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xhaustion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5초

일부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 소진,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융합 연구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dental hygienists)

  • 강미현;장선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95-103
    • /
    • 2017
  • 본 연구에서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감정노동 수준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의 변화정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대전, 대구 지역에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부터 2016년 11월 까지 조사하였으며, 292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감정노동과 소진은 모든 문항은 양(+)의 연관성으로 나타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소진은 높게 나타났고(P<.01), 직무만족은 음(-)의 연관성이 나타나 감정노동이 낮을수록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다(P<.01). 또한 이직의도에서 감정노동은 양(+)의 연관성이 나타나 감정노동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도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진 경험정도와 직무 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상과 복지혜택을 늘리는 방안이 모색 되어야한다.

고객 무례행동의 부정적 정서를 통한 감정소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stomer incivility on emotional exhaustion through negative affectivity)

  • 한수진;최민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86-496
    • /
    • 2018
  • 고객무례행동은 서비스 직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 중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되어 왔으며, 이는 공무원 조직의 민원처리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고객 무례행동의 부정적 효과 및 이를 줄일 수 있는 방안 파악을 연구목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원보존이론을 바탕으로, 고객 접점에서 발생하는 고객 무례행동을 경험한 직원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게 되며 이는 결국 감정소진을 이끌게 될 것이라 예측하였다. 또한 직원들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원(조직지원, 상사지원, 동료지원)이 고객무례행동과 부정적 정서간의 관계를 완화시켜줄 것이라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481부의 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무례행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한다. 둘째, 부정적 정서는 고객무례행동과 감정소진과의 관계를 매개한다. 셋째, 고객무례행동과 부정적 정서와의 관계는 사회적 지원 중 조직지원인식만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근무여건과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육 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Variables Affecting Turnover Among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ors)

  • 심숙영
    • 아동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9-349
    • /
    • 1999
  •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work condi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personal fulfillment). Subjects were 144 early childhood educators. Teachers most likely to leave the profession were more educated, has less teaching experience and reported higher levels of burnout (i.e. high emotional exhaustion and lower personal fulfillment). Turnover was also predicted by high depersonalization, lower personal fulfillment, working overtime, and perceived choice of other jobs.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were discussed.

  • PDF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exhaustion on Middle School teacher)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81-87
    • /
    • 2018
  • 교사들 사이에 명예퇴직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이는 급격한 환경변화와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의 스트레스와 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창원시 소재 중등교원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정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비인격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감소된 개인성취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중등교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과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교원의 스트레스요인의 분석을 토대로 한 행정의 간소화, 수업에의 몰입이 가능토록 개선이 시급하다하겠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Psychological-exhaustion of Counselors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 선국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57-164
    • /
    • 2013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들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소진의 원인을 규명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의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via Burnout)

  • 강미영;한나영;배상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1호
    • /
    • pp.309-327
    • /
    • 2017
  • 최근 감정노동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노동이(표면행동, 내면행동)이 직무소진(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감정노동이 요구되는 콜센터종사자, 백화점판매원, 금융종사자, 병원접점종사자, 호텔접점종사자, 승무원, 고객센터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300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실증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접점 종사자들이 직무수행과정에서 선택하게 되는 감정노동의 유형인 표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행동은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소진 중 탈인격화와 자아성취감 저하는 모두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고갈은 반생산적과업행동(조직일탈, 개인일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요양병원 근무한의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urn out of K.M.D.s (Korean medicine doctors) work at convalescent hospitals in Kwang-ju and Jeon-nam, Korea)

  • 문준석;신헌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5-128
    • /
    • 2013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burn out degree of K.M.D.s(Korean medicine doctors) who work at convalescent hospitals and to find contributional factors for the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 out and job performance was also studied. Methods : 77 K.M.D.s(Male 49(63.6%), Female 28(36.4%))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at has 62 main questions about burn out, job performance, job environment and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rvey was conducted from 19th Aug. 2013 to 6th Nov. 2013. Results : Average of burn out degree of K.M.D.s was 2.62 out of 5. Emotional exhaustion was highest (2.80) and depersonalization was lowest(2.20) among subordinate concepts of burn out. Work place location and average income of the subjective which are subordinate concepts of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performance. Role conflict, relation of co-worker, workload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emotional exhaustion and meaning of the job, will of patient, challeng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lack of feeling of accomplishment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lation of co-worker, aggression of patient and meaning of the job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for depersonalization. Conclusion :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feeling of accomplishment among subordinate concepts of burn out were high in the subjective who participated this study. Signific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burn out of this study, shows different result compare to the studies that show other factors contribute to burn out who works at convalescent hospital or other place.

언론인의 직무 스트레스가 정서적 탈진과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언론인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journalists job stress to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Physical symptoms effect -journalists in Seoul-)

  • 박상영;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48-355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인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가 정서적 탈진과 신체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한 기초 안을 수립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종합일간지 11개사 편집국 소속 언론인 124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요인분석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정서적 탈진은 '양적역할 과다(r=.613, p<.001)'와 '역할갈등(r=.195, p<.05)'이, 신체적 증상은 '양적역할 과다(r=.219, p<.05)', '경력관리(r=.529, p<.001)'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언론인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정신적, 신체적 건강증진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언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증상과 정서적 탈진 -서울시 언론인을 중심으로- (Journalis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symptoms and emotional exhaustion -Study of Seoul journalists-)

  • 박상영;조성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218-622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인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증상과 정서적 탈진과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한 기초 안을 수립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종합일간지 11개사 편집국 소속 언론인 124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등을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적 증상은 성별과 연령, 결혼여부, 직급과 유의미하였고, 정서적 탈진은 성별과 연령, 일요일 근무주기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언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육체적, 정신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linical dental hygienist emotional intelligence on burnout)

  • 김영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0-416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치과위생사의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고객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 치위생 조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임상치과위생사 394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은 소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23, p<.001)를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소진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r=-.316, p<.001), 비인격화(r=-.474, p<.001), 성취감 저하(r=.639,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소진에 관련요인으로 자신의 감성이해, 타인의 감성이해, 감성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감성지능이 소진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치과위생사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앞으로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을 높여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 구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