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

검색결과 795건 처리시간 0.026초

韓國産 플라나리아(Dy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表皮上皮細胞의 微細構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al Epidermis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 장남섭;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4-208
    • /
    • 1985
  •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ci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核型分析에 의하여 種을 확인하였다. 이 種의 表皮上皮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行하였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는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schiff(PAS)反應, alcian blue(pH 2.5), PAS-alcian blue反應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sin 등으로 염색을 시행하였고, 체표면을 走査電子顯微鏡으로, 또한 各部位의 微細構造를 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플라나리아의 表皮는 單層圓桂形上皮로 되어 있었고, 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형태학적 및 세포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6類型의 세포들도 區分되었다. 1) 纖毛上皮細胞 (Ciliated epithelial cell) : microtubule 배열이 9+2型인 섬모를 가지고 있었다. 2) 好酸性細胞(Eosinophilic cell) : 세포질에 소수의 큰 好酸性 顆粒을 가진 세포로서, 전자 현미경하에서는 顆粒들은 棒狀形이고,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基質에 섬유상 구조물이 분산되어 있었다. 3) 粘液細胞(Mucous cell) : 세포질에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다양한 모습의 과립($0.8\\times0.3 \\muM$) 들이 충만되어 있었다. 4) 棒狀體形成細胞(Rhabdite-forming cell) : 세포질쪽에 매우 강한 eosinophilia를 나타내는 다양한 크기의 棒狀體顆粒을 한 개 혹은 여러개 가지고 있었으며, 顆粒의 전자밀도는 높았다. 5) A型 好鹽基性顆粒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A) 背腹部 상피에서 관찰되었고 그 세포질에는 alcian blue(ph2.5)에 강하게 염색되는 $1.5\\times1.0 \\mum$의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과립들은 형태가 球形에 가깝거나 혹은 불규칙형이였고 전자밀도가 높았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柔組織에서 基底膜은 通過하여 表皮上皮로 이동되었다. 6) B型 好鹽基性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B) 兩側部의 表皮上皮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에는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0.7\\times0.4 \\mum$의 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包含하고 있었다.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과립들의 형태는 비교적 불규칙하였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역시 柔組織에서 표피로 이동되었다.

  • PDF

MOLECULAR CONTROLS OF EPIDERMAL GROWTH AND DIFFERENTIATION: TRANSFORMING GROWTH FACTORE

  • Son, Youngsook;Fuchs, Elaine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209-229
    • /
    • 1991
  • In the epidermis of skin, a fine balance exists between proliferating progenitor cells and terminally differentiating cells. We examined the effects of TGF-betas and retinoic acid (RA) on controlling this balance in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cultured under conditions where most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features of epidermis in vivo are retained. Our results revealed marked and pleiotropic effects of both TGF-beta and RA on kerationcytes. In contrast to retinoids, TGF-betas acted on mitotically active basal cells to retard cell proliferation.

  • PDF

수도(水稻) 및 잡초(雜草)의 기공형태(氣孔形態)와 분포(分布) (Stomata Variation of Rice and Weeds)

