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households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31초

일 도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자들의 불면증 및 우울증에 대한 연구 (A Study of Insomnia and Depression of Elderly Welfare Facility Users in a City)

  • 조모아;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200-209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지역사회의 노인 불면 및 우울 증상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 변수들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광명시에 거주 중인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불면 및 우울 정도를 평가하고 그와 관련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2016년 4월 20일부터 2016년 12월 1일까지의 기간 동안 ${\bigcirc}{\bigcirc}{\bigcirc}$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위탁 광명시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광명시에 위치한 복지관과 경로당을 방문하여 경기도 광명시에 거주하는 노인 총 8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항목과 불면 증상, 우울 증상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ISI와 S-GDS를 사용하여 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하였다. 결 과 연령(70대 미만, 70대, 80대, 90대 이상), 의료보장형태(건강보험, 의료보호), 주거 형태(자가, 비자가), 결혼 상태(미혼, 기혼, 이혼 및 사별)에 따른 S-GDS 평균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대해서는 초졸 또는 무학인 경우와 대졸 이상인 경우를 비교했을 때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F=3.227, p=0.012). S-GDS 10점 이상과 미만군으로 나누어 인구사회학적 인자들을 비교한 결과, 연령, 의료보장형태, 주거 형태, 동거 가족의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ISI로 측정한 불면 증상은 인구사회학적 항목과는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우울 증상과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났다(p<0.05). 불면 증상이 심할수록 우울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더 높았으며 또한 우울 증상을 보이는 노인들의 경우 더 심한 불면 증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노인 우울증은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연령, 의료보장형태, 주거 형태, 결혼 상태, 학력 및 동거 가족의 수와 유의한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노인 우울증의 주요 증상인 불면 증상은 우울 증상의 심각도와 진단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개 군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조사 (A Survey on Home Health Care Needs in Youn-Cheon County in Korea)

  • 한경자;박성애;하양숙;윤순녕;송미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84-49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me care needs in a rural county as a basic study to develop a Korean home care model. A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1, 352 household which accounted for 8.8% of Youn Cheon County population. A Standard criterias for home care subject were delineated by five nursing professors representing five different areas of nursing specialty. The developed criteria for home care subjects were as below, 1) Patients who had been discharged from hospital during the previous week. 2) Patients with special medical devices 3) Newborns and the mothers. 4) The chronically ill with poor recovery or control of disease. 5) Subjects with poor health care behavior or ability 6) Subjects with poor social support and / or family resources. 7) Subjects with health related educational needs.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o screen home care subjects, one for adults, one for infants and one for the elderly. Also different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control and self care ability of chronically ill subjects. After training in interview methods for 2 days, 39 interviewers visited individual households for interview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14.1% of adult subjects and 76.5% of infants and child were judged as having at least one criterion related to home care need, 15.69% of adults and 53% of elderly had at least one chronic illness. The most prevalent chronic illnesses were hypertension, skeletal-neurological disease and diabetes. The prevalence of subjects with home care needs were, those with poor health care behavior(8.89%), with health-re-lated educational needs(8.71%), with poor recovery or control of disease (3.52%), and with poor social support and inadequate family resources(3.19%). There were only 0.3%, 0.37%, 0.11% who were discharged patients, patients with medical devices, or newborns respectively. Thus, the largest home care client group were those who need direct health care and health education. Seventy five percent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y were willing to use and pay for home care service if it is offered in the future. It is suggested that recently discharged patients and patients with special medical devices can be cared for by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es, but other home care clients can be cared for by com-munity based home care nurses.

