로 HaCaT 세포를 처리하였을 때 isoquercitrin은 산화적 손상에 대항하여 농도 의존적(6.25 ~ 50 ${\mu}M$)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0.03 % Isoquercitrin을 담지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222.85 nm, 포집효율은 82.26 %였다. 0.03 % isoquercitrin 함유 에토좀은 제조 후 2주일 동안 안정하였고, 일정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였다. 피부 투과 실험 결과 에토좀은 일반 리포좀이나 에탄올 용액에서 보다 우수한 피부 투과능을 보여주었다. 0.1 % Isoquercitrin을 담지한 탄성 리포좀의 최적의 제형은 입자 크기(341.2 nm), 가변형성(59.89), 포집효율(54.3 %) 및 피부투과능 (초기 적하량 대비 54.4 %) 확인을 통해 인지질 대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85 : 15인 제형이 가장 우수한 탄성 리포좀 제형임을 나타내었다.

세라마이드 함유 에토좀의 물성과 피부흡수 (Skin Absorption and Physical Property of Ceramide-added Ethosome)

  • 현통일;윤경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01-812
    • /
    • 2021
  • 바이오틴을 피부에 전달하기 위해 고압균질기를 사용하여 바이오틴과 세라마이드를 모두 함유하는 에토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바이오틴이 주된 성분으로 사용되었으며, 세라마이드 NP는 인지질 이중층의 지지체로 활용되었다. 바이오틴은 수용성 내부에 포획되었고, 세라마이드 NP는 에토좀의 이중층에 흡착되었다. 세라마이드 NP를 함유한 에토좀의 물성을 살펴보면 소포체의 크기는 80~130 nm, 다분산지수는 0.09~0.16, 제타 전위는 -40~-49 mV로 측정되었다. 세라마이드 NP가 없는 소포체의 크기는 124.80±1.46 nm, 다분산지수와 제타전위는 각각 0.088±0.018과 -45.48±1.27 mV이었다. 따라서 세라마이드 NP가 함유된 에토좀은 세라마이드 NP가 없는 에토좀에 비해 소포체의 물리적 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세라마이드 NP를 함유한 에토좀의 피부흡수율은 12시간 후 6.13~14.98%이었으며, 반면에 세라마이드 NP가 없는 에토좀의 피부흡수율은 7.08%이었다. 결론적으로 세라마이드 NP를 함유한 에토좀은 피부흡수 효율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소포체의 안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