  • 김순철;이수관;정근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6-55
    • /
    • 1989
  • 수도재배지(水稻栽培地)에 생육(生育)하고 있는 벼와 주변(周邊) 잡초(雜草)들의 기공형태(氣孔形態), 크기 및 밀도(密度)를 조사(調査)하기 위해 1988년(年) 영남작물시험장(嶺南作物試驗場) 수도시험포(水稻試驗圃)에서 수도품종(水稻品種) 42종(種)과 잡초(雜草) 30종(種), 보리, 밀 및 콩 각(各) 1종(種)을 공시(供試)하여 조사(調査)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기공(氣孔)의 모양은 초종(草種)에 따라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구형(球形)에 가까웠던 초종(草種)은 속속이풀, 가래, 소리쟁이, 마디꽃 등(等)이었고, 타원형(楕圓形)에 속(屬)하는 초종(草種)은 민바랭이, 개비름, 자귀풀, 사마귀풀, 벗풀, 물달개비, 여뀌, 여뀌바늘과 피종류(種類)였으며, 장타원형(長楕圓形)에 속(屬)하는 초종(草種)은 보리, 밀, 올챙고랭이, 올방개 및 방동사니류(類)였다. 벼품종(品種)들은 특이(特異)하게 마름모형(形)을 갖고 있었다. 2. 기공(氣孔)의 밀도(密度)와 크기도 토종간(草種間) 차이(差異)가 뚜렷 하였는데 특(特)히 광엽잡초(廣葉雜草)에 속(屬)하는 초종(草種)들에서 더욱 심하였다. 벼품종(品種)들간(間)의 차이(差異)는 잡초(雜草)에 비(比)해서는 상대적(相對的)으로 적었다. 본(本) 시험(試驗)에 사용(使用)된 모든 초종중(草種中)에서 가장 적은 수(數)의 기공(氣孔)을 가진 초종(草種)은 사마귀풀(표면(表面) 17개(個), 이면(裏面) 54개(個))과 쇠비름(표면(表面) 20개(個), 이면(裏面) 17개(個))였고, 반대(反對)로 가장 많은 기공(氣孔)을 가진 초종(草種)은 꽃여뀌 (표면(表面) 449개(個), 이면(裏面) 511개(個))였으며 기공(氣孔)크기에 있어서는 콩, 자귀풀, 여뀌바늘(이면(裏面)) 및 고들빼기(이면(裏面)) 등(等)은 대조초종(對照草種)이었던 강피보다 절반이하(折半以下)의 크기였고 반대(反對)로 기공(氣孔)의 크기가 가장 컸던 초종(草種)은 쇠비름과 사마귀풀로써 피보다 6~7배(倍) 더 큰 기공(氣孔)을 갖고 있었다. 3. 대부분(大部分)의 초종(草種)들은 잎이면(裏面)의 기공수(氣孔數)가 잎표면(表面)의 기공수(氣孔數)보다 많았는데, 특(特)히 여뀌바늘과 고들빼기는 잎이면(裏面)에 $mm^2$당(當) 300여개(餘個) 더 많이 분포(分布)하고 있었다. 그러나 잎표면(表面)에 더 많은 기공(氣孔)을 가진 초종(草種)들은 쇠비름, 소리쟁이, 마디풀, 강아지풀, 민바랭이, 돌피 등(等)과 같이 주(主)로 밭에 생육(生育)하는 $C_4$ 식물(植物)과 논에 자라는 여뀌, 밭뚝외풀과 수종(數種)의 벼품종(品種)들이었다(UPLRI-5, 풍산벼, 진흥(振興), 영덕(盈德)벼, 왜도(矮稻)-C). 4. 알방동사니, 금방동사니 및 너도방동사니는 잎표면(表面)에는 기공(氣孔)이 없고, 잎이면(裏面)에만 기공(氣孔)이 분포(分布)되어 있었고, 가래는 반대(反對)로 잎표면(表面)에만 기공(氣孔)이 분포(分布)되어 있으며, 잎이면(裏面)는 극(極)히 드물게 분포(分布)되거나 거의 퇴화(退化)되어 있었다. 5. 벼품종(品種)의 기공수(氣孔數)는 품종간(品種間)의 차이(差異)도 컸지만, 품종유형간(品種類型間) 차이(差異)도 큰 경향(傾向)을 보였는데 전체적(全體的)으로 볼 때 통일형(統一型) 품종(品種)이 가장 많은 수(數)의 기공(氣孔)을 가지고 있었고, 다음은 인도형(印度型) 품종(品種),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의 순(順)이였다. 가장 적은 수(數)의 기공(氣孔)을 가졌던 일본형(日本型) 품종(品種)들도 1960년대(年代) 이후(以後)에 육성(育成), 보급(普及)된 품종(品種)들이 1960년대(年代) 이전(以前)에 재배(栽培)되었던 재래종(在來種)과 도입종(導入種)보다 많은 수(數)의 기공(氣孔)을 가졌다. 기공(氣孔)의 크기에 있어서는 1960년대(年代) 이전(以前)의 재래종(在來種)과 도입종(導入種)이 가장 큰 기공(氣孔)을 갖고 있었다. 전체(全體) 벼품종중(品種中)에서 진흥(振興)은 가장 적은 수(數)(${\fallingdotseq}$ 150개(個))의 기공(氣孔)을 갖고 있었고, 유신(維新)은 가장 많은수(數)(표면(表面) 350개(個), 이면(裏面) 449개(個))의 기공(氣孔)을 가진 품종(品種)이였으며, 이 밖에 $mm^2$당(當) 350개(個) 이상(以上) 분포(分布)된 품종(品種)들은 삼강(三剛)벼, 밀양(密陽) 23호(號), 운봉(雲峰)벼 등(等)이였다.

