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s of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on Physical Activity of Old-Old Elderly

일지역 후기노인의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7.02.20
  • Accepted : 2017.05.14
  • Published : 2017.05.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s of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physical activities and whether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affect physical activities in old-old elderly who had high risk of dementia. A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18 old-old elderly above 75 years at 9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K county from June 1 to 30 in 2016.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mean scores of dementia knowledge, dementia attitude, and physical activity of participants were low,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r=.380, p<.001), and physical activities (r=.211, p=.002), and between dementia attitude and physical activities (r=.380, p<.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ies were dementia attitude (${\beta}=.271$, p<.001), gender (${\beta}=.207$, p=.003) and education level (${\beta}=.184$, p=.023). These variables explained 28.8% of physical activities. In conclusion, we need to develop a customized multifactorial physical activity program with considering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especially for old-old elderly women with low education level.

본 연구는 치매의 고위험군인 후기노인을 대상으로 치매인식도, 치매태도 및 신체활동을 조사하고,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가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후기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합 신체활동증진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K군에 소재하는 9개 노인복지시설을 방문하는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6년 06월 01일부터 06월 30일까지 일대일 면담을 통한 설문지 작성으로 총 218명의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치매인식도, 치매태도 및 신체활동은 모두 낮은 수준이었고, 치매인식도와 치매태도(r=.380, p<.001) 및 신체활동(r=.211, p=.002), 치매태도와 신체활동(r=.405, p<.001) 간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후기노인의 신체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치매태도(${\beta}=.271$, p<.001)였고, 이외 성별(${\beta}=.207$, p=.003)과 교육수준(${\beta}=.184$, p=.023)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8.8%이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을 위한 맞춤형 복합 신체활동프로그램 개발시 특히 저학력 여성 후기노인에 초점을 둔 치매인식도 및 치매태도의 제고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