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riched ($L,\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32초

Evaluation of Se Accumulation in the Production of Se-treated Soybean Sprouts and Mungbean Sprouts

  • Bai, Hong-Sook;Kim, Hyeong-Soo;Bai, Sung-Chul;Kim, Dae-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42-147
    • /
    • 2009
  • In this study, the selenium (Se) accumulations of soybean sprouts and mungbean sprout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e-solutions were evaluated, as part of a broader effort to produce Se-enriched variants of the plants. Four levels of sodium selenate ($Na_{2}SeO_{4}$)-dissolved solutions (i.e. 0, T0; 6, T1; 60, T2; and $600{\mu}g/mL$, T3) were prepared and sprayed onto the plants during cultivation. The effect of different spraying periods on Se accumulation was also assessed by watering plant groups once a day for periods of one, two, or three days. Se solution remaining on the surfaces of the plants was washed out by spraying with distilled water on the final day of cultivation. However, the increase of Se accumulation in the plants was found to depend on both Se-concentration and watering period, and the soybean sprouts were determined to accumulate Se more effectively than the mungbean sprouts. Additionally, with regard to Se accumulation in the plants, the period of application of Se solution was determin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concentration of the Se solution applied. The averaged total levels of Se-enrichment in whole soybean sprouts at T0, T1, T2, and T3 were 0.26, 65.86, 179.62, and $525.12{\mu}g/dry$ matter (DM) g,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equations relating Se enrichment in soybean sprouts (Y) against watering days (X) were Y=32.505X-36.17 (T1), Y=88.46X-92.04 (T2), and Y=251.11X-254.9(T3). The averaged total levels of Se-enrichment in the whole mungbean sprouts at T1, T2, and T3 group were 0.05, 3.64, and $101.43{\mu}g/DM$ g,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equations relating Se enrichment (Y) to watering days (X) for mungbean sprouts were Y=1.67X-1.3467 at T1 and Y=48.035X-46.907 at T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ybean sprouts and mungbean sprouts enriched with bioavailable Se can be produced on a large scale by Se supplementation, a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y functional foods such as Se-enriched mungbean sprout soups and salads, Se-enriched functional drink and food additives, and selenium tablets to promote health.

넙치 자어 사육에 있어서 먹이 종류에 따라 고밀도로 배양한 rotifer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rotifer fed on the different diets in high density culture for flounder larvae, Paralichthys olivaceus)

  • 박흠기;이균우;이상민;김성구;이종화;임영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3-97
    • /
    • 2000
  • 본 연구는 먹이종류에 따라 고밀도로 배양한 rotifer를 넙치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이들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Rotifer 고밀도 배양의 실험구 먹이는 18 시간 동안 담수산 Chlorella를 공급한 후 6시간 유지효모 및 $Marine\;{\alpha}$를 공급한 것과 24시간 동안 담수산 농축 Chlorella 및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것으로 하였다. 배양수조는 $2l$를 이용하였고 수온 $28{\circ}C$를 유지하였다. $Marine {\alpha}$와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의 n-3 HUFA 함량이 유지효모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Marine\;{\alpha}$와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가 유지효모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한 실험구보다 넙치 자어의 성장과 생존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rine\;{\alpha}$로 배양된 rotifer를 섭취한 넙치 자어 자체의 지방산 중 n-3 HUFA비율이 다른 먹이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안정적 배양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서 rotifer 고밀도 배양시 안정적인 rotifer 성장과 rotifer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24시간 해수산 농축 Chlorella를 공급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이들을 넙치 자어에게 공급하였을 때 가장 적절한 먹이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메탄올 기반 탈질 공정의 고속화 및 탄소 섭취 특성 (High-rate Denitrifying Process Based on Methanol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c Carbon Uptake)

  • 박수인;전준범;배효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81-591
    • /
    • 2020
  • In this study, two types of reactors were operated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methanol uptake under the high-rate denitrification process. In a sequencing batch reactor, the denitrifying activity was enriched up to 0.80 g-N/g-VSS-day for 72 days. Then, the enriched denitrifying sludge was transferred to a completely stirred tank reactor (CSTR). At the final phase on Day 46-50,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around 100% and the total nitrogen removal rate reached 0.097±0.003 kg-N/㎥-day. During the continuous process, the sludge settling index (SVI30) was stabilized as 118.3 mL/g with the biomass concentration of 1,607 mg/L. The continuous denitrifying process was accelerated by using a sequencing batch reactor (SBR) with a total nitrogen removal rate of 0.403±0.029 kg-N/㎥-day with a high biomass concentration of 8,433 mg-VSS/L. Because the reactor was open to ambient air with the dissolved oxygen range of 0.2-0.5 mg-O2/L, an increased organic carbon requirement of 5.58±0.70 COD/NO3--N was shown for the SBR in comparison to the value of 4.13±0.94 for the test of the same biomass in a completely anaerobic batch reactor. The molecular analysis based on the 16S rRNA gene showed that Methyloversatilis discipulorum and Hyphomicrobium zavarzinii were the responsible denitrifiers with the sole organic carbon source of methanol.