  • PDF

백서 표피 분화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Epidermis of the Albino Rats)

  • 정병훈;이법이;정호삼;이규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1권2호
    • /
    • pp.96-116
    • /
    • 1991
  • The authors studied the morphological distinctions of each of the epidermal layers and the time of appearance of the keratohyalin granules and tonofilaments by the processing of development. The skins were obtained from fetal rats at the age of 14th, 16th, 17th, 18th, 19th and 20th day of gestation, of 1st and 3rd day of neonatal life and of 4th week after birth. The specimens were stain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On the 16th-gestation day, the intermediate layer which contained numerous ${\alpha}-and\;{\beta}$-glycogen particles was appeared, and hemidesmosomes and desmosome were observed as well. 2. Tonofilaments were first observed on the 17th gestation day. 3. Above-mentioned intermediate layer was differentiated into the granular layer and the spinous layer on the 18th-gestation day. Keratohyaline granules were appeared in association with the ribosomes and the tonofilaments and the compound granules were lipoid granules which were surrounded by ribosomes at the periphery. 4. Ultimately, keratinization began to take place from the 20th-gestation day. At the age of 4th week, the thickeness of epidermis and the amount of keratohyaline granule and tonofibrils were decreased. It is consequently suggested that in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the rat epidermis, keratinization begins after formation of hemidesmosomes and desmosomes, from which the tonofilaments are formed and after keratohyaline granules are formed. Therefore appearance of the keratohyaline granules and formation of the tonofilament appears to have a close relations with the keratinization process of the rat epidermis.

  • PDF

실험적 돼지 삼출성 표피염에 관한 병리학적 연구 I. 육안적 및 병리조직학적 관찰 (Pathological studies on exudative epidermitis in experimentally infected pigs I. Macroscopical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 오규실;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87-799
    • /
    • 1994
  • To elucidate morphologic lesion of porcine exudative epidermitis which is occurred sporadically in Korea, Staphylococcus hyicus subsp. hyicus isolated from the naturally affected pigs was inoculated to suckling pigs. The infected piglets were observed grossly and histopathologically. Although affected piglets were taking acute, subacute, or chronic course, some piglets suffered from chronic disease showed poor prognosis and marked growth depression. Affected peglets had erythematous skin on the face, ear, and abdomen and these localized lesions appear as brownish spots of exudative epidermitis and fromed crust in the early stage. But, after this stage, the skin were covered by viscous greasy exudate and formed blackish brown crust and appeared fissures and hypertrophy. Grossly, there has been hemorrhage with the removal of crust-like materials of epidermis and edematous subcutis. The superficial lymph nodes were edematous and swollen or congested and hemorrhagic. Some piglets had swollen ureters, cysts in the renal cortex, or polyarthritis. A few cases had mild edematous swelling of kidney, intestinal catarrh and congestion of brain. Microscopically, skin lesions had detachment of keralinized layer and parakeratosis of epidermis, hydropic degeneration of epidermal cell, and retrogressive degeneration of hair root sheath. Dermis had edema, and infiltration of neutrophils and mononuclear cells. As the disease was proceeded, there was marked perivasculitis with lots of mononuclear inflammatory cells. More chronic lesions formed granuloma-like bodies(nodules) due to more mononuclear,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and proliferation of fibroblast. Lots of plasma cells and eosinophils were also present in dermis. Epidermis was hyperplastic by proliferation of basal cells stratum germinativum and epidermal pegs often extended into the dermis. In secondary infection, lots of neutrophils could be seen in epidermis and derms. Kidney had neutrophilic infiltration, necrotic and cystic glomeruli, and dilation of renal tubules and ureters. Purulent arthritis was sometimes observed in joints. Three days old mice administrated Staphylococcus hyicus subsp hyicus subcutaneously before had focal congestion and hemorrhage, necrosis, and subcutaneous edema of the skin. This observation was also seen in the study of mice administrated exfoliatin toxin of Staphylococcus which evoked human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 PDF

한국산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 (망둑어과) 피부의 구조 및 조직화학적 특성 (Structure and Histochemistry of the Skin of a Flat-headed Goby, Luciogobius guttatus (Gobiidae, Pisces) from Korea)

  • 박종영;이용주;김익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0-127
    • /
    • 2007
  • 한국산 미끈망둑(Luciogobius guttatus)의 피부구조가 머리, 위턱, 아래턱, 뺨, 등, 체측, 배, 아가미뚜껑 등 모두 8개 부분에서 비교 조사되었다. 이들 모두 표피는 맨바깥층, 중간층, 기저층으로 구성되었다. 맨바깥층은 1~4층의 편평세포와 점액세포로 구성되었으며, 중간층은 1~10층의 대형 표피세포를 가지며 이러한 표피세포는 마치 거미줄 같은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대형표피세포의 존재는 두꺼운 표피를 갖도록 하며, tonofiilament와 desmosome을 가진다. 한편 기저층은 한 층의 입방상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모세혈관들이 기저층 바로 아래부분에 존재한다. 진피에는 비늘이 존재하지 않으며 거의 대부분 모세혈관을 가지는 치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꽃식물 조직의 표피 특성과 연잎효과 (Epidermal Features of the Nelumbo nucifera Tissues and Lotus Effect)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95-103
    • /
    • 2012
  • 연잎효과는 연꽃의 잎에서 규명된 현상으로 표피세포에서 기원하는 미세구조에 의해 물방울이 잎 표면이나 내부조직에 침투하지 않고 경사면으로 흘러내리며 표면 위 먼지나 이물질을 함께 떨어지게 한다. 잎 표면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자기정화 능력인 연잎효과에 대해서는 여러 영역에서 연구되고 다방면으로 응용되고 있으나 구조적인 측면에서 연잎을 생장단계별 또는 표피조직 부위별로 비교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잎과 줄기를 대상으로 생장단계별, 부위별 표피조직의 미세 표면구조를 연구하여 연잎효과 표면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연잎효과는 미세돌기와 왁스결정체가 발달한 잎의 상피조직에서만 나타나고, 왁스결정체만 발달한 하피 및 줄기의 표피조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미세돌기의 발달이 연잎효과를 나타내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고, 왁스결정체가 돌기표면 위에 축적되면 연잎효과는 더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피부상피층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Teleostei: Pleuronectidae))