  • PDF

지역특성이 취약집단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of Area Characteristics on the Health of Vulnerable Populations in Seoul)

  • 김윤희;조영태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1-26
    • /
    • 2008
  • 본 연구는 주거지역 특성이 그 지역 구성원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일반 집단보다는 취약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았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 2005년 서울시 보건지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행정구역상의 '구'를 지역효과를 나타내는 기본단위로 설정하였다. 개인의 건강수준은 주관적 건강인식(Self Rated Health)과 정신건강으로 측정하였으며 지역특성을 설명하는 변수로 서울시 25개 '구' 각각의 사회 경제적 수준, 사회적 자본 및 문화 자본, 물리적 환경, 인구학적 특성 등을 활용하였다. 구성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성,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직업, 소득 등의 개인특성변수를 포함한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집단으로 저소득층, 노인, 40세 이상으로 배우자가 없으면서 무직인 중 노년층 세 개의 집단을 선정하여 각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 경험을 이용하여 측정한 정신 건강의 경우 지역 간 차이가 세 취약집단 모두에서 일반 인구집단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지역변수들과 개인변수들을 모두 고려한 다수준 모형에서 지역주민의 행복지수, 물질결핍지수, 빈곤선 이하 가구 비율, 행복 지수, 거리 안전에 대한 인식 수준 등의 지역변수들이 개인특성변수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취약집단의 정신건강 차이를 설명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런 지역특성의 맥락효과는 주관적 건강에서보다 정신건강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특히 취약집단 중 노인집단의 경우 지역 간 분산의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을 뿐 아니라 분석에 포함된 다양한 지역특성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 다른 취약집단에 비해 지역의 상황에 더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중·고령자 가구의 소득의 특성이 주택소비규모에 미치는 영향: 공적연금수령유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lderly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ing Consumption according to Public Pension Receipt)

  • 정상준;이창무;신혜영
    • 부동산연구
    • /
    • 제28권1호
    • /
    • pp.105-114
    • /
    • 2018
  •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에 들어섰고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 고령자 가구의 자산구조를 살펴본 연구에 따르면 총자산 대비 부동산자산의 비중은 약 73%로 부동산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은퇴 이후 생활비 확보를 위해 부동산자산을 유동화 시키는 경우 국내 주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과거에는 공적연금이라는 수입이 수급액도 크지 않고 수급자수도 제한적이어서 일반적인 은퇴가구의 주 소득원이 되기는 어려웠으나 최근에는 공적연금 수급자가 점차 증가하여, 은퇴가구의 소득원의 역할을 해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노후에도 정기적인 소득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므로 연금수령유무와 그 수령액을 분석에 추가하여 중 고령가구의 주거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제 3, 5차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순자산, 가구주의 성별, 교육수준, 가구원수 등과 같은 변수는 이전의 연구들과 비슷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으며, 본 연구에서 변수로 추가한 연금과 같은 고정적인 수입 또한 주택소비규모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빈곤의 여성화(feminization of poverty) : 경향 및 원인 (Feminization of Poverty : its Trends and Causes)

  • 홍백의;김혜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125-14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빈곤의 여성화 경향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는지 또한 빈곤의 여성화 경향이 실제로 있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자료로는 1998년부터 2005년까지 8개년도의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8세 이상 남성과 여성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1998년 이래 우리나라에서 빈곤의 여성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 경향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여성의 빈곤화 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횡단면 분석에서는 교육수준과 노동형태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종단면 분석에서는 가구원 수나 가구 내 취업자 수 같은 가구형태 관련 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여성의 빈곤화 경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여성의 노동시장내 차별을 막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시민권적 개념에 기초한 소득보장 프로그램의 마련 등이 시급하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노후대비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eatures for the old age preparations in Korea)

  • 박동인;조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25-532
    • /
    • 2017
  • 최근 들어 OECD 국가 중 국내의 고령화 진입 속도가 가장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 빈곤율 및 노인 부양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노후대비에 대한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회적 부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국내 중장년층 가구주들의 노후대비 유무와 노후준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집단별 포트폴리오 구축 유형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노후대비를 위한 수단으로써 금융과 부동산을 결합한 상품을 개발한다면 노후대비 포트폴리오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 뿐 아니라 보유 자원들의 정도에 따라 노후대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보유 자원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노후대비가구와 노후미대비가구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구주율법에 의한 장래가구추계 (A Household Projections Using Headship Rate Method)