RO/NF/ED 연계 공정에 의한 고경도 담수 제조 (The Hardness Water Production By RO/NF/ED Linking Process From Deep Seawater)

  • 문덕수;김광수;지호;최미연;정현지;김현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27-23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수담수화 과정 중 황산이온과 염소이온은 제거하고 유용미네랄인 마그네슘, 칼슘은 잔존 시키는 미네랄 수질 조정 기술로 먹는물 수질기준에 맞는 고경수 제조 공정 개발에 있다. 역삼투막(RO)에 통과시켜 농축수(Concentrated deep seawater)와 탈염수(desalted deep seawater)를 제조하고, 나노여과막(NF)를 사용하여 염화나트륨이 제거되지 않은 1차 미네랄 농축수(Mineral enriched deep seawater)를 제조하여, 전기투석 이온교환막(ED)을 가동하여 염화나트륨을 제거한 탈염 미네랄농축수(Mineral enriched desalted water)를 제조하여 이를 RO 탈염수와 희석하여 고경도 먹는해양심층수를 제조하였다. 역삼투막은 해수(해양심층수) 원수에서 용존물질과 담수를 분리할 수 있으며, 2차에 걸쳐 역삼투막을 사용하면, 용존성분 중 99.9% 이상 제거되고, 경도 1이하, 염소이온의 농도 2.3 mg/L인 용존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탈염수(순수)를 제조할 수 있었다. 나노여과막 (NF 막)의 간극은 $10^{-9}$ m으로 마그네슘과 칼슘은 50%정도 통과시키며, 염소이온과 나트륨 같은 일가이온은 95%이상 통과한다. 나노여과막은 마그네슘과 칼슘과 같은 경도 성분과 나트륨과 염소이온과 같은 염분성분을 분리 농축할 수 있지만, 완벽하게 분리하지는 못한다. 전기투석막(ED)은 전기전도도에 따라 경도성분의 이가이온과 염분성분인 일가이온이 분리된다. 전기전도도 20 mS/cm 이상에서 경도성분(마그네슘이온, 칼슘 이온 등)은 제거되지 않는 반면, 염분성분 (나트륨이온, 염소이온 등)은 지속적으로 제거되었다. 따라서, 나노여과막을 이용하여 마그네슘과 칼슘과 같은 경도 성분을 농축하고, 전기투석막을 이용하여 경도농축수에서 염분성분을 분리하여 경도농도 12,600 mg/L, 염소이온 농도 2,446 mg/L의 염분성분이 배제된 고경도 농축수를 제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고경도수를 역삼투막을 이용하여 용존물질이 모두 제거된 2차 RO 생산수로 10배 희석하면 염소이온 농도 244 mg/L 로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면서 경도농도 1,260 mg/L 인 고경도 수 제조도 가능하였다. RO/NF/ED 또는 NF/ED 연계공정은 해수의 증발 없이 역삼투막, 나노여과막과 전기투석막만을 이용하여 염소이온과 나트륨, 칼륨, 황산이온과 같은 염분성분을 제거하면서 마그네슘과 칼슘과 같은 경도성분은 농축할 수 있어서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한 고경도수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이 과정 중 소모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었다.

효모로부터 S-Adenosyl-L-Methionine의 실험실 규모 생산 (Laboratory Scale Preparation of S-Adenosyl-L-Methionine from Yeast)

  • 이종남;류양욱;최명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88-591
    • /
    • 1991
  • S-adenosyl-L-methionine(SAM)은 생체 메칠화 반응에 긴요한 기질이다. 이 논문은 효모 발효에 의한 SAM의 실험실 규모 생산의 최적조건을 다시 검토한 것이다. 발효 배지는 메치오닌을 첨가했으며 배양조건들을 재조절하였다. 분리과정은 추출, 앙금 및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한 다섯단계로 이루어졌다. 이 향상된 과정은 원래 방법보다 비교적 높은 생산 수득률로 생활성 있는 SAM을 4일 이내에 제공해준다.

