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engagemen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3초

Social Supports from Organization and Customer: An Integrated Model

  • Yoo, Jaew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1-14
    • /
    • 2014
  • This study applies the job-demands resource (JD-R) model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effect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i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service employee work engagement and customer-oriented attitude. This paper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that suggests that the service employee's work engagement is the consequence of the employee's perceived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and its customers (customer participation) and leads to a customer-oriented attitude. However,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s somewhat hindered by job insecurity, demonstrating the inability of an organizationally provided job resource to overcome the job demand of job insecurity. As a type of job demand from customer's perspective, customer crowding is suggested as a negative moderator in the link between customer participation and work engagement. As such, this article proposes how different elements of a service employee's work environment interact to ultimately influence the service employee's customer-oriented attitude.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focuses on how the negative contextual elements of job insecurity and job crowding (i.e., job demands) interact with the potentially positive elements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customer participation (i.e., job resources), as well as with an employee's customer orientation, to ultimately develop a customer-oriented attitude.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propositions for potential causal relationships among key constructs that can be empirically tested in future research, as well a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for both managers and researchers.

  • PDF

시각장애인도서관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Working in Librar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 박성호;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304
    • /
    • 2021
  • 이 연구는 시각장애인도서관 직무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배경, 감정노동, 역할, 직무특성, 조직문화, 조직공정성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인들은 양적 검증에 질적 검증을 보완한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양적 검증은 수집된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와 분석을 진행하였다. 질적 검증으로는 희망하는 현직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지 내용을 면담지로 재구성한 후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감정노동, 직무특성, 조직문화, 조직공정성이 직원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담당업무에 대한 조직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재량권 확대를 통한 자율성 보장해 주어야 하며, 직원들의 감정노동에 대해 조직 차원의 집중 관리와 업무성과에 대한 공정한 절차를 거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Labeling and Customer Loyalty: Mediating Effects of Brand-related Constructs

  • Gulzira, Zheltauova;Han, Sang-Li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65-9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rand loyalty formation by positive labeling. Affecting such factors as involvement, self-image, community engagement, preference, and choice cutback, positive labeling can be seen as one of psychological factors that shapes consumer's behavior and their decis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because little research was don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sitive labeling toward brand loyalty, and also to find out the benefits that consumers can get from being labeled in positive ter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and 151 usable responses were used. Following a series of pretes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helped to purify measures and verif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was used for testing of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 of data analysis demonstr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abeling and brand loyalty, i.e. positive labeling indirectly leads to consumers' loyalty toward a brand. Finding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volvement and emotional attachmen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engagement and choice cutback. The results gave support for the hypothesis of moderating effect of buzz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olvement and emotional attachment, even though the hypothesis of moderating effect of distinction was rejected. Taking Apple's rivalry strategy as initial point, this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labeling in creating social identity. The study attempts to show the positive consequences of labeling strategy for firms that seeks ways of good competition without engaging into conflicts.

대구·경북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Contribution of Emotional Labor to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허창구;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10-618
    • /
    • 2015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조리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적절한 대책 및 개입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4년 3월 3일부터 2014년 4월 25일까지 총 35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3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리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의 전체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표면행동 2.38/5.00점, 내면행동 3.46/5.00점, 직무 소진 2.67/5.00점, 직무 열의 3.41/5.00점으로 나타났다. 표면행동 점수는 일반적 특성 가운데 조리사 자격증의 유무(P<0.001)와 이직 횟수(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면행동 점수는 학력(P<0.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01), 고용형태(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1일 급식 횟수(P<0.05)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직무 소진 점수는 학력(P<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 열의 점수는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1),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그들이 사용하는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에 따라 매우 상이한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이들이 표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소진이 높아졌으나 직무 열의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내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열의가 높아졌으나 직무 소진은 변화하지 않았다. 특히 조리원의 감정노동은 표면행동이 내면행동에 비해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감정노동 상황에서 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변인은 표면행동으로 인한 직무 소진임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하지만 표면행동이 직무 열의를 낮추지는 않는다는 점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지는 않았다는 점을 통해 표면행동 상황에서도 내면행동이 유발될 수 있으며, 내면행동의 증가로 직무 소진을 낮추지는 못하지만 직무 열의를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하겠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먼저 이론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 즉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을 직무장면의 주요 결과변인인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감정노동 전략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 행위가 부정적인 결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조리원을 대상으로 내면행동의 의미, 필요성, 결과에 대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 감정노동 전략을 학습시킴으로써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수행할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표면행동이 직무 소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주기적인 감정노동 진단을 통해 낮은 내면행동과 높은 표면행동을 주로 사용하는 종업원의 경우 직무 소진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지니는데 먼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연구가 지닌 공통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제한점을 본 연구 역시 지니고 있다.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동일한 설문지에서 측정함으로써 변인의 영향 관계가 역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응답자의 응답환경을 통제하지 못했다. 즉 각 작업장 별로 동일한 시간과 환경 하에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그로 인한 오염요소가 존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위의 제한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연구주제와 관련해서는 학교급식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단체급식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양사와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과 그로 인한 결과에 대한 비교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감정노동 이외의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초등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참여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engagement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using open-ended tasks)

  • 남인혜;신보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1호
    • /
    • pp.57-78
    • /
    • 2023
  • 학생의 수업 참여는 수업의 방향과 성과를 결정지을 뿐만 아니라 학업 성취 및 후속 학습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학생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지닌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중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들이 드러내는 수업 참여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교사의 발문에 자발적으로 답하거나 어려움을 참고 과제를 끝까지 수행하는 행동적 참여, 박수를 치거나 자리에서 일어나는 등의 즐거움을 표현하거나 자신의 감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정서적 참여의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말할 때 실생활 예를 들어 설명하거나 과제 해결에 사전 지식을 이용하였으며 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인지적 참여 양상을 보였고, 친구의 의견을 물어 공동의 아이디어를 구성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거나 모둠 활동에서 친구와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받는 등의 사회적 참여 모습을 보였다. 이상은 개방형 과제를 활용하는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학적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효과적인 개방형 과제 활용 수업을 실행하는 데 교사의 지지와 긍정적인 피드백, 모둠 활동 및 소집단 토론으로 구성된 수업 방법, 놀이 및 게임 활동에 기반한 과제 제시 방식 등이 갖는 잠재적 중요성을 보여준다.

