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innovation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3초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교육관점에서의 메타버스 관련 이슈 탐색 - 뉴스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Exploring Issues Related to the Metaverse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Focusing on News Big Data)

  • 박주연;정도헌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6호
    • /
    • pp.27-35
    • /
    • 2022
  • 본 연구는 뉴스 빅데이터에 나타난 메타버스 관련 이슈들을 교육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특징을 탐색하고,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및 미래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되는 메타버스 관련 뉴스 데이터를 41,366건 수집하였고, 대표적인 용어 가중치 모델인 TF-IDF를 이용하여 추출된 모든 키워드의 가중치 값을 계산하여 순위화한 후,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정교한 확률기반 텍스트마이닝 기법인 토픽모델링(LDA)을 활용하여 주요 토픽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관점에서 메타버스의 핵심 이슈로는 플랫폼 산업, 미래인재, 기술의 확산 등과 같은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기술, 직업, 교육이라는 세 개의 핵심 주제로 2차 데이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래교육에서 메타버스는 교육플랫폼의 혁신, 미래 직업의 혁신, 미래 역량의 혁신과 관련한 이슈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대한 양의 뉴스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분석하여 교육관점에서 이슈를 도출하고 미래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Role of e-Learning Environments in Training Applicants for Higher Education in the Realities of Large-Scale Military Aggression

  • Nataliia Bakhmat;Maryna Burenko;Volodymyr Krasnov;Larysa Olianych;Dmytro Balashov;Svitlana Liulcha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2호
    • /
    • pp.167-174
    • /
    • 2023
  • Electronic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he conditions of quarantine restrictions of COVID-19 have become a common phenomenon for the organization of distance educational activities. Under the conditions of Russian aggression, Ukrainian proof of their use is uniqu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analyze the role of electronic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he process of training applicants for higher education in Ukraine in the realities of a large-scale war. General scientific methods (analysis, synthesis, deduction, and induction) and special pedagogical prognostic methods, modeling, and SWOT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e results,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Internet educational platforms common in Ukraine, the peculiarities of using the Moodle and Prometheus platforms, and an approximate model of the electronic learning environment were discussed. The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Moodle among Ukrainian universities are analyzed, but vulnerable elements related to security are emphasized.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high cost of Prometheus software and less functionality made this learning environment less relevant. The conclusions state that the military actions drew the attention of universities in Ukraine to the formation of their own educational platforms. This is especially relevant for technical and military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교사들의 ICT 활용 촉진 요인 분석 및 제언 (Suggestions from the Analysis of Factors to encourage the ICT Utilization in School)

  • 박병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71-279
    • /
    • 2004
  •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와 더불어 교육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의 활용을 보다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ICT를 활용한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현재 초,중등 학교의 교육 정보 인프라는 높은 수준으로 구축되었다. 이와 더불어 수업에 ICT의 보다 효과적인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학교에서의 ICT활용을 촉진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그나마 이러한 연구들도 단순한 실태조사에 의한 문제점 지적과 개인의 제언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실질적으로 혁신의 확산과 수용이라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한 분석과 제언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서의 ICT활용 교육의 확산과 실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그동안의 ICT활용의 촉진과 방해 요인들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 연구들의 결과를 혁신의 확산과 수용이론과 촉진환경요인들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였다.

  • PDF

사용자 참여설계를 통한 교실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학교공간 혁신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room Space Planning through User Participation Design - Focusing on the case of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Incheon -)

  • 손석의;김승제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1-17
    • /
    • 2021
  •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user participatory design in a situation where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s in progress. 2 schools that were the targets of the Incheon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in 2019 were selected for this, and features such a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at classroom, classroom usage plan, and the stepwise outcome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were contemplated. Especially the workshop outcome was compared and analyzed quantitatively, focusing on the actual master plan and zoning plan, in order to identify the feature that opinions of various users are reflected on the actual plan.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reached. Fir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about the user preferential space influences the classroom usage plan of that classroom. Vague expressions about the whole space held a large majority of the objects for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preferential space. The expression mode as limited as the expression of the actions that users want to carry out in the spa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age purpose of the classroom was definite, it was confirmed that the demand for furniture·facility is relatively high. Secon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zoning for each function, it seems that the stereotype, which is arranged on the basis of the chalkboard at the front of existing classrooms, was applied in the case of the learning zone. However, in cases of other functions, a tendency was identified that the user carries out an image description that reflects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space. Sufficient preparation will need to precede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the user participatory design workshop and the acceptance of various opinions. It seems that especially the classroom usage plan, number of workshops, consultation of each step, and the education about the space expression mode affect the master plan.