  • PDF

개불, Urechis unicinctus 치충을 이용한 저질 개선 효과 (Modification of Chem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ally Enriched Sediment by Urechis unicinctus Juveniles)

  • 강경호;장종윤;김재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9-164
    • /
    • 2003
  • Effect of the benthic echiurid Urechis unicinctus juvenil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ally enriched sediment, as well as the individual survival rate and growth in various sediment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U. unicinctus in the bioremediation of organically polluted sediment. The content of acid volatile sulfide (AVS) in the sediment of three coastal areas was 0.4±0.1 mg/gㆍdry sediment in Seonso, 0.1±0.01 mg/gㆍdry sediment in Myo-do, 0.02±0.01 mg/gㆍdry sediment in Dolsan-do, respectively. 500 juveniles with average body length of 1.2±0.3 mm were bred in these sediments. After 30 days, the AVS content of three places decreased to 0.29±0.3, 0.08±0.01 and 0.0l±0.01 mg/gㆍdry. After 60 days, the content was 0.23±0.03, 0.0l±0.01, 0.0l±0.01 mg/gㆍdry. The AVS content in the control (sediment from Seonso without juveniles) was 0.39±0.75 mg/gㆍdry sediment (after 30 days) and 0.45±0.01 mg/gㆍdry sediment (after 60 days). At the same time,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total ingition loss (TIL) of these sediments showed the same trend with that of AVS. Furthermore, 60 days later, the survival rate and growth of juveniles were 71.2%, 11.1±l.0 mm in Seonso, 89.8%, 12.0±1.3 mm in Myo-do and 81.6%, 11.9±1.9 mm in Dolsan-do. It was suggested that U. unicinctus can survive better in less polluted environment. Under different U. unicinctus juvenile density (100, 300, 500, 700, 900 individuals), after 60 days cultivation, the AVS content decreased from 0.4±0.1, 0.4±0.1, 0.4±0.3, 0.4±0.3, 0.4±0.3 mg/gㆍdry to 0.4±0.2, 0.3±0.2, 0.2±0.1, 0.2±0.1, 0.2±0.1 mg/gㆍdry. Therefore, the higher the density of juveniles, the greater the effect in improving the sediment. In comparison to different initial AVS concentration (0.40±0.01, 0.35±0.01, [I can't find a reference to this number above], 0.29±0.02, [I can't find a reference to this number above], 0.18±0.03, [I can't find a reference to this number above], 0.06±0.02 mg/gㆍdry sediment [I can't find a reference to this number above] and the control 0.0±0.0[I can't find a reference to this number above]), after 30 days cultivation with 500 juveniles, the AVS content was 0.29±0.03, 0.19±0.0, 0.15±0.01, 0.12±0.02, 0.05±0.0mg/gㆍdry and 0(control). After 60 days cultivation, the content was 0.23±0.03, 0.12±0.4, 0.10±0.01, 0.18±0.03, 0.06±0.02 mg/gㆍdry and 0 (control). Use % decrease in AVS content to state: The impact of U. unicinctus on the sediments was greater with higher concentrations of AV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U. unicinctus is effective i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sediments polluted by AVS and other organics.

CA저장 사과를 이용한 Fresh-cut Apple의 제조 및 MAP저장 (Processing and MAP(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Storage of Fresh-cut Apples using CA Stored Apples)

  • 정헌식;문광덕;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51-356
    • /
    • 1999
  • CA 저장 사과로 제조한 신선절단 사과의 비타민 C 강화와 품질유지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선절단 사과를 10% L-ascorbic acid 용액에 침지처리하고 0.03 mm LDPE, 0.04 mm PP 및 0.08 mm Nylon/PE(질소치환) 필름으로 포장하여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포장내 기체농도와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포장내 산소는 Nylon/PE 포장구에서 가장 낮게 l~3%로 유지되었고 다음으로 PP, LDPE 포장구 순이었다. 저장초기 포장내 에틸렌 농도의 증가속도는 Nylon/PE 포장구에서 가장 낮았다. 신선절단 사과의 비타민 C 함량은 241mg/100g으로 강화되었으며, 저장 중에는 저산소 조성 포장조건일수록 ascorbic acid 산화를 억제시켜서 Nylon/PE 포장구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절단사과에서 갈변은 저산소 조성 포장조건일수록 억제하는 경향이었으며 LDPE, PP 및 무포장 절단사과는 저장 6일 후부터 발생되었으나 Nylon/PE 포장 절단사과는 저장 14일 후까지도 발생되지 않았다. 절단사과에서 부패와 이취는 LDPE, PP 및 무포장에서는 저장 9일 후에 인지되었으나 Nylon/PE 포장에서는 저장 14일 후까지도 인지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장기간 CA 저장한 사과로 비타민 C 함량이 강화된 신선절단 사과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이의 품질유지에 적합한 포장조건은 산소투과도가 낮은 포장재와 산소 제거 후 밀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오리 도체에서 등온유전자증폭기법을 이용한 Salmonella spp. 신속 고감도 검출 기법 연구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Salmonella spp. by Using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in Duck Carcass Sample)

