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Differentiation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Couples

노년기 부부의 자기분화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Lee, Juyeon (Dept. of Child Studi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ung, Hyejeong (Dept. of Child Studi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09.08.31
  • Accepted : 2009.11.10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couples. This study also tri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on ment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ith 271 elderly couples over 55 years old who lived in Chollabuk-Do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otal self-differentia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While the level of mental health(depression, somatization) were higher for wives than for husbands. Second, both husbands' and wives' mental health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differentiation. Finally,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both husbands' and wives' mental health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self-differentiation. Specifically, the variable significant affecting the husbands' mental health was the emotional reactivity of self-differentiation and the variable significant wives' mental health was the emotional cut-off of self-differentiation.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concept of self-differentiation in applying to mental health of elderly couples.

본 연구는 Bowen 이론을 토대로 노년기 부부가 지각한 자기분화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5세 이상, 은퇴 이후 배우자와 함께 생활하는 노부부 271쌍(54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paired t-test, 상관관계, Fisher's r-to-z transformation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분화 수준은 부부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 중 자기입장은 부인보다 남편이 높았고, 정신건강 하위요인 중 우울과 신체화는 남편보다 부인이 높았다. 둘째, 노년기 부부 모두 자기분화 수준은 정신건강의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노년기 부부 모두 자기 분화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 불안, 신체화 증상을 낮게 경험하기에 정신건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의 경우 정서적 반응이, 부인의 경우 정서적 단절이 정신건강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Bowen의 자기분화가 노인에게 적용 가능함을 경험적으로 검증했으며, 자기분화가 노년기 부부의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해 주었다. 또한 노년기 부부를 대상으로 정신건강과 자기분화간의 관계 및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가 거의 부재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