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2811/kshsm.2012.6.3.029

Experiences of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Couples  

Han, Sam-Sung (Faculty of Health Science, Daegu Haany University)
Kang, Sung-Wook (Faculty of Health Science, Daegu Haany University)
Jeong, Seong-Hwa (Faculty of Health Science, Daegu Haany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 v.6, no.3, 2012 , pp. 29-3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pouse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among the elderly aged 65 and over in Korea. The subjects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V) conducted b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2007 to 2009. Those who were female, older, lower educated, or poorer were more likely to live alone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The elderly living alone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 as 2.0 times(OR=2.004, 95% CI=1.433, 2.803) as, and suicidal thinking as 1.6 times(OR=1.567, 95% CI=1.111, 2.211) as the elderly couples did, adjusting for socio-economic factor, health status factors, and health behaviors factors. As for the male subgroup, the elderly living alone experienced depressive symptom as 4.0 times(OR=3.997, 95% CI=2.066, 7.732) as, and suicidal thinking as 3.2 times(OR=3.181, 95% CI=1.535, 6.592) as the elderly couples did. On the other ha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and couples. The authors suggested policy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the male elderly living alone.
Keywords
Elderly Living Alone; Elderly Couples; Depressive Symptom; Suicidal Think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통계청(2011), 고령자 통계, 통계청.
2 정경희(2011), 노년기 가족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Vol.175;35-44.
3 K. Szanto, A. Gildengers, B.H. Mulsant, G. Brown, G.S. Alexopoulos, C.F. Reynolds 3rd(2002), Identification of suicidal ideation and prevention of suicidal behaviour in the elderly, Drugs & Aging, Vol.19(1);11-24.   DOI   ScienceOn
4 B. Steunenberg, A.T. Beekman, D.J. Deeg, A.J. Kerkhof(2006), Personality and the onset of depression in late lif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92(2-3);243-251.   DOI   ScienceOn
5 김영주(2009), 남녀별 독거노인과 동거노인의 건강 습관,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Vol.16(3);333-344.
6 전경숙, 이효영(2011), 결혼상태가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령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3);179-190.
7 최령, 문현주, 황병덕(2010), 만성질환이 노인들의 스트레스인지, 우울증상 경험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4(2);73-84.
8 서홍란, 김희년(2010), 요보호여성독거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5;176-202.
9 권중돈, 김유진, 엄태영(2011), 노인돌봄서비스 이용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자살시도경험과 음주행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51;297-320.
10 양순미, 홍숙자(2003), 농촌노인의 독거, 가구형태가 심리적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21(6);129-139.
11 성미혜, 임영미, 주경숙(2011),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외로움, 한국보건간호학회지, Vol.25(1);95-106.
12 유광수, 박현선(2003),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Vol.23(4);163-179.
13 질병관리본부(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 제4기(2007-2009), 질병관리본부.
14 김진구(2011), 가족형태가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Vol.51;.35-55.
15 양옥경, 주소희(2011), 독거노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4);321-347.
16 정경희(2011), 독거노인의 생활실태 및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 Focus, Vol.72;1-8.
17 김현경, 고성희, 정승희(2010), 노인의 자살생각과 위험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Vol.24(1);82-92.
18 한혜경, 이유리(2009), 독거노인의 정신건강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Vol.29(3);805-822.
19 이봉재, 오윤진(2008), 가구형태에 따른 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Vol.46(10);49-57.
20 R.H. Coombs(1991), Marital status and personal well-being: A literature review, Family Relations, Vol.40(1);97-102.   DOI   ScienceOn
21 이선애(2005), 가족유형에 따른 사회생활.사회적 지위 및 경제적 상황에 대한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Vol.10(3);147-169.
22 S.N. Jang, I. Kawachi, J. Chang, K. Boo, H.G. Shin, H. Lee, S.I. Cho(2009), Marital status, gender, and depression: Analysis of the baseline survey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9(11);1608-1615.   DOI   ScienceOn
23 박재규, 이정림(2011),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Vol.29;99-128.
24 김희경, 이현주, 박순미(2010),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노년학, Vol.30(2);279-292.
25 이종화(2005),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및 건강증진행위, 정신간호학회지, Vol.14(2);109-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