  • 김형석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3권1호
    • /
    • pp.65-90
    • /
    • 2002
  • 가구는 인구, 사회, 경제적으로는 물론 통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단위이다. 전통적으로 가족주의에 기반을 둔 한국 사회가 최근산업화,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가구 구조에서 많은 변화를 겪고 있어, 장래 가구를 추정하는 것은 비단 산업이나 학문뿐 아니라 가족복지 정책을 수립하는데도 매우 중요하다. 장래가구를 추계하는 방법으로는 가구주율법이 단순하면서 자료에 대한 제한이 적을뿐더러, 한국 사회처럼 혼인 연령이 빠르게 상승하는 사회에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장래 가구 주율은 가구주가 35세미만인 경우에는 선형로그식, 35세이상인 경우에는 순천이율(net transition rate)로 추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였다. 장래 가구주율 추정결과를 보면, 남자는 35-39세까지 급격히 증가한 후 50-54세에 정점에 달하는 일봉(one peak)패턴을, 여자는 20대에 증가하다가 30-34세에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쌍봉(two peaks)패턴을 보였다. 한편 가구추계의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20대 및 노인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늘어나는 1인 가구에 대해 가구형성과 해체 패턴을 좀 더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나타났다.

  • PDF

애견의류 착용실태 및 애견더미 생산실태 (Pet dog's Wearing Condition & Production Condition of Pet dog's Dummy)

  • 이예리;장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9-485
    • /
    • 2017
  • This study provides basic indices for the development of a pet dog's dumm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71 owners of small dogs weighing under 10kg as preliminary research for information on pet dogs, uses and complaints about their clothe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o investigate wearing conditions. We collected pictures of 30 products sold in 12 brands at home and abroad to analyze size, materials, and patterns and investigate the actual production conditions. The survey results on wearing conditions indicated that 'Maltese' was the breed most often raised in households. Dogs weighing 'between 3kg and 4kg' were most common. Dogs under five years of age took up 53.5%. Most of the clothes were 'S' size, followed by 'M' and 'L' Most responded, 'The overall size does not fit' as an inconvenience when worn for long. Second, most brands developed products in three sizes. The displayed details included neck and chest circumference, back length and dummy height. Cotton and artificial leather were used most often for the outer fabric, cotton for the internal filling along with wire and aluminum for some products to maintain shape and motions. Most dummies consisted of back+outer leg, belly, inner leg and sole. Sometimes, a composition line was added by the chest shape, and an incision was placed between the body and leg for breeds with thick legs. Most patterns had a composition line in the leg connected from the belly.

국내 노후대비 자산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s for the old age preparations in Korea)

  • 박동인;조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199-1206
    • /
    • 2015
  • 최근 들어 OECD 국가 중 국내의 고령화 진입 속도가 가장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 빈곤율 및 노인 부양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노후대비에 대한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회적 부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국내 중장년층 가구주들의 노후대비 유무와 노후준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집단별 포트폴리오 구축 유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노후대비를 위한 수단으로써 금융과 부동산을 결합한 상품을 개발한다면 노후대비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 뿐 아니라 보유 자원들의 정도에 따라 노후대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보유 자원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노후대비가구와 미대비가구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노후대비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되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국내의 고령층에 맞는 포트폴리오 구성 요인 등에 대해 파악해야 한다. 또한, 더 정교한 추정모형을 통해 더 나은 시사점을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고층고밀 아파트단지의 노후특성 평가 연구 - 1기 신도시 중 분당신도시의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Evaluating the Level of Deterioration of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 조성희;이태경;오덕성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89-9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 complexes in 1st period new towns in order to regenerate apartments as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level of deterioration was evaluated by using 'evaluating indicators of the level of deterioration of high-rise and high-density apartments'.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were determined inclusively and concretely based on evaluation results. In addition, the deterioration level according to residents' awareness of the deterioration of their apartment was evaluate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thods of field data collection, staff interview, field measurement, and resident survey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the evaluating indicators. And the re-organized questionnaire based on the evaluating indicators was utilized for a survey of resident's aware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hysical dimensions of apartments, th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included deteriorated equipment and a decline in structural performance due to the aging of the apartment, a shortage of parking spaces, and the low flexibility of the bearing wall structure, etc. In terms of the social dimensions, the apartments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a shortag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a lack of the opportunity for community participation etc. In terms of the economic dimensions, the apartments showed limitations in maintenance & repair and a lack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