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couple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6초

노부부의 의사소통효율성 및 관련 변인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y couples and the related variables)

  • 박은아;이정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7권2호
    • /
    • pp.25-44
    • /
    • 200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uggest the efficient communic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life in the elderly couples.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variables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We investigated 462 elderly men and women whose spouse is alive and Seoul and the National Capital reg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was over than middle level so we could find that they communicate efficiently. 2)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differs significantly according to sex, education level, economic condition, health status, family type, social activity, sociotropy Personality, self-esteem, internal-external controllability, marital intimacy, relative comparison in the level of living. 3) The communication efficiency of elderly couples was dependently affected by intimacy, economic status, relationship; this variables had 40% explanation for communication efficiency.

  • PDF

노년기 부부의 결혼특성요인과 결혼안정성 (Characteristics of the Marriage and Marital Stability among Elderly Couples)

  • 김태현;전길양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4호
    • /
    • pp.197-20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tal characteristics on the marital stability among the elderly couples. Each participant was measured using a scale for the concept of marriage, a scale for marital coherence, a marital stress scale, a coping behavior scale and a marital stability scale. Elderly people who have a living spouse and who are living In Seoul were recruited. The data from two hundred and forty participants over 60-years-old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e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educational level, health, economic status, the main source of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appeared to significantly predict the elderly folks'marital stability Second, gender seems to be a factor In elderly couples'experience of marital stability. Husbands perceived marital stability to be higher than wives did. Third, the perception of marital stress, positive coping behavior and marital coherence influence the marital stability of the elderly couples. That is, the less elderly couples perceived marital stress and the less they relied on negative coping behaviors, the higher they perceived marital stability. These results imply that a healthful coping behavior to marital stress is important in enhancing marital stability for elderly couples.

남편의 은퇴 이후 중노년기 부부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with Retired Husbands)

  • 이주연;김득성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79-193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retirement adaptation process for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Twelve couples who had experienced retirement were recruited by theoretica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1998). This study showed the results of 124 concepts, 41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indicated through an open coding process. As a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adjustment procedures of elderly couples whose spouses are retired were 'retirement preparation,' 'retirement acceptance,' and 'marital satisfaction.' A central phenomenon was 'crisis and conflicts of twilight couples.'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orrespond to this phenomenon were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adult children,'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economic statu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o control the phenomenon were 'recognition of marital relationships,' 'conflicts coping,' 'resolution methods,' and 'self-reflec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facilitat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attitudes of husbands,' 'mutual awareness of couple,' 'health status,' and 'support systems.' The consequences were 'readaptation of marital relationships,' and 'unresolved conflicts,' and 'trying alone.' This research classified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adaptation into three types such as mutual effort, separation & resignation, and conflicts vestige. The findings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a retirement adaptation program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및 관련변인 연구 (A Study o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s and the Related Variables)

  • 박은아;이정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23-3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arital communic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life for the elderly couples.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variables affected o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elderly couples. I investigated 394 elderly men and women living with only their spouse and analyzed data with SPSS PC WI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high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 who lived with the spouses without adult children. 2)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elderly couples' communication were as follows: for the elderly males, intimacy between husband and wife, self-esteem, and gender role attitude; for the elderly females, intimacy between husband and wife, health condition, tendency toward relationships, and intention to keep the elderly couple household.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우울감 및 자살생각 경험 (Experiences of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Couples)

  • 한삼성;강성욱;정성화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9-38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ouse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among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in Korea. The subjects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 conduc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2007 to 2009. Those who were female, older, lower educated, or poorer were more likely to live alone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The elderly living alone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 as 2.0 times(OR=2.004, 95% CI=1.433, 2.803) as, and suicidal thinking as 1.6 times(OR=1.567, 95% CI=1.111, 2.211) as the elderly couples did, adjusting for socio-economic factor, health status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factors. As for the male subgroup, the elderly living alone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 as 4.0 times(OR=3.997, 95% CI=2.066, 7.732) as, and suicidal thinking as 3.2 times(OR=3.181, 95% CI=1.535, 6.592) as the elderly couples did. On the other h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and couples. The authors suggested policy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Couples on Marital Satisfaction)