  • 조애리;동희진;조성범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55-6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Salmonella invA 유전자를 마커로 Salmonella 특이 LAMP primer를 제작하였고, inclusivity 및 exclusivity 실험 결과는 각각 100%로 관찰되었다. 순수 배양된 Salmonella 희석액에서의 검출한계는 18.17분에서 $3.2{\times}10^3$ CFU/mL ($R^2$ = 0.9446)으로 관찰되어 신속 간단하고 민감도가 높아 Salmonella 검출을 위한 방법으로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정량기법으로서도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1차 증균 배지인 BPW에 S. Enteritidis 접종 후 0시간 및 12시간 배양 후 LAMP의 검출한계는 각각 $3.2{\times}10^3$ CFU/mL 및 $3.2{\times}10^0$ CFU/mL으로 관찰되었고, 오리도체 시료가 포함된 BPW에 S. Enteritidis 접종 후 0시간 및 12시간 증균액에서의 LAMP 검출한계는 각각 $3.2{\times}10^3$ CFU/mL 및 $3.2{\times}10^0$ CFU/mL으로 관찰되어 PCR과 비교하였을 때 오리도체시료 성분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 도압장에서 채취한 오리도체시료를 BPW에 6시간 배양한 1차 증균액에 개발한 LAMP기법을 적용한 결과, 96%의 민감도 및 84%의 특이도를 보여 오리도체에서의 Salmonella 신속 스크리닝 기법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제품 및 가공식품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검출을 위한 배지법과 신속 검사키트의 유효성 검증 (Evaluation of Conventional Culture Methods and Validation of Immunoassays for Rapid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Dairy and Processed Foods)

  • 한소리;현지연;김희연;박종석;허석;신호철;서건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6-622
    • /
    • 2008
  • L. monocytogenes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식중독의 원인체 중 하나로서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서 심각한 리스테리아증을 유발한다. 이 때문에 안전한 식품제공과 공중보건 증진 측면에서 L. monocytogenes균을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배지법에서 배양시간에 따른 검출능력을 비교해보고, 상용화된 L. monocytogenes 신속검출 키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다양한 식품 샘플(훈제연어, 생식용 두부, 우유, 샐러드)에 총 20개의 샘플에서 일부분의 양성 결과가 나오도록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였다. 이를 예비 증균과 배지에서의 배양을 거쳐 마지막으로 $Microgen^{TM}$ Listeria-ID를 이용하여 균을 확인하였다. 신속검출 키트인 $VIDAS^{(R)}$ Listeria monocytogenes II(LMO2)와 $REVEAL^{(R)}$ for Listeria 도 시행하여 배지법과 검출능력을 비교하였다. 배지법에서 배양시간을 24시간에서 48시간으로 늘리면 훈제연어는 0개에서 9개,두부는 0개에서 10개로, 우유는 2개에서 17개로, 샐러드는 4개에서 16개로 모든 식품 샘플에서 양성결과가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24시간을 채택하고 있는 배지법에서의 예비증균 시간을 48시간으로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신속검출키트와 배지법 사이에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배지법을 시행하기에 앞서 예비양성시험(presumptive screening)으로 활용하기에 알맞다고 사료된다.

Antimicrobial Effect of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Petal Extracts on Food-Borne Microorganisms

  • Kang, Pil-Sung;Park, Ki-Bum;Eun, Jae-Soon;Oh, Suk-H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60-263
    • /
    • 200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effect of 14 different herbal petal extracts on various foodborne and food spoilage bacteria. Herbal petal extracts were prepared with 70% ethanol followed by sequentia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fractionation. Antimicrobial activity was highest in the ethanol fraction from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petals as determined by the paper disc method. The roselle ethanol extract retarded the growth of food spoilage bacteria in kimbap (rice rolled in dried laver). Foodborne microorganisms (e.g.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on the other hand, were most efficiently inhibited b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roselle petal extract as determined by growth inhibition curves. Our study shows that roselle petals harb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and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The critical ingredient is highly enriche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x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