  • 김재원;진평;진영국;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2호
    • /
    • pp.121-129
    • /
    • 2002
  • 넙치의 피부 상피층은 지지세포, 선세포와 부속세포들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로 구분된다. 선세포는 점액세포와 곤봉상세포, 부속세포는 염세포가 관찰된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이며 미융기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지지세포는 menbrane interdigitation구조와 부착반에 의해서 다른 세포들과 잘 연결되어 있고 세포질 피질부에 당김세사가 잘 발달되어 있다. 점액세포는 타원형으로 중성다당류의 점액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많은 액포와 미세섬유다발을 관찰할 수 있다. 부속세포인 염세포 세포질의 대부분이 미토콘드리아로 가득 채워져 있다.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과 근연분류군의 비교연구 2. 표피의 미세구조, 화분학적 형질 및 동위원소 분석 (Comparative studies on the Hanabusaya asiatica and its allied groups 2. Ultrastructure of epidermis, Palynological characters and Isoyme pat)

  • 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03-318
    • /
    • 1995
  • 금강초롱꽃과 근연분류군 4속 9분류군에 대한 표피 및 화분의 미세구조, 동위효소 분석을 통하여 금강초롱꽃속(屬)이 특산속으로서 구분이 가능한가를 알아보았다. 표피는 미세구조에서는 잎이 표면과 이면세포의 모양, 화피의 세포형태, 종피의 미세구조 등이 속과 종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으며, 화분학적 형질에서는 표면무늬와 전체 형태에 많은 변이가 있어 속내 분류군들의 유집 및 분류가 불가능하였다. 동위효소 분석에서는 분류군에 따라 지역, 집단간 변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지만 금강초롱꽃과 가장 유사한 분류군은 초롱꽃과 섬초롱꽃으로 유집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금강초롱꽃속(屬)은 근연 분류군과 표피의 형질, 동위효소 분석등에서 근연 분류군과 뚜렷한 차이가 있어 특산속으로서 잘 구분되었다.

  • PDF

피부선량을 기준으로 0.511 MeV 감마선에 대한 납 차폐체의 산란선 및 차폐 효율 분석 (Analysis of Scattering Rays and Shielding Efficiency through Lead Shielding for 0.511 MeV Gamma Rays Based on Skin Dose)

  • 장동근;박은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3권4호
    • /
    • pp.259-264
    • /
    • 2020
  • Radiation causes radiation hazards in the human body. In Korea, a case of radiation necrosis occurred in 2014. In this study, the scatter and shielding efficiency according to lead shielding were classified into epidermis and dermis for 0.511 MeV used in nuclear medicine.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slab phantom that represents calibration and the dose of human trunk.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hielding rate of 0.25 mmPb was 180% in the epidermis and 96% in the dermis. Shielding at 0.5mmPb showed shielding rates of 158%in the epidermis and 82% in the dermis.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bsorbed dose by subdividing the thickness of the dermis into 0.5 mm intervals, when the shielding was carried out at 0.25 mmPb, the dose appeared to be about 120% at 0.5 mm of the dermis surface, and the dose was decreased at the subsequent depth. Shielding at 0.5 mmPb, the dose appeared to be about 101% at the surface 0.5 mm, and the dose was measured to decrease at the subsequent depth. This result suggests that when lead aprons are actually used, the scattering rays would be sufficiently removed due to the spaces generated by the clothes and air, Therefore, the scattered ray generated from lead will not reach the human body. The ICRU defines the epidermis (0.07), in which the radiation-induced damage of the skin occurs, as the dose equivalent. If the radiation dose of the dermis is considered in addition, it will be helpful for the evaluation of the prognosis for radiation hazard of the sk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