진성리더십이 사회복지시설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blic Welfare Officials' Customer Orientation on Authentic Leadership)

  • 진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247-256
    • /
    • 2015
  • 본 연구는 사회복지시설 종자사의 고객지향적 태도가 고객만족을 위해 중요하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진성리더십이 직무열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고객지향성이라는 직무수행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측면에서 구분해서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도의 인지적 측면인 진성리더십 인식을 독립변수로, 태도의 감정적 측면인 직무열의를 매개변수로, 고객지향성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용인시 소재 장애인복지시설과 노인복지시설에서 종사하는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2.0과 AMOS 19.0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복지시설종사자의 직무소진과 감정노동에 의한 탈진에 반대되는 직무열의라는 긍정적인 직무태도가 매개효과로서 긍정적 효과를 줌으로써 진성리더십과 직무열의는 고객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분석결과로 도출되었다.

HMD(Head Mounted Display) 가상현실 광고가 현존감과 인게이지먼트 수준에 따라 태도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sence and Engagement in HMD(Head Mounted Display) Virtual Reality Advertising on Attitude and Memory)

  • 한광석;조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9-146
    • /
    • 2019
  • 본 연구는 HMD 가상현실 광고를 경험한 사용자가 현존감(인지적, 감성적, 미디어 현존감)과 인게이지먼트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기억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기억 효과의 경우 사용자가 광고를 통해 기억 하는 정보를 '개별적인 속성 기억정보(ARM: Attribute-Related Memory)'와 '종합적인 평가 기억정보(GRM: Global-Related Memory)'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HMD 기반 가상현실 광고에 대한 태도는 현존감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둘째, 가상현실 광고에서는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낮으면 제품 속성 중심의 정보들을 기억하는 ARM이 증가하나 반대로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높으면 제품에 대한 태도 중심의 평가적 정보에 대한 기억인 GRM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현존감과 미디어 현존감은 모두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낮으면 ARM이 GRM보다 많이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피험자 수를 늘리고 가외 변인을 줄일 수 있는 실험물 조작이 요구된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참여 증진을 위한 관리자의 운영 전략: 대학별 대나무숲 분석을 중심으로 (Can Online Community Managers Enhance User Engagement?: Evidence from Anonymous Social Media Postings)

  • 김혜정;황승엽;곽유신;최정혜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2호
    • /
    • pp.211-228
    • /
    • 2022
  • 소비자와의 소통을 위한 온라인 커뮤니티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이용자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성공적으로 커뮤니티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세분화된 운영 전략 도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참여를 소극적 참여와 적극적 참여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관리자로서의 전략적 참여 요소가 어떻게 이용자 참여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관리자가 가시적으로 존재하는 대학별 대나무 숲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인 추정이 가능한 SUR(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겉보기 무관 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관리자의 직접적인 커뮤니티 참여는 이용자의 소극적 참여와 적극적 참여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리자가 간접적인 커뮤니티 참여의 일환으로 게시글 및 댓글을 관리함에 있어, 게시글에 포함된 감성 단어의 수는 이용자의 소극적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적극적인 참여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게시글의 감성과 극성이 일치하는 댓글이 상단에 노출된 경우, 이용자의 소극적 참여가 증진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관련 이해의 확장에 기여하고 이를 토대로 커뮤니티 관리자의 역할 및 운영 전략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와 실천적 의미를 지닌다.

임상간호사의 기질·성격, 감성지능이 셀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leadership of Clinical Nurses)

  • 박원숙;오경미;유재선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3-274
    • /
    • 2021
  •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leadership of clinical nurses.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clinical nurses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 cit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0 to May 5, 2020, using offline questionnaires. A total of 343 answ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hree-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Factors influencing self-leadership of clinical nurses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 city were persistent among temperament (β=.331, p<.001), personal maturity (β=.408, p<.001), and total emotional intelligence (β=1.062, p<.001). These factors contributed 58% of self-leadership (F=29.20, p<.001).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persistent among temperament and personal maturity among character, emotional intelligence were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of clinical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programs to control the factors affecting self-leadership of clinical nurses to increase self-leadership.

컴퓨터교육 전공 수업에 적용된 학습성찰의 효과 (Effect of reflection on learning in computer education courses)

  • 허희옥;강의성;소원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1-25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교 학생들의 학습성찰이 그들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습 내용과 경험에 대한 성찰 활동은 컴퓨터과학 분야의 학습자들이 겪을 수 있는 학습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공적인 학습성과를 얻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3개의 컴퓨터교육 전공 수업에 수강한 대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에 수업 내용에 대한 성찰 활동을 6번 이상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과제가치, 학습참여, 학업성취도를 학기 시작 시기와 종료 시기에 측정하였다. 또한 성찰 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의견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심층적인 성찰 활동은 학생들의 인지적, 행동적, 감성적 학습참여,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과제가치를 포함한 학습동기 증진을 위한 성찰 전략의 개발, 협력적 성찰 기회 제공 등이 후속 연구로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