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neagra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9초

퍼지TAM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직리더의 패턴분석 (Pattern Analysis of Organizational Leader Using Fuzzy TAM Network)

  • 박수점;황승국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38-243
    • /
    • 2007
  • 신경망 모델에 기반한 TAM 네트워크는 특별히 패턴분석에 효과적인 모델이다. TAM 네트워크는 입력층, 카테고리층, 출력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 및 출력 데이터에 대한 퍼지룰은 TAM 네트워크에서 얻어진다. 각 층에서 링크와 노드를 감소하기 위한 3가지의 프루닝룰을 사용하는 TAM 네크워크를 퍼지 TAM 네트워크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 TAM 네트워크를 조직리더에 대한 리더십 유형의 패턴분석에 적용하고 그 유용성을 보인다. 여기서, 입력층의 평가기준은 이고그램의 성격유형 관련변수의 값이고, 출력층의 목표값은 에니어그램의 성격유형과 관련된 리더십이다.

캐릭터 성격표현에 의한 제스처 특징 분석 : 영화 <아바타>의 '나비족' 캐릭터를 중심으로 (Analysis of Gesture Features on Character Expression of )

  • 이영숙;최은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4호
    • /
    • pp.155-172
    • /
    • 2011
  • 본 연구는 영화 <아바타>에 등장하는 나비족 유형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성격에 따른 제스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시나리오로 토대로 캐릭터의 성격 분류를 하여, 각 캐릭터의 특징적 장면을 추출하였고, 추출한 장면은 에니어그램으로 캐릭터들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분석된 캐릭터의 성격과 제스처 분석을 통해 각 캐릭터가 가지는 에니어그램 유형의 특징적 제스처표현 메타포를 살펴보았다. 영상디지털콘텐츠에서 인물 캐릭터 설계 시 캐릭터의 특징과 성격을 최대한 반영하는 비언어적 행위 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성격유형에 적절한 제스처를 동반한 캐릭터 창조 및 표현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이해기반 돌봄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에니어그램 집단교육 적용 (Effects of care promotion program based on nursing students self-understanding: Application of enneagram group education)

  • 신은선;이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2-14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are promotion program based on nursing students' self-understanding. Methods: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using a randomized clinical trial pre- and posttes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 group (n=29) or control group (n=30).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3 to September 8, 2017.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a care promotion program based on self-understanding for 24 hours through eight sessions covering eight different topic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repeated-measures ANOVA using SPSS/WIN 21.0.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F=28.74, p<.001), emotional intelligence (F=15.66, p<.001), and interpersonal caring behavior (F=9.37, p=.003).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care promotion based on a self-understanding improvement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group enneagram education is a useful intervention strategy to promote the care promotion program based on nursing students' self-understanding. Care promotion based on self-understanding will be utilized as an intervention program to form positive values of ca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care awareness, self-change, understanding of others and care experience in the group.

MBTI와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치과위생사들의 성격 분석 유형이 이직 횟수 및 근속년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retention)

  • 이정우;김명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10호
    • /
    • pp.738-753
    • /
    • 2010
  • Objectives: To deter job migration and to facilitate a more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system, a personality type analysis tool, such as MBTI and Enneagram, may be considered. These tools can facilitate better recognition of talent among prospective employees, as well as more efficient allocation of tasks for greater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direct interviews with dental hygienists currently employed at two major dental organizations, which operate the largest networks of clinics across the greater metropolitan area. Results : First, in terms of number of turnover experiences, the Head Type showed lower task satisfaction, whereas the Body Type exhibited greater task satisfaction. Second, the Head Type showed greater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ther types. Third, the SJ Type, often considered the traditionalist in terms of long-term employments, exhibited greater tendencies toward long-term commitment with one employer. Fourth, dental hygienists, in terms of long-term employment, are negatively affected by task satisfaction, and positively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It is thought to be considerable to use personality type analysis tools in clinical human resource management.

성격유형에 따른 원룸형 주거의 공간구성 및 가구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and Furniture Preference in One-room Type Residence Considering Personality Type)

  • 이종희;김휘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6-236
    • /
    • 2016
  • Single-person household is estimated to be about 26.5% of the total household in 2015, which counts as 5060000 in numbers. We opt to acknowledge the various requests of these single residents, and in order to raise their satisfaction, we investigated on how personal taste, psychological interest, and personality attribute affects the user's preference of space organization and furniture in one room housing. Using the qualified psychology program, Enneagram Personality Type Indicator, we surveyed young people under 30 years old (majority of single-person households), regarding space organization and furniture preference. With the help of a specialist, the survey was constructed with appropriate evaluation items (space organization in one room households, bed, sofa, furniture material, etc),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ed items and personality types. Results showed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spatial structure. First, preference of spatial structure differed for different personality types. Second, the shape and size of furniture was dependent more on the ease of usability and design rather than on the personality types. One thing to consider is that type 1 and 9 accounted for about 50% of the total surveys. This emphasizes that the preferred spatial structure of a dominant specific personality type should not be overlooked.

