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초

학부모의 한의약 이용 경험에 따른 한의사 교의사업에 대한 인식 조사 - 초등학교 성교육을 중심으로 (Survey of the Perception of School Doctor Program of Korean Medicine according to the use of Korean Medicine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Sex Education)

  • 박정수;성현경;고호연;이승환;이세연;신선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1-48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dequacy and satisfaction of the school doctor program of Korean medicine (especially sex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xamine differences in parents' perception 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use of Korean Medicine.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one elementary school that provided sex education as the Seoul school doctor program of Korean medicine. A self-reporte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arents and children's experience in using Korean medicine, perception of the school doctor program of Korean Medicin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school sex education. Results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ay 14th, 2022 during the school doctor program of Korean Medicine briefing session. A total of 92 par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 88 respondents analyzed who voluntarily gave consent. Of the experience of Korean Medicine, 71 parents (80.68%) had lifetime, 16 (18.18%) respondents had within the last three months, and 40 (45.45%) said their children had. Parents' experience of using Korean medicine was related to that of their children'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the school doctor program of Korean Medicine. Conclusions : The survey showed that parents of an elementary school where Korean Medicine doctors carried out school doctor program evaluated that the school doctor program of Korean Medicin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healt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arents' satisfaction on school doctor program by the use of Korean medicine.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애착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Child Attachment)

  • 김영혜;손현미;양영옥;조영란;이내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83-389
    • /
    • 2007
  • Purpose: In this study, the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was assessed, and parent-child attachment level associated with the addiction was analyzed. Method: From December 5 to 23, 2005,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990 Busan C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5th and 6th grad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ir characteristic features in playing Internet games based on the K-scale developed by KA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 and standard deviation, $X^2$-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1. With regard to the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71.2%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general users, and 6.3%, at high risk for addiction. Mean scores were 103.3 for the high-risk group, 77.7 for the potential risk group, and 55.86 for the general user group. The total mean was 63.74. 2. Mean scores for parent-child attachment levels were 97.1 and 99.6 for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llaborative program to educate and counsel parents to increase the parent-child attachment level needs to be established in protection and recovery programs for Internet game addiction.

  • PDF

"영화공작소" 과학·예술 융합형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초등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 진로인식 및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Development of "Movie Production Project" Science-Arts Convergence STEAM Program and its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Orientation of Science, Career Aware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 유미현;박기수;장우진;석혜정;김성환;박문숙;이진아;이종섭;진숙희;유화수;정현지;최정진;강윤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1호
    • /
    • pp.31-51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영화공작소" 과학-예술 융합형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교에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생 82명이 참여하였다. 43명은 실험집단으로, 39명은 비교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과학 진로지향도, 진로인식, 창의적 성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과학 진로지향도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 중 과학 학습 선호도, 과학 진로 선호도와 과학 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둘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진로인식 전체 점수와 4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셋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 학생의 창의적 성향 전체 점수와 독립심, 개방성의 2개 하위영역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넷째, "영화공작소"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 학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프로그램이 흥미로웠고, 수준은 약간 쉬웠으며 또 다시 공부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 PDF

보기보다 쉽지 않다: 초등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수학교사의 인식 (Not as easy as It Looks: Korean Elementary Classroom Teacher Perceptions of Mathematics Curriculum)

  • 정인숙;류희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4호
    • /
    • pp.365-377
    • /
    • 2006
  • 본 연구는 제7차 수학교육과정에 대한 한국 초등 수학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자들이 고안한 설문지를 사용한 결과 모두 143명이 설문에 응하였다. 데이터는 기술적 방법에 의거 분석되었다. 응답자의 67%가 교육 과정이 범위와 계열에 있어 만족스럽다고 보고 있으나 43%는 가르칠 내용의 교수학적 전략이 교사용 지도서에 보다 자세히 명기될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38명(26%)는 너무 많은 내용이 지도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35명(24%)는 가르칠 내용이 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에 비해 너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응답자들은 수학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으로 과외 활동으로 인해 관계로 능력 차가 매우 다른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개별화하는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 PDF

환경문제의 위해도 인식과 위해도 홍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라돈과 다이옥신을 중심으로- (A Study on Risk Communication and Risk Perception in Environmental Problems)

  • 김진용;신동천;박성은;임영욱;황만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7권4호
    • /
    • pp.315-324
    • /
    • 2002
  • Risk communication can be defined as the exchange of information about the nature, magnitude, significance, acceptability, and management of risk. The effect of risk communication on the perception and knowledge towards risk of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it's related factor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knowledge of students and teachers towards risk of environmental pollutants, we conducted the survey using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574 for the first survey and 465 for the seconds survey from May to June, 2000. The main methods of transmission used in this study- through video tape, visual materials, question and answer, and participation in measuring pollutants - were not a one - way street. But an interactive process where information and opinions were exchanged among individuals, groups, and institutions. Environmental pollutants measured with participation of study subjects was Radon in the class room. The concentration of Radon was measured using E -PERM Device by installing it at each site for about 5 days. Subjects showed much interest in environmental pollution. Also, more than 98% of total subjects were perceived as Korea is seriously contaminated at present. By risk communication activity, risk perception of all subjects about Radon w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risk perception of Dioxin was decreased except for elementary student. Moreover, knowledge of all subjects about environmental risk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 =0.0001) and effort of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was more increased (p<0.05). There is need to further develop, refine, and integrate these approaches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 study, there is an even more pressing need to accelerate the diffusion of environmental risk communication practice into government and organizations.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Difference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고민석;박병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27-447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듬게임을 활용한 효과적인 음악교육 게임 제작 (Rhythm Game Design for Effective Music Education)