학교 현장 중심의 학교공간혁신사업을 위한 개선방안 - 강원도교육청 학교 감성화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School Building Innovation Policy - Focused on Policy of School Building Emotionalization in Gangwondo -)

  • 박성철;유해연;김현진;이상민;신은경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18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2019년부터 국가수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학교공간혁신사업의 학교 현장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시도교육청 사업 중 하나인 강원도교육청의 학교 감성화 사업을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학교 감성화사업의 추진프로세스와 단계별 주요 추진주체를 분석하였다. 3장에서는 단계별 주요 참여자들 대상의 면담조사를 통하여 주요 문제점들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사업설명회 실효성 증대, 퍼실리테이터 역량 강화, 가이드라인 개발 등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학교공간혁신사업을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 대안으로 활용되어 보다 학교 현장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학교 공간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식품 구입: 식품위해 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Perception of Food Labeling and Purchase of Food: The Moderating Effect of Food Risk Perception)

  • 석재혜;유패선;남수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181-196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erceptions of food risk and food labeling on the purchase of labeled food items and the intention to pay higher prices for safe food.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s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20. The analysis focused on the responses of 6,355 consumers, all of whom were mainly responsible for food purchases. The analysis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food risk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labeling perception and the purchase of labeled food. Regarding the purchase of labeled foo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noted for gender, educational level, perception of food labeling, and perception of food risk;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ptions of food labeling and food ris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regard to the intention to pay higher prices for safe food, except for ag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for gender, educational level, food expenditure, perception of food labeling, and perception of food risk; moreover,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ptions of food labeling and food risk was significant.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ers reporting low food labeling perception and low purchase of labeled food were most vulnerable regarding food saf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ch consumers with food label provision methods and specified education programs.

조리교육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 4년제 조리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udent Satisfaction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Innovation Configuration, and Intervention Demand of Students in Culinary Practice Education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

  • 이정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7-93
    • /
    • 2013
  • 본 연구는 조리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일부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리 실습 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여 조리교육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교육은 지식을 전달하고 학습자의 특정한 태도와 행동을 형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이면서 조직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여 지식, 정보, 적절한 상황이나 조건을 준비하는 것으로서 조리교육 만족도와 요구도를 살펴 조리 실습교육의 의미와 학생의 입장에서 조리학습교육을 이끌어나가기 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상황에 맞는 대학교육서비스 품질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하여 대학 조리 실습교육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을 도출해 보았으며, 26개의 품질속성에 대해 중요도-만족도 변환지수를 이용하여 해석한 결과, 저학년일 경우 실습흥미, 진로필요, 현장실무 레시피, 전공 관심 증가, 전공학과만족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고학년일 경우 현장 레시피, 실습흥미 재료시범 순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 PDF

대학생의 수업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College Class Perception among College Students)

  • 심태은;이송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80-18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수업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여 보다 효과적인 수업방식을 도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Q표본은 33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되었고, P표본은 교양수업을 듣는 40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 1은 수업을 통하여 성장하려고 하는 욕구가 강한 '내실 있는 수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2는 수업을 듣는 과정이 일을 할 때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실무능력 향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3은 수강인원수나 교수와의 소통, 실질적인 환경 등에 중점을 두는 '교육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유형 4는 스스로 듣고 싶은 수업을 통하여 다양한 지적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인적인 역량 향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가 대학 수업의 질을 향상하고 다양한 대학생의 수업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공학교육에서의 Active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Active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 김나영;강동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2권6호
    • /
    • pp.12-2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active learning in engineering education. For this, the adequacy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and active learning activities is verified and furthermore an "active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is suggested. This suggested teaching-learning model is expected to supplement weakness of traditional lecture-type teaching-learning activit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irst, the representative activities of active learning were derived. there are twenty active learning activities, which compose of five of individual learning activity, five of pair-learning activity and five of group-learning activity, and five of alternative- learning activity. In addition, a survey on adequacy between designed 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outcomes were conducted to ten educational experts. Lawshe's content validity calculation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is study. Second, fiv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such as thinking, interaction, expression, reflection, and evaluation were derived to develop an "active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supplements lecture-type classes and then the "TIERA teaching-learning model" which consists of five stages was designed. Finally, based on the survey on educational experts, adequate active learning activities were proposed to apply in each stage of the "TIERA teaching-learning model" and as a result the TIERA model's active learn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ome activities of active learning are appropriate to induce high cognitive learning skills from the learners even in traditional lecture-type classrooms an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meaningful direction to new paradigm of teaching-learning for engineering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nstructors of engineering education can turn their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to dynamic learning activities by utilizing "active learning teaching-learning model".

서비스시대 공유대학 품질관리모델 연구 (A Quality Control Model for Shared University in Service Era)

  • 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8권4호
    • /
    • pp.1-12
    • /
    • 2018
  • 본 연구는 서비스시대 공유경제모델을 교육서비스에서 구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다수의 공유경제 모델이 기존 경제의 고비용 저품질 구조를 저비용 고품질 구조로 혁신하고 있듯이 교육서비스에서도 고비용 저품질 구조를 저비용 고품질 구조로 개선하는 혁신 모델이 필요하다. 특히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은 혁신이 시급한 상황이므로 본 연구는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에 초점을 맞춘 공유대학 모델을 연구하였다. 저비용 고품질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는 유휴자원의 활용이 필수적이므로 공유경제 모델 도입이 필요하다. 공유대학은 기존의 제한된 교육 공급자 집단이 대폭 확대되는 모델이므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공급자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교육수요자들을 역량 있는 인재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규범적인 품질관리도 필요하다. 또한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고등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과학기술이 적용된 프로세스 품질관리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서비스 품질관리는 공급자, 수요자, 프로세스 측면에서의 품질관리가 모두 균형있게 잘 이루어지는 품질관리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품질관리 모델에 대해 연구하고, 서비스시대의 첨단 교육모델로서 공유대학의 목표 모델을 정립하였다. 본 제안 모델을 구체화하고 구현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