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welfare facilities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2초

시각장애인 점자블록 설치기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Installation Standards f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 강병근;신동홍;박광재;김상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57-66
    • /
    • 2015
  • Purpose : The guidelines of establish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have not consistently been provided to the identical criteria in walking facilities. Thus, transportation poor had difficulties in walking environment. Method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practical direction of guidelines of establish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guidelines for establishing facilities, and then analyzes international criteria, with comparing criteria used in German. Therefore, findings from those analyses can provide the secure and convenient environment for walking to transportation users, in particular blind and vision-impaired people, the handicapped, the child, and the elderly and the weak. Results : For the improvement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the clear criteria of establish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s propos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walking environment. Then, the sample item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situations need to be exemplified. To provide more secure environment walking for transportation poor, the establishing criteria partially adopted ideas from Universal Design also need to be developed. Implication : The proposed detail drawing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need to be tested by transportation users due to high safety in walking circumstance, and also the guidelines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lso needs to be studied.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전체 주민과 노인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Whole Residents and the Elderly -)

  • 윤정미;최막중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1-29
    • /
    • 2014
  •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이 중시되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건강과 여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환경과 도시민의 여가의 관계에 주목하여 공원, 하천과 같은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거주민, 특히 고령화 사회의 사회적 관심사인 노인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여가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수요와 공급요인 중에서 선행연구는 주로 수요측면의 개인 특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 본 연구는 공급측면의 환경적 지역적 특성을 함께 고찰하는 특성을 지닌다. 분석자료는 개인의 거주지역 정보가 행정동의 근린수준까지 세분화되어 있는 2010년 국민여가활동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특성을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함께 위계선형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에서 일관되게 발견되는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공급은 거주민의 옥외 여가활동 증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이러한 오픈스페이스 공급효과는 노인계층에서 더욱 크게 나타난다. 셋째,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제공하는 옥외 여가활동은 상대적으로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은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게 더욱 유용하다. 종합하면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공간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노인시설, 공공보건시설, 사회복지시설로서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시오픈스페이스는 도시계획시설의 관점에서 고령화사회에 대응하고 건강도시와 복지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지방공공재 공급계획의 일환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지역사회 노인의 욕구 및 인식차이 조사 : 울산광역시 중심으로 (The Need and Perception about Volunteer of Student from Department of Health Care for the Old in the Community : Focus on Ulsan City)

  • 홍은경;김경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1-80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내 보건의료관련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 그룹과 경험이 없는 노인 그룹에서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욕구 및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 8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79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노인의 현재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보통의 응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현재 앓고 있는 질환을 알아본 결과, 재활의학과, 순환기내과, 앓고 있는 질환이 없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노인의 인식 정도를 알아본 결과, 이전에 보건의료관련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경험이 없는 그룹 모두에서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이전에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그룹과 경험이 없는 그룹 사이에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에는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었다. 노인이 참여하고 싶은 보건계열 대학생의 봉사활동은 재활의학과 서비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내 의료사각지대에 있는 노인에게 필요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보건계열 대학생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봉사활동이 필요하다.

  • PDF

사회복지사 연령별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 비교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Life Balance of Social Workers by Age)

  • 김요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78-184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연령에 따라 일-생활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비교·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이며 설문에 참여한 42개 시설 31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은 사회복지사의 개인 요인(Level 1)과 기관 요인(Level 2)을 산정한 다층모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 전체 변량의 20.2%가 지역복지관별 차이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 요인에서는 직무요구와 가족 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과 경제상태는 일-생활 균형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별 사회복지사의 일-생활 균형의 영향요인 검증한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직무요구가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에서 가족 요구와 남성보다 여성이 일-생활 균형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상태도 일-생활 균형에 중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 일-생활 균형 향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 and Obesity of the Elderly)

  • 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54-26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부정적 정서와 비만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적정 체중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충청북도 J시에 위치한 2개소의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16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7년 8월 14일부터 8월 30일까지 설문지 조사와 신체계측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CES-D, RULS, BPS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2-test$, Fisher' exact test, Pearson's correlation, Logistic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의 평균은 $23.59{\pm}3.48$이었으며, 31.9%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군과 비만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변수는 연령(${\chi}^2=8.16$, p=.003), 성별(${\chi}^2=9.27$, p=.002), 흡연 유무(${\chi}^2=7.78$, p=.004), 우울(t=2.54, p=.012)과 사회적 고립감(t=2.98, p=.003)이었고, 우울 (OR,1.04; 95% CI,1.00-1.09)과 사회적 고립감(OR,1.06; 95%CI,1.02-1.11)은 비만의 위험을 높이는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 인구에서의 비만관리를 위하여 우울과 사회적 관계를 적절히 파악하고 측정해야 하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의 요구를 모두 충족시키는 체중관리 프로그램 및 간호중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지역 후기노인의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on Physical Activity of Old-Old Elderly)