  • 박승이;길태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3-42
    • /
    • 2012
  • 음악 학습효과 및 감상능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음악교육용 리듬게임 제작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음악게임을 제작한 후 초등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실험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음고(pitch), 음가(duration), 음량(loudness) 지각을 바탕으로 한 반복적인 멜로디 패턴의 노트설계를 통해 음악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으며, 시각, 청각, 촉각의 공감각적 이해를 통해 음악 감상교육의 효과 및 학생들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었다.

학교도서관에 대한 초·중등 학생의 장소성 형성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ceness Form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chool Librari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73-97
    • /
    • 2017
  • 학교도서관은 공간임과 동시에 장소이다. 가정과 집의 개념이 다르듯이 공간은 물리적 형태를 말하고, 장소는 각 개개인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 개념이다. 초 중 고 학생은 사회적, 인지적 발달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학교도서관에 대한 느낌 즉, 장소성이 다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 학생 간에 장소성 형성요인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 이 장소성이 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의도로 이어지는지 그 과정을 검증하였다. 590명의 초 중 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설문 데이터는 SPSS 19와 AMOS 19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 심리적 요소 모두 초 중 고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장소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물리적 요소, 활동 행태적 요소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장소성은 장소애착, 장소가치인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려는 행동의도로 연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생의 식습관 실태 및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A Study on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erception on the Nutrition Education in Curriculum)

  • 이지은;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일부 경기지역 초등학생의 식습관의 문제점과 영양지식, 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파악함으로써 식습관의 정립시기에 있는 초등학생들이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영양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n=526)을 대상으로 하여, 식습관, 영양지식, 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처리는 SAS (ver. 8.2 SAS Institute Inc. Cary, N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범주형 자료의 경우 빈도와 백분율로 표시하여 남${\cdot}$여 간의 차이를 $X^2$-검정과 Fisher의 정확성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연속형 자료의 경우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시하여 남${\cdot}$여 간의 차이를 Stu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모든 분석은 a=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조사 대상 초등학생들의 $87.6\%$는 하루 3회 이상 식사를 하였고, 식사를 규칙적인 시간에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76.7\%$였다. 식사속도는 $21.3\%$가 타르다, $15.4\%$는 느리다고 하였으며, 식사량은 $74.0\%$는 적당량 먹고 있었으나 $17.2\%$는 배부르게 먹는다고 하였다. 아침식사는 $69.6\%$만이 매일 먹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간식은 $82.5\%$의 학생이 하루에 1-2회 하고 있었다. 본 조사대상 아동들 중 $69.3\%$는 자신의 식습관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고 편식(50.1)과 식사시간의 불규칙 $(11.7\%)$, 과식$(9.4\%)$ 등을 식습관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본 조사대상 아동의 영양지식 인지도는 $99.5\%$였고 정확도는 $81.4\%$로 영양지식 인지도에 비해 정확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조사대상 아동의 대부분$(99.1\%)$은 학교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조사대상 아동 중 $56.3\%$만이 학교에서 영양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실과를 통해 영양교육을 받고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학교 영양교육의 내용으로 음식조리$(29.5\%)$, 성장과 영양$(23.4\%)$, 올바른 식사습관$(21.1\%)$ 등에 대한 내용을 비중 있게 다루어주기를 원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연구대상 초등학생들은 자신의 식습관에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학교 영양교육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므로 학부모와 교사는 학생 개개인의 식습관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학생들이 올바른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과 생활지도를 통해 계속적인 지도를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등학교 비만 아동과 정상 체중 아동의 체중 조절 실태와 식습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Control and Food Habit in Obese and Normal-Weight Elementary Children)

  • 허영희;최미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2-280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the weight control and food habits in 160 obese children and 191 normal-weight children in 4th, 5th and 6th graders of some elementary schools in Gumi city. Regarding the subjects' self-recognition of their body shape, 27.8% of the normal weight group and 92.5% of the obese group acknowledged themselves to be obese. 58.9% of the normal weight group and 61.0% of the obese group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own body shap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very small, 23.6% of the normal weight group and 87.5% of the obese group have tried to reduce weight. The main causative factor of weight gain that children themselves recognized was a sedentary life style. All the students showed a high rate of irregular and unbalanced diet. The obese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skipping meals and eating meals faster than the normal weight children. More obese children disliked exercise, and did less excercise than the normal weight childre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besity index and the food habit score. In other words, they frequently skip a meals, eat in a hurry and dislike vegetables and dairy products. In addi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BMI and the parents' BMI. Overall, many normal weight children showed a high level of self-consciousness of being obese or underweight. Both groups showed a low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own body shape. Therefore education for the distorted perception of body shape is needed because, even normal weight children have tried to reduce their weight. Obese children should be encouraged to exercise, not skip a meals and eat slowly. They also need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on weight reduction and weight maintenance. Moreover, education on a healthy diet, healthy food habits, and healthy body shape are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