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 Type and Image-telling in Drama

<미스터 션샤인>의 인물유형과 이미지텔링

  • Jo, Mi-Sook (College of Liberal Arts, KonKuk University)
  • Received : 2020.06.19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types of characters in the drama by applying Gremas's Actantial model and Enneagram's character typology and examines how they are shaped. As the Korean Wave is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ype of characters and how to describe them. Charact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influence of drama. As a result of applying to the Actantial model,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ain subjects are Yu-jin Choi and Ko Ae-sin, the Helpers are many people helping the subject, the opponent is the pro-Japanese figures, the Sender is Gojong, and the recivers are the people of Joseon. Analysis results by personality type of Enneagram,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 are 3 and 5 type, the Helpers are various types, the opponent is 3 type, the Sender is 5 type, and the receivers all types. In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subject, internal description (direct description) is used, and the other is only formed by indirect description. Some of the Helpers and the Sender are used an image-telling method to show the inside. However, the opponent is image-telling only to show indirectly.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s and effects on the method of image-telling by character type.

이 글은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형과 에니어그램 인물유형론을 적용하여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인물 유형을 분석하고 그 이미지텔링 방법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한류 드라마가 중요한 콘텐츠가 되고 있는 오늘날 그 등장인물의 유형과 묘사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해진다. 드라마의 영향력에 있어서 인물은 핵심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인물 유형 분류를 위해 인물의 작중 내 역할에 주목하는 행위소 모형에 <미스터 션샤인>을 적용한 결과 주체는 유진 초이와 고애신, 원조자는 주체를 돕는 많은 이들, 대립자는 친일파 인물들, 발령자는 고종, 수령자는 조선의 국민들로 나타났다. 이를 인물 성격 유형인 에니어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주체는 3, 5유형, 원조자는 다양한 유형, 대립자는 3유형, 발령자 5유형, 수령자 모든 유형이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정 역할, 특정 성격을 드라마에서 어떻게 이미지텔링하는가가 이 글의 또 다른 관건이었는데, <미스터 션샤인>의 경우 주체는 내레이터를 통한 내면 보이기, 서사 진행 등 자신을 설명하는 이미지텔링 방법을 사용했다. 원조자 일부, 발령자는 내면 보여주기의 이미지텔링 방법도 아울러 사용했다. 하지만 대립자는 간접적 보여주기로만 이미지텔링되었다. 이로써 드라마 인물 유형별 이미지텔링 방법상의 차이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류팬이 꼽은 드라마 1위는 '미스터 션샤인', 가수 1위는?」(「머니투데이」, 2019.2.27. http://bitly.kr/XTPUVqaJ)
  2. 이영미, <미스터 션샤인> 맥락 잡기, 황해문화, 2018, pp. 270-275.
  3. 주창윤, <미스터 션샤인>, 역사의 소환과 재현 방식」, 한국언론학보 63(1), 2018, pp. 228-252.
  4. 김헌주,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애국서사 분석과 역사콘텐츠의 명과 암」, 글로벌문화콘텐츠 38, 2019, pp. 27-42.
  5. 오윤홍, 역할 유형에 관한 연기연구: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주조연배우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8), 2018, pp. 65-73.
  6. 김의준, 김은숙 드라마 <도깨비>의 몰입기제 구축과정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3(2), 2019, pp. 79-91.
  7. 양진문, 텔레비전 드라마 <허준>의 인물 형상화 방식 연구, 대중서사연구42, 2017, pp. 324-350,
  8. 이은영, 한국 지상파 방송 드라마에 나타난 외국인 등장인물의 인구학적 특성과 묘사에 대한 분석,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pp. 58-94.
  9. 박은초.이재규, TV 드라마 프로덕션디자인에서 공간에 의한 인물의 시각화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6(-), 2013, pp. 39-48.
  10. 주효진.임훈, 메디컬 드라마 등장인물의 캐릭터 구조와 유형분석, 사회과학연구 41(2), 2017, 29-54.
  11. 공현희, 행위소 모형과 에니어그램으로 본 캐릭터의 역할과 성격의 상관성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pp. 57-68.
  12. 김정희, 이미지텔링과 글로컬 문화콘텐츠의 전략 : 영화<아멜리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77, 2012, p. 114.
  13.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14. Don Richard Riso.Russ Hudson, Personality types: using the enneagram for self-discovery, 윤운성 외 역,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학지사, 2010, pp. 53~58.
  15. Michael Hamson, 한국 에니어그램 연구원 역, 크리스천 에니어그램, 스토리나인, 2012, pp. 16-30.
  16. 윤운성, 에니어그램(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3, p. 16.
  17. 송종인.박치완, 이미지의 이중성과 복합성, 글로벌문화콘텐츠, 2012, pp. 155-156.
  18. 주창윤, <미스터 션샤인>, 역사의 소환과 재현방식, 한국언론학보 63(1), 2018, p.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