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Elderly in Couple Households and the Related Variables

부부단독가구 노인의 부부간 의사소통 및 관련변인 연구

  • Park Eun-A (Major in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Lee Jeong-Woo (Major in Family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박은아 (숙명여자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부 가족자원경영전공) ;
  • 이정우 (숙명여자대학교 가정아동복지학부 가족자원경영전공)
  • Published : 2005.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marital communication method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life for the elderly couples. For this study we considered variables affected on the marital communication of elderly couples. I investigated 394 elderly men and women living with only their spouse and analyzed data with SPSS PC WI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high level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elderly males and females who lived with the spouses without adult children. 2)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elderly couples' communication were as follows: for the elderly males, intimacy between husband and wife, self-esteem, and gender role attitude; for the elderly females, intimacy between husband and wife, health condition, tendency toward relationships, and intention to keep the elderly couple household.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신, 이선미(2000). 노년기 부부갈등에 관한 고찰. 한국노년학연구, 9, 89-106
  2. 김경신, 이선미(2001). 노년기 부부갈등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연구, 10, 31-54
  3. 김경신, 이선미(2003).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1(1), 139-153
  4. 김영나(2001). 노인들의 부부간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한양대석사학위논문
  5.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교문사
  6. 김태현, 전길양(1998). 노년기 부부의 상호간 지지와 역할공유 및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17(2), 167-182
  7. 김혜경(1996). 노년기 부부관계에 따른 결혼만족도 연구.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8. 박미금(1993). 부부의 경제생활 만족도 비교분석- 주관적 경제 수준 평가와 가계관리행동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박사학위논문
  9. 서병숙, 김수현(2000).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 20(1), 55-67
  10. 심혜선, 이정우(2001).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 가정관리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29-145
  11. 양정윤(1999). 사회지향성, 자율지향성과 부정적 생활사건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 성격-사건 일치가설과 증상 특정성가설. 카톨릭대 석사학위논문
  12. 유성호(1996). 노인과 성인자녀의 별거를 결정하는 변인: 그 이론적 탐색. 한국노년학, 16(1), 51-68
  13. 윤영(1990). 노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 석사학위 논문
  14. 이가옥, 김정석(1995). 노인의 자녀별거 결정요인 분석. 성공회대학논총, 8, 42-53
  15. 이경희(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6. 이선미, 김경신(2002). 노년기 부부의 생활만족도와 우울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39-157
  17. 이신숙, 이경주(1999). 남자노인의 성역할 태도와 결혼 만족도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 19(2), 1-13
  18. 이정우, 박은아(2003). 노부부의 의사소통효율성 및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7(2), 25-44
  19. 이정우, 박혜경(1992). 부부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주부의 가정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대 생활과학연구지, 7, 3-23
  20. 이행옥(2000). 노년기 부부의 의사소통과 중재방안. 원주대학 학술논총, 32, 17-29
  21. 임선영, 김태현(2002). 노년기 부부스트레스와 결혼불안정성. 한국노년학, 21, 116-126
  22. 임승락(1998).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과 결혼생활만족: 성차, 요구입장 차이 및 성격 특성의 영향.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3. 임정빈, 지영숙, 문숙재, 이기영, 이연숙(1995). 가정관리학. 학지사
  24. 전길양, 임선영(1998). 노년기 부부갈등과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6), 1-12
  25. 정혜정, 이동숙(2000). 부부단독가구 노인과 자녀동거 가구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 변인 연구: 전북지역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67-91
  26. 조유리, 김경신(2000). 부부의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광주지역거주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5(2), 1-21
  27. 하상희, 이정우(1996). 도시부부의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참여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생활과학연구지, 11, 23-46
  28. Allen, K. R., Blieszner, R., & Roberto, K.(2000). Families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A re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in the 1990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911-92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911.x
  29. Allen, S. M., Goldscheider, F., & Ciambrone, D. A.(1999). Gender roles, marital intimacy, and nomination of spouse as primary caregiver. The Gerontologist, 39(2), 150-158 https://doi.org/10.1093/geront/39.2.150
  30. Burleson, B. R., & Denton, W. H.(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marital satisfaction : Some moderation effect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Nov), 884-902 https://doi.org/10.2307/353790
  31. Halford, W. K., Hahlweg, K. & Dunne, M(1990). The cross-cultural consistency of marital communication associated with marital distre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2), 487-500 https://doi.org/10.2307/353042
  32. Klinetob, N. A., & Smith, D. A.(1996). Demand-withdraw communication in marital interaction : Tests of inter-spousal contingency and gender role hypothes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8, 945-957 https://doi.org/10.2307/353982
  33. Krause. N.(1995). Religiosity and self-esteem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50B(5), 236-246 https://doi.org/10.1093/geronb/50B.5.P236
  34. Krause. N.(1997). Religion, aging, and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ournal of Gerontology, 52B(6), S291-393 https://doi.org/10.1093/geronb/52B.6.S291
  35. Moss, B. & Schwebel, A.(1993).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 42, 31-37 https://doi.org/10.2307/584918
  36. Noller, P., & Fitzpatrick, M. A.(1990). Marital communication in the eigh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4), 832-843 https://doi.org/10.2307/353305
  37. Richmond, V. P., McCroskey, J. C., & Roach, K. D.(1997). Communication and decision-making styles, power base usage, and satisfaction in marital dyads, Communication Quarterly, 45(4), 410-426
  38. Tower, R. B., & Kasl, S. V.(1996). Gender, marital closeness, and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couples. Journal of Gerontology, 51(B), 115-129
  39. Towsend, A. L., & Franks, M. M.(1997). Quality of relationships between elderly spouses : Influence on spouse caregivers' subjective effectiveness. Family Relations, 46(1), 33-39 https://doi.org/10.2307/585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