  • 이정화;서순림;김은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369-383
    • /
    • 2017
  • 본 연구는 치매의 고위험군인 후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인식도, 치매태도 및 신체활동을 조사하고,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후기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합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K군에 소재하는 9개 노인복지시설을 방문하는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06월 01일부터 06월 30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통한 설문지 작성으로 총 218명의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치매인식도, 치매태도 및 신체활동은 모두 낮은 수준이었고,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r=.380, p<.001) 및 신체활동(r=.211, p=.002), 치매태도와 신체활동(r=.405, p<.001) 간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후기노인의 신체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치매태도(${\beta}=.271$, p<.001)였고, 이외 성별(${\beta}=.207$, p=.003)과 교육수준(${\beta}=.184$, p=.023)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8.8%이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합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시 특히 저학력 여성 후기노인에 초점을 둔 치매인식도 및 치매태도의 제고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건강타운 이용노인의 삶의 질 변화 결정요인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Using the Health Tow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01-209
    • /
    • 2012
  • 이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 여가시설의 이용에 따른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을 위해 광주광역시 노인건강타운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타운의 시설환경, 직원과 강사의 역량, 프로그램 만족도 등의 요인이 이용노인들의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이용노인들의 삶의질 변화에 기여할수 있는 다각적이고 실천적 대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광주광역시 노인건강타운을 이용하는 만60세 이상의 1,03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자기기입방식과 조사원의 면접조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2010년 12월 10일부터 12월15일까지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삶의 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학력(B=-.074, p<0.05), 강사만족도(B=.172, p<0.001), 직원만족도(B=.104, p<0.01), 시설 및 환경만족도(B=.217, p<0.001)였다. 즉, 학력이 낮은 노인일수록, 강사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원만족도가 높을수록, 시설 및 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시설 및 환경만족도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노인들의 삶의 질 변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노인이용 문화여가시설의 현대화와 쾌적한 환경조성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국, 미국, 일본의 노인공동생활주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플랭클린(Franklin)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Contex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in the U.K,, U.S.A., and Japan - with Perspective of Franklin's Social Constructionism -)

  • 유병선;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27-38
    • /
    • 2005
  • There have been many requests for development of senior housing in Korea. Therefore it was very important to review how senior houses are established and managed in other countries. In this point, this research compar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U.K, U.S.A and Japan. Through the process, this research aim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literature review on senior congregate housing with Franklin's(1998) social constructionism perspective. This kind of research might be utiliz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erformance of any systems of housing for the ag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structural context, government in the U.K, U.S.A., and Japan were positively concerned with solving the housing problems for senior citizens despite some differences. Secondly, from an institutional context, institutions related with provisi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were systematically consolidated and they all adapted the housing and welfare policy. Thirdly, in organizational context, there was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provision and management that exclusively oversaw the housing for the elderly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urthly, in operational context, standards regarding space were clearly set both for individual units and common spaces as well as for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residents. Finally in terms of intersubjective context, the competency of housing manager and ways to involve the families which were important for residents' independent life were under study.

립 모션(leap motion) 센서를 이용한 노령 환자 치매 케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Based on Leap Motion Sensor)

  • 신지우;김지수;홍광수;김병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9-325
    • /
    • 2018
  • 최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치매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치매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이 증가하였다. 늘어나는 치매환자수에 따라 치매 재활센터, 노인 복지관에서는 여러 치매 예방 및 재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손가락 및 동작 스캔이 가능한 립 모션(leap motion)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설에서 진행되고 있는 치매 예방 및 인지 재활 프로그램과 접목시킨다. 개발하고자 하는 기술은 재활 치료사들의 치료 및 재활 내용을 재미와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손가락 추적을 이용하여 다양한 인지 증강 콘텐츠를 설계하고, 재활 교육의 기록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도록 구성하여 재활 프로그램의 관리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유료노인요양시설(Nursing Home)의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ing Factors of Utilizing the Nursing Home)

  • 한승의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82-588
    • /
    • 2001
  • Purpose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ir family caregivers. to study the main factors affecting Nursing Home utilization, and to help frame a policy about Nursing Home's demand. management and welfare facilities. Method: Data for this present study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s randomly distributed to family caregivers of the over 60-year-old patients at general hospital and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yung-Ki Do and In-Chon from 26 June to 20 July, 2000. Questionnaires were issued to 512 people and 479 were returned.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x^2$-test, t-test, ANOVA.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9.0. Result First.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duration of hospitalization, sex, marital status, behavior problems, home ownership, and cognitive disorder about elderly patients affect family caregivers burden. one of need factors. Secondly, marital status. religion. health status, sex, education and age in the family caregiver predisposing factors are main factors on Nursing Home utilization. Third, in need factors, care burden. time burden, family relation burden, physical burden and mental burden have an effect on Nursing Home utilization. Finally, the model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Nursing Home utilization is composed of six of eleven totally, care burden, religion, time burden, health status,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When the family caregivers get care burden and time burden. are highly educated, have no religion, have health problems, and have no spouse, it is possibility for them to utilize Nursing Homes. Conclusion: The government should decrease a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seek to find how to support Nursing Homes. Furthermore. Social support program for the family caregivers should be required. Thus, the family caregivers need consultation and need to meet to talk about their patients. how to care them, get information, which are the crucial field in advancing the research in nursing sc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