<미스터 션샤인>의 인물유형과 이미지텔링 (A Study on the Character Type and Image-telling in Drama )

  • 조미숙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73-85
    • /
    • 2020
  • 이 글은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형과 에니어그램 인물유형론을 적용하여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인물 유형을 분석하고 그 이미지텔링 방법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한류 드라마가 중요한 콘텐츠가 되고 있는 오늘날 그 등장인물의 유형과 묘사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해진다. 드라마의 영향력에 있어서 인물은 핵심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인물 유형 분류를 위해 인물의 작중 내 역할에 주목하는 행위소 모형에 <미스터 션샤인>을 적용한 결과 주체는 유진 초이와 고애신, 원조자는 주체를 돕는 많은 이들, 대립자는 친일파 인물들, 발령자는 고종, 수령자는 조선의 국민들로 나타났다. 이를 인물 성격 유형인 에니어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주체는 3, 5유형, 원조자는 다양한 유형, 대립자는 3유형, 발령자 5유형, 수령자 모든 유형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정 역할, 특정 성격을 드라마에서 어떻게 이미지텔링하는가가 이 글의 또 다른 관건이었는데, <미스터 션샤인>의 경우 주체는 내레이터를 통한 내면 보이기, 서사 진행 등 자신을 설명하는 이미지텔링 방법을 사용했다. 원조자 일부, 발령자는 내면 보여주기의 이미지텔링 방법도 아울러 사용했다. 하지만 대립자는 간접적 보여주기로만 이미지텔링되었다. 이로써 드라마 인물 유형별 이미지텔링 방법상의 차이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에니어그램 기반 돌봄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람돌봄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Interpersonal Caring in an Enneagram-based Care Intervention Program)

  • 신은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37-645
    • /
    • 2023
  •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기반 돌봄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사람돌봄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일지역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중인 9명이었고, 자료수집은 면담기록, 진술,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2022년 4월 25일부터 8월 26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을 선택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나눔과 경청을 통한 알아봐줌', '위로와 용서를 통한 수용', '일상의 동참 및 동행을 통한 칭찬과 희망부여' 3개의 범주와 10개의 주제묶음으로 나타났다. 사람돌봄성찰일지를 작성하면서 비판적인 성찰을 통하여 돌봄의 의미를 깨달고 사람돌봄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고 생생한 사람돌봄 경험을 확인하여 개인적인 경험과 느낌, 깊이 있는 이해에 대한 심층적인 성찰을 통해 사람돌봄 능력이 향상되고 돌봄을 내재화시켜 자신의 돌봄 능력에 대한 확신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에니어그램을 기반한 사람돌봄 경험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학습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람돌봄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자료로 활용되어 사람돌봄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어린이·청소년의 성격유형별 대출도서 선호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 of Preferred Loan Books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 한윤옥;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55-2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청소년의 선호도서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설정하고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도서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8개교 5학년 394명과 중학교 7개교의 1학년과 2학생 374명 총 768명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대출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유형별로 선호도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작품분석지표를 통해 얻어진 선호도서의 결과 중 특이값의 결과가 에너지를 사용하는 중추센터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머리형(사고형), 가슴형(감정형), 배형(본능형)의 영역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성격유형별 맞춤식 독서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성격유형별 맞춤형 도서 제공이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행복감과 독서성향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oviding Book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 on Their Reading Attitud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Happiness And Reading Tendency)

  • 조현양;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3-46
    • /
    • 2018
  • 이 연구는 성격유형별 맞춤형 도서 제공이 초등학생의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의 초등학교 4학년~6학년 226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행복감과 독서성향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검사하고 성격유형에 맞는 맞춤형 도서를 제공하여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성격에 맞는 책을 처방해준다는 사실이 학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독서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 둘째, 자신의 성격 유형과 비슷하게 나온 친구들의 책을 함께 바꿔 읽기도 하면서 다양한 책에 접하는 노출되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었다. 셋째, 자신과 다른 성격유형의 책들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생겼고 그 책들을 모두 읽고 싶다는 의지가 나타났다.

자동분류기반 성격 유형별 도서추천시스템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Using Automatic Classifica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Type)

  • 조현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15-23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인별 성향이나 성격 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도서에 차이가 있음을 전제로,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추천도서의 책소개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별 성격유형에 적합한 도서를 합리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서평 자동분류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 제공하는 501권의 유아 및 아동도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에 활용된 2가지 기계학습 모델(비선형 커널 및 선형 커널) 각각에 대해서 총 6가지의 색인어 가중치 계산 방법과 자질 선택 방법, 그리고 10가지의 자질 선정 임계치 조합으로 구성된 360개의 분류 모델들을 구성하고 각각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전체적으로는 선형 커널을 이용한 SVM 기반 학습 방법(LIBLINEAR)이 비선형 분류를 지원하는 LibSVM(RBF 커널) 모델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능 측정 결과는 뉴스 기사나 논문을 대상으로 한 문헌 분류 성능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합리적인 분류 기준이 존재하는 뉴스기사나 주제 분류에 비해서 성격 유형 기반 분류는 그 난이도가 높다는 것을 감안할 때, 초기 실험 결과로서의 의미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