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1.230

Effects of Sex-Role Attitude of the Elderly Couples on Marital Satisfaction  

Im, Na Hyun (호서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sex-role attitude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up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factors as well as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role attitude(sex-role awareness, sex-capacity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378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elderly couples who were pus 60 and live in Gyeonggi-do areas. And th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carried out through SPSS Ver. 2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the sex-role attitude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upl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were found partially. Second, the sex-role awareness of the elderly couples affected on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ly, but the sex-capacity awareness did not.
Keywords
Sex-role Awareness; Sex Capacity Awareness; Marital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연옥, 노년기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2 이수호, 이혼과 재혼, 서울: 고려문화사, 2007.
3 김혜숙, 이혼상담과 이혼법, 서울:학지사, 2008.
4 성영식, 황혼이혼의 원인과 대책,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곽배희, 2001, 한국사회의 이혼실태 및 원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6 조혜숙, "중, 노년기 부부관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생애학회지, Vol.3, No.2, pp.1-19, 2013.
7 김희주, 주경희,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1권, pp.125-158, 2008.
8 현경자, "결혼의 질과 안정을 저해하는 부부갈등 영역: 성별에 따른 유사점과 차이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1권, pp.158-193, 2005.
9 김영혜, 유배우 노인의 성역할태도, 가사노동분담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0 신화용, 조병은,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상호작용 특성과 결혼만족도," 한국노년학, 제19권, 제1호, pp.31-44, 1999.
11 김수진,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생활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2 R. Gilford, "Contrasts in marital satisfaction throughout old age: An exchange theory analysis," Journal of Gerontology, Vol.39, pp.325-333, 1984.   DOI
13 김미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탐색,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4 김애련,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5 김경신, 이선미, "노년기 부부갈등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 노년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1-54, 2001.
16 임선영, 김태현, "노년기 부부 스트레스와 결혼 불안정성," 한국노년학, 제21권, 제3호, pp.111-128, 2002.
17 이혜자, 김윤정, "부부관계(사랑과 성)가 노년기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4권, 제4호, pp.197-214 2004.
18 조혜숙 최수일, "노년기 부부관계 변인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313-328, 2011.   DOI
19 권오균, 허준수,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47호, pp.7-30, 2010.
20 김길현, 하규수,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56-271, 2012.   DOI
21 홍성례, "자아존중감과 성역할태도가 심리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기 남녀를 중심으로," 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5호, pp.37-51, 2006.
22 황은, "1991년도와 2002년도 남녀대학생의 가정내 역할에 대한 성역할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권, 제6호, pp.99-113, 2004.
23 송정아, "중년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4권, 제1호, pp.113-130, 1996.
24 이미숙, "부인의 취업상태에 따른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부인의 가정성이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8권, 제4호, pp.145-161, 2000.
25 김태현, 박주희,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관계 향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0권, 제3호, pp.79-106, 2005.
26 김은지, 부부 커뮤니케이션과 결혼 만족의 관계-긍정지각편향과 성역할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7 김명원, 강민주,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사회적 지원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8호, pp.25-35, 2011.   DOI
28 전혜성, 서미아, "중년기 부부의 부부권력 및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49-357, 2012.   DOI
29 이정은, 성역할 태도, 자아존중감, 자기노출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편을 중심으로, 대구카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0 이은주,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문화적 민감성, 부부의사소통, 성역할 태도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남편대상 프로그램 내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45-71, 2010.
31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18권, 제1호, pp.123-139, 1999.
32 유시순, "여성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6권, 제1호, pp.123-140, 2009.
33 A. J. Roach, L. P. Frazier, and S. R. Bowden,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3, No.3, pp.537-554, 1981.   DOI
34 R. W. Jane, M. F. Myra, and S. R. Kathryn, "Gender and Fairness: Marital Satisfaction on two-earner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0, pp.577-594, 1998.   DOI
35 B. H. Vinick and D. J. Ekerdt, Couple view retirement activities: Expection versus experiences, In M. Szinovacz, D. J. Ekerdt, and B. H. Vinick, Families and retirement (Eds.), Newbury Park: Sage, pp.129-144, 1992
36 민경선, 전신, "부부 비동거의 거주현태와 성 역할관이 부부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Vol.26, No.3, pp.37-70, 2014.
37 M. W. Osmond and P. Y. Martin, "Sex and sexism: A composition of male and female sex-role attitud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37, pp.744-758, 1975.   DOI
38 이여봉,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제33권, 제1호, pp.103-13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