  • 임나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30-240
    • /
    • 2016
  •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의 인구사회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성역할 태도(성역할 인식, 성능력 인식)와 결혼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78부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위계적회귀분석, t-test 및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에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인식은 결혼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성능력 인식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남녀 독거노인가구와 부부노인가구의 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요인 (Determinants of Welfare Service Utilization among the Single and the Married Couples Elderly)

  • 이윤정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119-1135
    • /
    • 2012
  • 본 연구는 남녀 독거노인과 부부노인의 증가추세에 주목하여, 이들의 생활수준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복지서비스 이용을 파악하여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노력들이 연구대상들에게 어떠한 상태로 개입되고 있는 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 5차(2010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716가구 노인들의 응답내용으로 기초통계, T검증, 카이스퀘어 검증, 분산분석,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여성 독거노인의 경제수준과 건강수준이 가장 낮았고 노령연금수급과 식생활이나 간병, 일상생활지원 복지서비스에 대한 이용도가 높았으며, 남성 독거노인은 노후보장수준이 미약하며 가족과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의료비와 물품지원서비스 이용도가 높았다. 상대적으로 부부노인은 연령대가 낮고 복지서비스 이용 수가 적으며 일자리사업 참여율은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결과, 복지서비스 이용도에는 세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노후보장 수준과 가족관계 만족도가 영향요인으로 검증되었다. 결과를 통해 복지서비스 개입 시 우선대상 선별기준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경제 및 건강관련 복지서비스 영역 외에도 심리정서적 지원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program to improve marital satisfaction of elderly couples)

  • 김인숙;박선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7-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부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급속한 고령화와 이혼율 증가에 따른 노인부부들의 이혼위기를 극복하고 이혼예방을 위한 기초방안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P시에 위치한 S노인복지관 70세 이상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부부 총 9쌍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노인부부들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융합 프로그램은 사전검사 61.7점(결혼생활 불만누적)에서 사후검사 32.1점(결혼생활 건강)으로 52%의 결혼만족도 향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찰기록의 한 질적평가의 결과는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부부간의 공동체험과 의사소통이 부부관계를 원만하게 하는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그동안 소원했던 노인부부의 관계가 자신이해와 배우자의 이해의 결과로 노인부부의 결혼만족도가 향상되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융합 프로그램은 노인부부들에게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 와 의사소통이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x-role Attitude and Communication of Elderly Couples on Marital Satisfaction)

  • 임나현;하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99-214
    • /
    • 2012
  •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 태도와 의사소통, 결혼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성역할 태도(성역할 인식, 성 능력 인식)와 의사소통(긴밀한 관계, 배타적관계, 소극적 관계) 및 결혼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2012년 6월 20일에서 7월 30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37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t-test 및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성역할 태도, 의사소통 및 결혼 만족도에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 인식과 성능력 인식은 의사소통의 긴밀한 관계와 소극적 관계에 정(+)적 영향을 미친 반면, 성능력 인식은 배타적 관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성역할 인식과 긴밀한 관계는 결혼 만족도에 정(+)적 영향력을 보였으나, 배타적 관계와 소극적 관계는 결혼 만족도의 부(-)적 영향요인이었다.

노년기 부부의 자기분화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Self-Differentiation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Couples)

  • 이주연;정혜정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629-1644
    • /
    • 2009
  • 본 연구는 Bowen 이론을 토대로 노년기 부부가 지각한 자기분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 은퇴 이후 배우자와 함께 생활하는 노부부 271쌍(54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paired t-test, 상관관계, Fisher's r-to-z transformation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분화 수준은 부부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입장은 부인보다 남편이 높았고, 정신건강 하위요인 중 우울과 신체화는 남편보다 부인이 높았다. 둘째, 노년기 부부 모두 자기분화 수준은 정신건강의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노년기 부부 모두 자기 분화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낮게 경험하기에 정신건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의 경우 정서적 반응이, 부인의 경우 정서적 단절이 정신건강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Bowen의 자기분화가 노인에게 적용 가능함을 경험적으로 검증했으며, 자기분화가 노년기 부부의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또한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자기분화간의 관계 및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가 거의 부재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